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김상헌,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주전론을 펴고, 최명길이 작성한 항복문서를 찢고 통곡하다.

반응형

 

 

김상헌,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주전론을 펴고, 최명길이 작성한 항복문서를 찢고 통곡하다.

 

김상헌(金尙憲, 1570년 ~ 1652년)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 학자이다. 병자, 정묘호란시 척화대신으로 이름이 높았다. 본관은 (신) 안동, 자는 숙도(叔度), 호는 청음(淸陰)·석실산인(石室山人)·서간노인(西磵老人)이며,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윤근수(尹根壽)의 문인. 조선후기 세도가의 직계선조로 그의 후손에서 13명의 재상과 수십 명의 판서, 참판이 배출되었고, 순조비, 헌종비, 철종비 등 왕비 3명과,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가 모두 그의 후손이었다.

 

생애 초반

3세 때 큰아버지인 김대효에게 출계(出系)하였다. 윤근수(尹根壽)의 문하에서 수업하고, 《소학(小學)》 공부에 힘썼으며 성혼의 도학에 연원을 두었다. 590년에 진사가 되고, 1596년(선조 29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통례원 인의(引儀)가 되었다. 이후 부수찬·예조좌랑·부교리를 역임했고, 예조좌랑·시강원사서·이조좌랑·홍문관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32세 때인 1601년 제주도에서 발생한 길운절(吉雲節)의 역옥(逆獄)을 다스리기 위해 안무어사로 임명되어 6개월 동안 제주도에 파견되었다.

 

북인과의 갈등

이후 정인홍(鄭仁弘) 등이 성혼(成渾) 등을 비판할때 연루되어 외직으로 좌천되었다. 이후 고산찰방(高山察訪)·경성판관(鏡城判官) 등을 지내고 1608년 문과중시에 급제하여 사가독서한 후 동부승지가 되었으나,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을 배척하려던 정인홍을 탄핵하였다가 광주부사(廣州府使)로 좌천되었다. 이후 이황·이언적 등을 문묘에 종사하는 일을 놓고 1611년 정인홍이 상소를 올려 이황이언적을 격렬히 비난하자, 승지로 있으면서 정인홍을 규탄하였다. 인목대비 폐모론(廢母論)이 나오자, 그는 폐모론에 반대하였다.

 

인조 반정과 정묘호란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이조참의에 발탁되었고,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가 되었다. 24년 인조반정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이괄 등이 거병하여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그는 인조에게 누차 상소를 올려, 붕당·파벌을 타파하고 인재를 등용하며 언로를 넓힐 것을 주장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반정 이후에도 강직한 성격으로 누차 시사를 비판하다가, 반정 주체들의 뜻에 거슬려 향리로 귀향하였다. 이후 대사간·이조참의·도승지·부제학을 거쳐,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났을 때 진주사로 명나라에 갔다가 구원병을 청하였고, 돌아와서는 후금(後金)과의 화의를 끊을 것과 강홍립(姜弘立)의 관작을 복구하지 말 것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인조가 자신의 부친 정원대원군을 대원군에서 다시 왕으로 추존하려 하여, 이른바 추숭논의(追崇論議)가 일어나자 예법에 어긋남을 들어 그에 강력히 반대하였고, 찬성한 반정공신 이귀(李貴) 등과 갈등을 빚어 다시 낙향하였다. 그뒤 다시 육조판서예문관·성균관의 제학 등을 지냈다.

1633년 사헌부 대사헌에 기용되었는데, 이후 2년간 5차례나 대사헌에 임명되었으나, 강직한 언론활동을 벌이다가 여러 고관들과 충돌, 출사와 사퇴를 여러번 반복하였다.

 

병자호란과 척화론

1636년 예조판서로 재임할 때,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으로 인조를 호종하였으며 주화론(主和論)을 배척하고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펴다가 대세가 기울어 항복하는 쪽으로 굳어지고 인조가 항복하자 최명길(崔鳴吉)이 작성한 항복문서를 찢고 통곡하였다. 항복이 정해지자 식음을 전폐하고 교수 자살을 기도했으나 실패했는데, 최명길은 이를더러 가족들이 다 보는 앞에서 자살을 시도해서 죽을 수나 있겠냐며 쇼를 한 것이라 비난했다. 정축하성(소위 삼전도 굴욕) 때 인조를 따라가지 않고 남한산성 뒷문으로 나가 안동의 학가산(鶴駕山)에 들어갔다. 와신상담해서 치욕을 씻고 명나라와의 의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내용의 상소를 올린 뒤 안동 소산으로 은퇴하였다.

1638년 사헌부 장령 유석(柳碩) 등으로부터 "김상헌이 혼자만 깨끗한 척하며 임금을 팔아 명예를 구한다"라는 내용의 탄핵을 받았다. 그러나 인조는 받아들이지 않고 곧 조정에 다시 들어오라는 명을 내렸으나, 조정에서 군대를 보내 청이 명을 치는 것을 돕는다는 말을 듣고 의연히 반대하였다.

 

인질 생활

1639년 청나라명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요구한 출병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청나라의 요구로 압송되어 4년 뒤에야 풀려났다. 선양(瀋陽)에 잡혀 있을 때, 여진족은 수시로 회유하였으나, 그는 강직한 성격과 기개로써 청인들의 타협 요구를 거절하고 끝내 조금도 굽히지 않아, 청나라 사람이 의롭게 여기고 칭찬해 말하기를 “김상헌은 감히 이름을 부를 수 없다.”라고 했다.

1645년 소현세자와 함께 귀국하였지만, 그를 탐탁지 않게 여기는 인조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여 벼슬을 단념하고 석실(石室)로 낙향하여 은거하였다. 효종이 즉위하여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았으며, 1649년 대학자로 존경을 받는 가운데 의정부좌의정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수차례 거절하며 은퇴의 뜻을 밝히고 효종에게 인재를 기르고 대업을 완수할 것을 강조하였다. 김육이 추진하던 대동법의 시행을 김집 등과 함께 강력 반대하기도 하였다.

 

생애 후반

이후 영돈령부사로 있다가 1650년 5월 28일 녹봉을 수령하지 않았다 하여 효종이 녹봉을 내려 승지가 달구지에 싣고 갔으나 업무를 보지 않았으니 받지 못한다며 도로 실어가게 하였다. 그해 8월 다시 치사(致仕)를 청하였으나 효종은 불허하였다.

1651년 5월 28일 영돈녕부사직 등 모든 직함을 사직하였으나 불허하였고, 11월 13일 병이 나자 어의(御醫)를 보내어 진찰하고 약물을 하사하였다. 1652년 4월 다시 사직상소를 올렸으나 거부되었고, 영돈령부사로 재직 중 사망하였다.

1653년 특명으로 의정부영의정이 증직되었다. 명필로도 이름이 높았으며, 문집으로 《청음전집》 40권이 있다.

 

사후

그의 후손에서 13명의 재상과 수십 명의 판서, 참판이 배출되었고, 순조비, 헌종비, 철종비 등 왕비 3명과,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가 모두 그의 후손이었다. 죽은 뒤 대표적인 척화신으로서 추앙받았고, 1661년(현종 2) 효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묘는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석실 안동김씨분산에 있다.

 

☞ 연관글

[역사보기] - 최명길,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와의 화의론을 주장하여 주전론을 주장하던 청음 김상헌과 맞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