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라

중원고구려비, 고구려가 신라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알 수 있다. 중원고구려비, 고구려가 신라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알 수 있다. 충주 고구려비(忠州 高句麗碑) 또는 중원 고구려비(中原 高句麗碑)는 대한민국에서 발견된 유일한 고구려비로 5세기 고구려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비의 높이는 2.03 m, 폭은 55 cm, 두께는 33 cm이고,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 입석마을에 소재한다. 1981년 3월 18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05호로 지정되었다. 역사 충주 고구려비는 1979년 4월 8일 단국대학교 박물관 학술조사단에 의하여 고구려 시대의 석비로 판명됐다.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구려 석비로, 장수왕이 남한강 유역의 여러 성을 공략하여 개척한 후 세운 기념비로 추정된다. 1979년 입석마을 입구에서 발견되었는데, 오랜 세월이 흐른 탓에 발견 .. 더보기
비유왕, 구이신왕의 맏아들, 대 고구려 압박 외교를 하다. 비유왕, 구이신왕의 맏아들, 대 고구려 압박 외교를 하다. 비유왕(毗有王, ? ~ 455년, 재위 : 427년 ~ 455년)은 백제의 제20대 국왕이다. 휘는 비유(毗有) 또는 비(毗)이고, 송서 이만전 백제조(宋書 夷蠻傳 百濟條)에서는 여비(餘毗)로 나와있다. 구이신왕(久爾辛王)의 맏아들이다. 《삼국사기》는 전지왕의 서자라는 설도 있으나 분명치 않다고 기록하고 있다. 용모가 아름답고 언변이 좋았다고 한다. 그의 다른 이름은 곤유왕(昆有王), 피류왕(避流王)이다. 치세 427년부터 455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427년부터 이듬해 428년까지 해충이 섭정하였고 428년부터 454년까지 친정하였으며 454년부터 이듬해 455년에 붕어할 때까지 아들 경사가 대리청정하였다. 생애 비유왕은 구이신왕의 장남이다. 삼.. 더보기
미추왕릉, 신라 최초의 김씨 왕, 농업을 장려하다. 미추왕릉, 신라 최초의 김씨 왕, 농업을 장려하다. 경주 미추왕릉 (慶州 味鄒王陵))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신라 13대 왕인 미추 이사금(재위 262∼284)의 무덤이다. 1969년 8월 27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75호 신라미추왕릉으로 지정되었으나, 2011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신라 최초의 김씨 왕으로 백제의 여러차례 공격을 막아내고 농업을 장려한 신라 13대 왕인 미추이사금(재위 262∼284)의 무덤이다. 『삼국사기』에는 미추왕릉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신라 유례왕 14년(297) 이서고국(伊西古國) 사람이 수도인 금성을 공격하여 위급한 상황에 처하자 대나무잎을 귀에 꽂은 군사가 나타나 적을 물리치고 사라졌다. 누군가 미추왕릉에 댓잎을 수북이 쌓인 것을 보고 미추왕이 .. 더보기
공산전투, 왕건 후백제군에게 포위당해 일생일대의 위기에 처하다. 공산전투, 왕건 후백제군에게 포위당해 일생일대의 위기에 처하다. 공산 동수 전투(公山棟藪戰鬪)는 후삼국 시대인 927년 신라 공산(公山, 현 팔공산) 동수(棟藪, 현 지묘동)에서 고려의 왕건과 후백제의 견훤이 치른 전투로 견훤이 왕건군을 기습 공격해 대승을 거두었고 이곳에서 신숭겸 등 8명의 장수가 전사해 지명이 공산에서 팔공산으로 바뀌었다는 설화도 있고 반야월 등 대구의 대표 지명들이 이 전투에서 생겼다. 배경 후삼국 시대 당시 고려와 후백제는 처음에는 별다른 충돌 없이 평화롭게 지냈으나 926년 9월에 후백제 왕 견훤이 고려 근품성을 공격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후로 고려와 후백제는 수차례에 걸쳐 충돌하였다. 이 과정에서 신라는 대체로 고려를 지지하였는데, 이는 견훤이 신라의 무관 출신임에도 불구.. 더보기
장보고, 신라 왕실의 명을 받은 자객 염장에게 살해되다. 장보고, 신라 왕실의 명을 받은 자객 염장에게 살해되다. 장보고(張保皐, 787년 ~ 846년)는 한국 남북국 시대 신라의 무장이자 해상 호족이다. 그의 출생과 계통은 알 수 없으나 《삼국사기》에는 본명을 궁복(弓福) 또는 궁파(弓巴)라고만 적고 있다. 일찍부터 친구 정년(鄭年)과 함께 당의 서주(徐州)로 건너간 그는 그곳에서 승마와 창술에 특출난 재주를 보이며 군인으로서 출사해 무령군중소장(武寧軍中小將)의 직책을 받게 되었다. 흥덕왕 3년(828년) 초에 신라로 돌아온 그는 왕에게 신라인들이 해적들에게 납치되어 노예로 팔리는 참상을 전하며, 완도에 군사 거점을 세워줄 것을 청했다. 마침내 승인을 얻어 1만여 명의 군대를 확보한 그는 완도에 청해진(淸海鎭)을 세우고 대사(大使)가 되었다. 그의 활약으로 .. 더보기
검모잠, 궁모성에서 고구려의 부흥운동을 전개하다. 검모잠, 궁모성에서 고구려의 부흥운동을 전개하다. 검모잠(劍牟岑, ? ~ 670년)은 고구려의 부흥운동 지도자로 벼슬은 대형(大兄)이었다. 고구려 멸망 후 유민을 규합하고 옛 왕족 안승을 옹립하여 부흥운동에 나섰다. 신라의 지원을 받아 당(唐)의 세력을 몰아내려 했으나, 당군의 반격과 그에 따른 후퇴 와중에 안승에 의해 살해당했다. 생애 《구당서》고종본기에는 겸모잠(鉗牟岑)으로 기록되어 있다. 수림성(水臨城) 사람이라고만 알려진 그는 고구려가 멸망하고 2년이 지난 670년(경오년, 당 고종 함형(咸亨) 원년) 4월에 궁모성(窮牟城)에서 거병하여 부흥운동을 전개했다. 검모잠이 거병했을 당시 고구려 부흥군은 신라의 지원 아래서 활약하고 있었다. 신라군과 연합한 고구려 부흥군 세력은 한때 압록강을 넘어 요동까.. 더보기
아로공주, 박혁거세 거서간의 따르 신라 시조묘의 제사를 주관하다. 아로공주, 박혁거세 거서간의 따르 신라 시조묘의 제사를 주관하다. 아로공주(阿老公主)는 남해차차웅의 친누이이자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거서간의 딸로, 신라 시조묘의 제사를 주관하였다. 생애 시조묘(始祖廟)의 제사장(祭司長)이었다. 제2대 남해차차웅의 누이이다. 서기 65년 (남해차차웅 3년)에 세워진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의 사당에 일년에 네 차례 정기적으로 지내는 제사를 맡았다. 신라 초기의 왕실 여성은 왕권의 하나인 제사권을 분담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신처(神妻)로서 조령(祖靈)에 봉사하는 여성은 미혼녀일 것이 요구되었으므로, 기실 그녀는 남해차차웅의 왕비인 아루부인(阿婁夫人)과 같은 인물이면서도 남해차차웅과 남매관계에 있다고 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아로의 왕실제사 기록은 본디 사제(司祭).. 더보기
고이왕, 왕권 강화로 백제의 기반을 다져놓다. 고이왕, 왕권 강화로 백제의 기반을 다져놓다. 고이왕(古尒王, ? ~ 286년, 재위: 234년 ~ 286년)은 백제의 제8대 국왕이다. 구이왕(久爾王)·고모왕(古慕王)이라고도 한다. 성은 부여(扶餘) 일본의 사서 《신찬성씨록》, 《일본서기》등 에는 구이(久爾) 또는 구이(仇爾), 고모(古慕) 등의 이름으로 표기되어 있다. 고이왕은 즉위 후 국가체제의 정비와 왕권 강화에 주력하여 고대국가로서의 백제의 기반을 다져놓은 인물이었다. 백제의 실질적인 건국자로 보는데, 집권력의 강화를 위하여 좌장(左將)을 설치하여 내외 병마권을 관장하게 함으로써 족장들의 독자적인 군사력을 약화시켰다. 초고왕, 구수왕과의 가족관계 여부 연대차이로 이견이 존재한다. 생애 고이왕의 가계는 불확실한데 고이왕은 보통 《삼국사기》의 기록..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