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보기

정한론, 일본 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서 자주 지적되다. 정한론, 일본 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서 자주 지적되다. 정한론(일본어: 征韓論 (せいかんろん) 세이칸론) 또는 정조론(征朝論)은 19세기 말 당시, 일본이 조선을 정벌해야 한다는 사상 또는 신념이다. 1860년대의 일본 군국주의자에게서 나왔으나 1884년 갑신정변 실패 이후에는 조선에 호의적이던 인사들에게서도 정한론이 대두되었다. 배경 처음에는 정조론(征朝論)이라 불렀으나, 朝(조)가 “조정”(곧 일본 왕)을 뜻한다고 오해를 살 수 있다고 여겼으므로, 정한론으로 바뀌었다. 막말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에 당시 정부의 수뇌인 사이고 다카모리, 이타가키 다이스케, 에토 신페이, 고토 쇼지로, 소에지마 다네오미 등에 의해 주장된, 무력을 이용해 조선을 정벌하자는 정책이다. 에도 시대 후기부터 고대 일본이 한반도.. 더보기
도요토미 히데요시, 임진왜란에 반대한 다이묘들 도요토미 히데요시, 임진왜란에 반대한 다이묘들 도요토미/도요토미노/하시바 히데요시(豊臣/羽柴秀吉 (とよとみ/とよとみ の/はしば ひでよし), 1537년 3월 17일 ~ 1598년 9월 18일)는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정치가이며 다이묘이다. 오다 노부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함께 전국 3영걸로 불린다. 또한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그는 도요토미라는 성을 하사받기 이전에 하시바 히데요시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 자신의 가신(家臣)이기도 했던 일본의 무장 가토 기요마사의 어머니 이토는 히데요시의 6촌 여동생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오와리 국(尾張国) 아이치 군(愛知郡) 나카무라(中村)에서 빈농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를 섬겼으며 오다 가문 .. 더보기
홍건적의 난, 고려 왕조의 멸망을 재촉하는 원인의 하나가 되기도 하다. 홍건적의 난, 고려 왕조의 멸망을 재촉하는 원인의 하나가 되기도 하다. 홍건의 난(紅巾之亂) 또는 홍건적의 난(紅巾賊之亂)은 원 말기에 한산동(韓山童)을 수장으로 뭉친 백련교도가 중심이 되어 봉기한 한족의 농민 반란군으로 머리에 붉은 수건을 둘렀기 때문에 홍건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홍건적은 홍적(紅賊)·홍두적(紅豆賊) 등으로도 불렸다. 개설 1348년 원나라에서는 절강의 방국진이 해상에서 반란을 일으킨 것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차례로 반란이 일어나, 1351년에는 가노에 의해 황하의 개수 공사를 시키던 백련교도인 홍건당이 봉기했다. 그때 한산동은 미륵불(彌勒佛)이라 자칭하며 민심을 선동하였다. 그 뒤 한산동은 관군에게 붙잡혔으나 그의 부하 유복통은 군사를 일으켜 각지를 노략질하였는데, 그 군대는 10만에.. 더보기
이인임, 우왕을 섭정하고 문하시중까지 올랐으나 이성계와 최영에 의해 실각되다. 이인임, 우왕을 섭정하고 문하시중까지 올랐으나 이성계와 최영에 의해 실각되다. 이인임(李仁任, ?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간신(奸臣), 권신權臣)이자 시인(詩人)이었다. 그는 이성계의 최대 정적 중 하나였다. 그는 한때 신돈(辛旽)의 문하에 있었으며, 홍건적과 원나라의 최유 등을 물리쳤고, 우왕을 섭정하고 문하시중까지 올랐으나 이성계와 최영에 의해 실각되었다. 이성계의 사위 이제의 백부이다. 본관은 성주(星州)이며 경상북도 출신이다. 호(號)는 승암(勝巖)이며 시호(諡號)는 황무(荒繆)이다. 생애 고려 경상도 성주군 고령현 성산면(지금의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에서 대제학 이조년의 손자로 태어난 기록만 알려져 있는데 할아버지는 성산군 이조년(李兆年)이고, 아버지는 성산후 이포(李褒)이다. 본관은 .. 더보기
정난정, 윤원형의 애첩, 악녀의 대명사 정난정, 윤원형의 애첩, 악녀의 대명사 정난정(鄭蘭貞, ? ~ 1565년 11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며 명종의 넷째 외삼촌이자 재상인 윤원형의 애첩이자 그의 둘째 부인이다. 명종조의 권력자 중 한 명으로, 윤원형의 본부인 연안 김씨를 독살했다는 의혹을 받았으며, 사후 사림파는 그녀를 악녀의 대명사로 일컬었다. 본관은 초계(草溪)로 아버지는 도총부 부총관을 지낸 정윤겸이고, 정난정은 그와 그의 첩 사이에서 태어난 서녀였다. 한성부 출신. 출생과 가계 한성부에서 초계 정씨 오위도총부 부총관 정윤겸과 차실(次室) 남씨(南氏)의 2남 3녀 중에서 막내 딸로 태어났다. 모친은 본래는 상민이 아니었으나 난신에 연좌된 부녀로서 노비가 되었고, 정윤겸의 집에 분배되었다. 그는 정윤겸과 노비가 된 반가 여성 사.. 더보기
정유재란,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침공하다. 정유재란,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침공하다. 정유재란(丁酉再亂)은 1597년 8월 도요토미 정권 일본군이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조선을 침공하여 이듬해인 1598년 연말까지 지속된 전쟁이다. 일본에서는 당시 고요제이 천황의 연호를 따서 게이초 전쟁(慶長 (けいちょう)の役 (えき) 게이초노에키)이라고 한다. 초기에는 일본군의 공세가 이루어지다가, 명량해전을 변곡점으로 남해안의 왜성들에 틀어박힌 일본군에 대한 조명 연합군의 공격 양상을 띠었다. 때문에 정유재란 때 조선군은 대부분 공격측, 일본군은 대부분 방어측에 서게 되었고, 명량해전과 노량해전을 제외하면 조선군이 결정적 승리를 거둔 전투는 거의 없는 교착전쟁의 모습을 나타냈다. 경과 일본군은 보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더보기
윤심덕, <사의 찬미>, 연인 김우진과 귀국길의 현해탄에서 자살하다. 윤심덕, , 연인 김우진과 귀국길의 현해탄에서 자살하다. 윤심덕(尹心悳, 1897년 7월 25일 ~ 1926년 8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성악가이자 가수 겸 배우이다. 화가 나혜석과 함께 1920년대의 신(新)여성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한기주(韓琦柱)와 함께 한국 최초의 소프라노였다. 생애 평양에서 4남매 가운데 둘째 딸로 태어났고,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진남포로 이주하여 자랐다. 아버지 윤호병과 어머니 김씨는 모두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으며, 경제적으로 어려운 생활을 하면서도 자녀들을 학교에 보내 신교육을 받도록 했다. 윤심덕은 숭의여학교를, 언니와 여동생은 이화학당을, 남동생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했다. 윤심덕의 형제들은 모두 음악에 재능이 있었다. 여동생은 피아니스트이고 남동생 윤기성은 바리톤 .. 더보기
최진립 , 험천전투에서 칠순에 가까운 노장 최진립 전사하다. 최진립 , 험천전투에서 칠순에 가까운 노장 최진립 전사하다. 최진립(崔震立, 1568년 ~ 1636년)은 조선의 무신이다. 자는 사건, 호는 잠와,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1568년 경주에서 최신보의 아들로 태어났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아우 최계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1594년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부장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597년 정유재란 때 결사대를 이끌고 서생포에서 왜군을 격멸하였다. 이어 권율과 함께 도산에서 대승하여 선무원종공신에 녹되었고, 훈련원정(訓練院正)을 제수받았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1600년 여도만호(呂島萬戶) 겸 선전관(宣傳官)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이어 마량첨사(馬梁僉使), 경상우후(慶尙虞侯)에 제수되어 성지(城池)를 수축하고 병..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