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희왕후

봉석주, 불법과 탐욕을 자행하여 대간으로부터 거듭 탄핵을 받다. 봉석주, 불법과 탐욕을 자행하여 대간으로부터 거듭 탄핵을 받다. 봉석주(奉石柱, ? - 1465년 4월 19일)는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장군, 정치인이며, 계유정난과 세조 찬위에 공을 세운 공신이다. 본관은 하음(河陰)이며, 자는 군보(君輔), 호는 서관(墅觀)이다. 사육신 중 한사람인 박팽년의 형수 해평 윤씨를 노비로 삼았다가 곧 첩으로 삼았다. 정난공신 2등으로 녹훈되어 강성군(江城君)에 봉작되었고, 수군절도사 등을 역임했다. 충청북도 출신. 초기 활동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봉사를 지냈다. 1442년 6월 부사정(副司正)으로 재직 중, 주서(注書) 권효량(權孝良)와 함께 관기 패강아(浿江兒)와 관계하였는데 이는 중국 사신 오양(吳良)이 관계한 여기(女妓)라 하여 의금부의 탄핵을 받고 장 80대.. 더보기
안순왕후, 성종 즉위 초 성종의 생모 소혜왕후와의 서열을 놓고 갈등을 겪다. 안순왕후, 성종 즉위 초 성종의 생모 소혜왕후와의 서열을 놓고 갈등을 겪다. 안순왕후 한씨(安順王后 韓氏, 1445년? 음력 3월 12일 ~ 1499년 2월 3일(1498년 음력 12월 23일)는 조선 예종의 계비이다. 시호는 인혜명의소휘제숙안순왕후(仁惠明懿昭徽齊淑安順王后)이다. 청천부원군 양혜공 한백륜(淸川府院君 襄惠公 韓伯倫)과 서하부부인 임씨(西河府夫人 任氏)의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성종 즉위 초 그와 성종의 생모 소혜왕후와의 서열을 놓고 갈등이 있었다. 생애 생년은 불분명하며, 청주 한씨 문중에서는 예종의 정비 장순왕후와 같은 해인 1445년생이라고 하고 있다. 왕세자 시절 예종의 세자빈이었던 장순왕후가 1461년에 요절하자, 1463년에 동궁의 종5품 후궁인 소훈(昭訓)에 간택되었다... 더보기
제안대군, 두 번의 이혼과 전부인과 재결합을 하다. 제안대군, 두 번의 이혼과 전부인과 재결합을 하다. 제안대군 이현(齊安大君 李琄, 1466년 2월 13일 ~ 1525년 12월 14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다. 그는 조선 제8대 국왕 예종과 안순왕후 사이에서 출생하였고 9세 때였던 1474년 5촌 종숙부 정양군(평원대군의 양자, 1492년에 향년 51세로 훙서)에게 입양되었으며 그의 이름은 현(琄), 성은 이(李), 자는 국보(國寶), 시호는 영효(靈孝)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생애 세조 12년(1466년) 당시 세자이던 아버지 예종(睿宗)과 세자의 종5품 후궁인 소훈(昭訓) 한씨(안순왕후)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전주 이씨(全州 李氏)다. 예종의 세자빈이던 장순왕후 한씨(章順王后 韓氏)는 인성대군 이분(李糞)을 낳은 뒤 산후병으로 죽었고, 뒤이.. 더보기
월산대군, 덕종, 경복궁 자선당에서 요절하다. 월산대군, 덕종, 경복궁 자선당에서 요절하다. 덕종(德宗, 1438년 ~ 1457년 9월 20일 (음력 9월 2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 작가이다. 세종의 첫 손자이자 세조의 장자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희왕후 윤씨이다. 1455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으나 2년 만에 20세의 나이에 요절한다. 사후 차자 성종이 즉위하면서 왕(王)으로 추존되었다. 바로 의경왕(懿敬王)에 추존되었다가 회간왕(懷簡王)으로 추존되고 뒤에 덕종(德宗)의 묘호가 올려졌다. 정식 시호는 덕종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德宗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며 왕에 추존되기 전에는 의경세자(懿敬世子)로 불렸다. 성은 이(李), 휘는 장(暲), 초명은 숭(崇), 현동(賢同), 자는 원명.. 더보기
예종,경국대전을 완성했으나 반포하지 못하고 승하하다. 예종,경국대전을 완성했으나 반포하지 못하고 승하하다. 예종(睿宗, 1450년 1월 14일(음력 1월 1일) ~ 1469년 12월 31일(음력 11월 28일), 재위 1468년~1469년)은 조선의 제8대 임금이다. 성은 이(李), 휘는 황(晄),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명조(明照) 또는 평남(平南). 시호는 예종양도흠문성무의인소효대왕(睿宗襄悼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이다. 세종의 차남 세조와 정희왕후의 둘째 아들이다. 치세 1468년 9월부터 이듬해 1469년 12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1468년 9월부터 1469년 1월까지 사촌 형이자 손아랫동서인 영의정(領議政) 귀성군 이준(龜城君 李浚)이 섭정하였으며 1469년 1월부터 같은 해 12월 승하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생애 예종은 1450년 경오년 정월 정축.. 더보기
신숙주, 사후 그의 검소함과 겸손함이 묻혀지게 되다. 신숙주, 사후 그의 검소함과 겸손함이 묻혀지게 되다. 남이의 옥사 전후 1468년 세조는 죽음을 앞두고 '당 태종에게는 위징, 나에게는 숙주'라고 말했다고 한다. 세조가 신숙주를 당 태종의 위징에 비견한 것은 자신도 당 태종처럼 신숙주를 통해 문화 통치를 이루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한편으로는 그만큼 신숙주를 신뢰했다는 뜻이 된다. 1468년 세조가 병으로 죽고 예종이 어려서 즉위하자 신숙주는 한명회, 구치관, 정인지 등과 함께 원상(院相)의 한사람으로 승정원에 들어가 정희왕후와 함께 서정(庶政)을 처결하고 혼란을 수습하였으며, 예종 즉위 후 남이의 옥사가 발생하자 그는 유자광 등과 함께 위관으로 참여, 남이 장군과 강순 등을 심문한 뒤 숙청하여, 수충보사병기정난익대공신(輸忠保社炳幾定難翊戴功臣)에 책록되었.. 더보기
인수대비, 소혜왕후, 성종의 어머니 인수대비, 소혜왕후, 성종의 어머니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그러나 1469년에 자신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왕위에 등극하고, 자신도 궁궐에 다시 들어가 곧 왕비로 진봉되었다가 1475.. 더보기
원경왕후, 태종의 비, 가장 정치적인 왕비 원경왕후, 태종의 비, 가장 정치적인 왕비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년 7월 29일 (음력 7월 11일) ~ 1420년 8월 18일 (음력 7월 10일))는 조선 태종(太宗)의 왕비이자 조선 세종대왕(世宗大王)의 모후이다. 여흥부원군 문도공 민제(驪興府院君 文度公 閔霽)의 둘째 딸로, 본관은 여흥(驪興)이다. 남편 태종이 왕이 되는 데 막대한 역할을 했으나 후일 남편에 의해 친정이 멸문당하는 과정을 지켜봐야 했다. 조선 왕조에서 정희왕후, 문정왕후와 더불어 가장 정치적인 왕비이며, 성격 또한 담대하고 괄괄하였다. 개경 철동에서 태어났다. 18세인 1382년에 황산 전투를 승리로 이끈 명장 이성계의 5남이자, 아버지 민제의 제자인 이방원과 결혼하였다. 그녀는 결혼 후 10년 동안 위화도 회군,..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