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최충헌, 무인 정치자로, 생전에 왕을 능가하는 권력을 누리다.(1)

반응형

 

 

최충헌,  무인 정치자로, 생전에 왕을 능가하는 권력을 누리다.

 

최충헌(崔忠獻, 1149년~1219년 10월 29일 (음력 9월 20일))은 고려 시대무신이자 군인, 정치가이다. 최씨 정권의 첫 번째 독재자이다. 본관은 우봉(牛峰)이며 초명은 최난(崔鸞)이고 시호는 경성(景成)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1196년부터 1219년까지 고 왕조의 실권을 맡았다. 이의민을 제거하고 집권한 다섯번째 무인 집권자였으며, 무신 세습 정권을 구축하였다. 이후 경쟁자 두경승과 동생 최충수, 조카 박진재를 모두 제거한 뒤 일인 집권체제를 구축했고, 집권기간 중 국왕인 명종, 희종을 폐위시켰다.

1209년 학자 이규보를 발탁, 무신정권으로 피폐해진 문운(文運)을 재흥시키려고 힘썼는데, 청교역(靑郊驛)의 관리들의 자기네 부자살해 미수사건이 생기자 영은관에 교정도감(敎定都監)을 설치, 실질적인 무인정권의 중앙기관으로서 국정 전반을 감독케 했다. 본부인이 있는 상태에서 강종의 서녀인 왕씨와 결혼하여 부마의 직책까지 겸했다. 사후 조선에서 쓴 고려사, 고려사절요에 의해 반역자로 격하당했다. 강종의 서녀사위이자 고종의 서매부이고, 원종에게는 고모부이자 처외증조부가 된다. 정순왕후의 외증조부이자 충렬왕의 외외고조부였다. 또한 사위 임효명을 통해 의종, 명종, 신종의 모후 공예왕후와도 사돈이 된다.

 

생애 초반 

최충헌은 개성 우봉(牛峯)에서 상장군 최원호(崔元浩)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선대는 미상으로 그의 선조로는 아버지 최원호만이 이름이 전한다. 처음 이름을 난(鸞)이라 했다가 뒤에 충헌으로 고쳤다. 아래로 동생 최충수와 여동생 1인이 태어난다. 그는 일찍이 음보로 양온령이 되고, 1174년(고려 명종 4년) 무인 집권에 반발한 조위총의 난이 벌어지자, 조위총의 난을 진압하는 데 출정하여 큰 공로를 세워 별초도령(別抄都令)에 올랐으며, 뒤에 섭장군이 되었다.

 

쿠테타와 이의민 제거 

하루는 이지영(李至榮)의 하인이 아우 최충수의 집비둘기를 훔쳤다. 최충수가 이지영을 찾아가 비둘기를 돌려달라고 하자, 이지영은 최충수를 묶고 그의 볼기를 때린 뒤 이틀 간 가두었다. 억울함에 못 이긴 최충수가 자신을 찾아와 그의 권유로 함께 이의민과 그의 세 아들들을 제거할 계획을 세운다. 결국 1196년(명종 26) 음력 4월 8일, 먼저 당시 정권을 잡고 있던 이의민을 미타산에 있는 그의 별장(別莊)을 습격하여 죽인 뒤에 그 머리를 저자에 효수케 하는 한편. 장군 백존유를 찾아가 군사를 모아 먼저 이의민의 아들 지순(至純)·지광(至光)이 거느린 가병을 물리쳤다.

당시 보제사에서 봄놀이를 하던 명종이 이 소식을 듣고 허둥지둥 궁궐로 돌아와 최충헌에게 정권을 넘겼다. 이후 남은 이의민의 심복들을 모두 처치하고, 숨어 있던 이지영은 장군 한휴가 찾아 내어 죽였다. 그의 숙청 공작은 자못 철저하여 그를 제거하려던 승려들의 반란이 있자 평장사 권절평(權節平)·손석(孫碩)·대장군 이경유(李景儒) 등과 참지정사 이인성(李仁成)·상장군 강제(康濟)·승선 문적 등 36명이 딴 뜻을 품고 있다 하여 3월을 전후해서 모두 잡아 인은관에 유폐한 뒤 죽였고, 또 이의민 시기의 무인 실력자였던 두경승을 숙청한 뒤 판위위사(判衛尉使) 최광원(崔光遠)·소경(小卿) 권신(權信)·장군 권식(權湜)·두응룡(杜應龍) 등을 귀양 보냈다.

최충헌은 두경승의 사위인 장군 류삼백을 매수하여 두경승을 유인한뒤 체포하여 자연도로 유배를 보낸다. 1197년 9월 최충헌은 왕을 폐하려 저잣거리에 병사를 다스려 정돈하며 의논할 일을 맡긴다며 류삼백을 시켜 두경승을 유인하여 체포, 두경승은 자연도(紫燕島)에 유배했고, 두경승의 사위 장군 류삼백(柳森栢)을 반역을 한다고 의심하여 스스로 목찔러 죽게 했으며, 류삼백의 부친 류득의(柳得義)는 남쪽 변방에 유배했다.

고려사에 의하면 두경승은 섬에 있으며 근심하고 분해 피 토하고 졸했는데 혹 이르길 두경승은 금이 있어 그 종이 훔치려 몰래 독살했다. 이와 같이 그의 정적을 제거한 뒤에 명종에게 10조목의 봉사(奉事)를 올려(봉사십조), 그릇된 정치의 시정과 함께 임금의 반성을 촉구하였다. 이 봉사는 당시의 폐단을 적절히 나타낸 것으로서 그의 이런 정치적인 식견은 정중부·이의방·이의민 등에게서는 찾아볼 수 었다. 그가 군웅을 물리치고 오랫동안 정권을 장악할 수 있었음도 이런 장점을 지녔기 때문이었다.

이어 명종의 측근을 몰아내고 좌승선(左承宣)과 어사대지사(御史臺知事)를 겸하였으며, 이듬해인 1197년(명종 27) 충성좌리신(忠誠佐理功臣)에 봉해졌다. 그러나 왕이 봉사십조를 이행하지 않고 최충헌의 신변을 위협하게 되자 창락궁에 유폐시키고, 평량공(平凉公) 민(旼)을 옹하니, 그가 신종이다. 이에 최충헌은 임금에게 말하여 다시 명종 때의 근신을 모두 내쫓아 정권은 완전히 최씨 일가에서 독차지하게 되었고, 정국신 삼한대광대중대부 상장군주국에 책봉되었다. 최충수가 그의 딸을 태자(뒷날의 희종)의 비로 삼으려 임금에게 강요하고 태자의 본비를 내보내므로 그는 이에 반대하여, 드어 무력 충돌에까지 이르러 최충수를 살해하였다. 이는 신종이 옹립된 다음 달의 일인데, 이로써 본래는 그의 아우 충수와 나누어 가졌던 군국(軍國)의 대권을 독점하기에 이르렀다.

 

☞ 연관글

[역사보기] - 최우, 항몽전쟁을 선언하고 대장경판 재조를 완성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