본문 바로가기

조선왕릉보기

조선 왕릉이란? 능, 원, 묘의 구분

반응형

 


 

 

조선왕릉이란?

 

조선왕릉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왕릉 가운데 가장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고유의 유적입니다.

왕릉 개개의 완전성은 물론이고 한 시대의 왕조를 이끌었던 역대 왕과 왕비에 대한

왕릉이 모두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큰 가치가 있습니다.

 

 

조선왕릉의 문화유산적 가치를 대표하는 사진 

 

 

              보기 드물게 긴 역사를 가진 왕조

 

1392년 고려 왕조가 막을 내리고 탄생한 조선 왕조는 이후 1910년까지 무려 519년이라는

장구한 세월을 이어갔습니다. 이처럼 하나의 왕조가 5백 년 이상 지속된 것은 매우 보기 드문 유례입니다.

이러한 유구한 역사를 가진 조선 왕조에는 27대 왕과 왕비 및 추존왕과 왕비가 있는데,

이 왕족의 무덤을 조선왕릉이라 합니다.

 

 능, 원, 묘의 구분

 

왕족의 무덤은 왕실의 위계에 따라 능, 원, 묘로 분류됩니다. 능(陵)은 추존왕, 추존왕비를

포함한 왕과 왕비의 무덤이고,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비, 그리고 왕의 사친

(私親 : 종실로서 임금의 자리에 오른 임금의 생가 어버이)의 무덤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묘(墓)는 나머지 왕족, 즉 왕의 정궁의 아들, 딸인 대군과 공주, 왕의 서자,

서녀인 군과 옹주, 왕의 첩인 후궁, 귀인 등의 무덤을 일컫습니다.

현재 온전하게 남아있는 서울 근교의 왕릉은 40기, 원은 13기입니다.

 

 터 잡기의 예술

 

조선왕릉의 터를 잡을 때에는 풍수상의 길지를 택하기 위해 신중을 다했습니다.

풍수에 밝은 지관이 몇 군데 후보지를 골라서 최종적으로는 임금이 가장 좋은

조건의 터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현재 많은 왕릉이 자리 잡은 도성 안팎의 장소들은 각 시대 여건에서 판단한

가장 이상적인 장소인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왕릉을 조영할 때에는 가급적 본래의 지형

조건을 훼손하지 않고 지형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최소한의 인공적인 시설을 설치하려는

자세를 갖추었습니다.

 

조선 왕릉의 조영 법

 

                  조선시대 왕릉은 시간이 흐르면서 일정한 형식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그 형태는 능에서 정기적으로 치르는 각종 제례 절차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모습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왕릉은 다른 주변의 시설로부터 격리시켜 신성함을 유지하기 위해

두 겹 정도의 산으로 둘러싸인 곳에 자리 잡았으며, 능 근처에는 제례를 준비하는 재실을

마련하였습니다.

재실을 지나 숲길을 따라가면 물길을 가로지르는 돌다리를 만나고, 능역을 상징하는

홍살문을 통과하여 능역의 중심부로 접어들게 됩니다.

봉분 앞에는 다양한 석물과 문, 무석인 등의 기본적인 구성이 갖춰집니다.

조선왕릉은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을

유지하면서 지형조건, 시대적 배경 등에 따라 조금씩 변형되어 왔습니다.

 

조선 왕릉의 문화적 가치

 

조선왕릉은 유적지로서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수반합니다.

왕실의 장례와 제례는 엄숙하고도 완벽한 예법에 따라 행해졌으며, 이 예법의 절차와 의미,

 이에 포함되는 다양한 의물들은 각기 당시의 사상과 문화를

고찰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이야기를 걸어오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왕릉 조영 절차를 포함한 모든 의례 절차는 상세하게

기록되어 후대에 전해지고 있는데 이 기록물들은 자체만으로도 큰 문화적 가치를 지닙니다.

우리는 왕의 삶과 죽음, 장례 절차, 왕릉의 조영을 살펴보면서 조선시대 왕실 문화와 그들의

정신에 한 발짝 더 가까이다가갈 수 있는 것입니다.

 

출처 : 문화재청

 

포스트가 유익하셨다면 블로그로 세상 열어가기를 구독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