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왕릉보기

조선의 왕, 세자 책봉

반응형

조선의 왕, 세자 책봉


 

 

 

 

                                                     <왕세자 책봉도>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

 

 

 

왕위를 계승할 자, 세자

 

조선시대 왕위 계승의 원칙에는 두 가지가 있었습니다.

첫째, 중전의 몸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이 왕위를 계승해야 하는 것이고,

둘째, 왕이 될 사람은 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원칙이었습니다.

 

이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왕손은 '대를 이을 아들'이라는 의미의 세자(世子)로 책봉되어,

후계자로서의 준비에 만전을 기울여야 했습니다.

조선 27대 왕 중에 위의 적장자 원칙에 따라 세자 책봉을 받고 왕위에 오른 임금은

문종, 단종, 연산군, 인종, 현종, 숙종, 순종 7명입니다.

 

적장자는 아니지만 그 덕을 인정받거나 중전에게 아들이 없어 후궁의 아들이나 왕족으로서

왕위에 오른 임금은 19명입니다.

 

의경세자(덕종), 순회세자, 소현세자, 효명세자(문조)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났고,

양녕대군, 연산군의 아들, 광해군의 아들은 폐세자가 되어 왕위에 오르지 못했습니다.

 

 

대궐의 정전에서 거행된 의식, 세자책봉

 

세자책봉례는 대궐의 정전에서 거행됩니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는 세자책봉례의 순서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북이 울리면, 의장을 갖추고 군사를 배치합니다.

두 번째 북이 울리면, 문무백관과 종친들은 근정문 밖의 위(位)로 나아가고

왕세자가 면복을 갖추고 등장합니다.

세 번째 북이 울리면 지위에 따라 종친과 문무백관이 동서로 줄지어 서며

종이 울리다가 그치면 악기 연주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왕이 가마를 타고 나섭니다.

 

문무백관과 왕세자가 왕에게 차례로 사배(四拜)를 하며 꿇어앉은 세자앞에서

왕은 전책관을 통해 죽책문(竹冊文), 교명문(敎命文), 세자인(世子印)을 전해 줍니다.

 

책문은 대나무로 만든 임명장, 교명문은 세자에게 당부하는 훈계문,

세자인은 세자를 상징하는 도장입니다.

 

세자에 책봉 된 이후에는 중국 황제의 고명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성균관에 행차하여 제자로서 공자에게 인사를 드렸습니다.

 

 

왕이 되기 위한 훈련, 세자의 하루

 

세자의 자리에 오르면 궁궐의 동쪽에 거처가 있다하여 동궁(東宮), 혹은

계절에 비유하여 춘궁(春宮)이라 불렸습니다.

책봉 후에는 세자익위사의 호위를 받으며 조선의 내노라 하는 실력자들로

구성된 세자시강원의 관료들로부터 왕으로서 요구되는 식견과 능력을 기르는 교육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의관을 정제하고 왕을 비롯한 왕실의 어른들에게 문안 인사를 가는 것이

공식 일과의 시작이었습니다.

문안 인사 후에는 조강, 주강, 석강으로 나뉘는 세자시강원의 강의를 들으며 유교 공부에

전념했습니다. 그리고 틈틈이 말타기, 활쏘기, 붓글씨 등 이른바 육예(六藝)를 연마하였습니다.

잠자리에 들기전에는 왕실 어른들에게 다시 인사를 드림으로써 세자의 하루는 마감됩니다.

 

 

부왕을 대신한 정치, 대리청정

 

세자는 원칙적으로 정치에 관여해서는 안되며, 위와 같은 일과를 보내며

후계자로서의 자질을 기르는 것을 본분으로 삼아야 했으나, 부왕 대신 국사를 처리하는

대리청정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세종의 아들 문종, 선조의 아들 광해군,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의 예가 그러합니다.

 

      출처 : 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