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최윤덕, 세종 치세에 이종무와 더불어 대마도를 정벌하다.

반응형

 

최윤덕, 세종 치세에 이종무와 더불어 대마도를 정벌하다.

 

최윤덕(崔閏德, 1376년 ~ 1445년)은 조선의 무신이다. 본관은 통천(通川)이며, 자는 여화(汝和)·백수(伯修), 호는 임곡(霖谷)이다. 시호는 정렬(貞烈)이고, 세종묘에 배향되었다.

일찍이 무과에 올라 부친을 따라 여러 전장에서 무공을 세웠고, 벼슬은 병조판서를 거쳐, 무신으로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또한 최초의 영중추원사가 되었으며 궤장을 하사받았다. 세종 치세에 이종무와 더불어 대마도를 정벌하였고, 북방의 여진족을 정벌하고 4군을 설치하여 압록강유역의 국경선을 확정하였다. 전국에 여러 읍성과 산성을 축성하여 축성대감으로 불렸다.

 

유년기

1376년(고려 우왕 2년)에 창원시 북면 내곡리 무릉촌에서 조선초 명장인 양장공 최운해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382년 6세에 모친 창원이씨가 산후후유증으로 별세하여 인근의 천민 양수척에게 위탁되어 키워졌다. 1389년 14세에 활을 쏘아 능히 큰 호랑이를 잡았다. 이후 아버지의 명에 따라 계모 안동권씨의 제종조인 양촌 권근선생에게 사사하였다.

 

입조

1394년(태조 3년) 19세에 무과 회시에 장원하였고, 아버지의 군관으로 복무하였다. 1396년(태조 5년) 21세에 부친을 따라 영해전투에 처음 출전하여 왜구를 크게 무찔렀다. 1401년(태종 즉위년)에는 태종이 직접 면담하고 인재를 얻었노라 기뻐하고 바로 훈련관 부사직(종5품)에 임명되었다. 1402년(태종 2년)에는 무과 전시에 합격하여 호군에 올랐다.

1404년(태종 4년)에 부친 양장공 최운해가 별세하여 시묘살이를 하던 중 상중에 기복을 명받고 대호군에 올라 병무를 수행하였다. 1406년(태종 6년)에는 지태안군사가 되었다.

1410년(태종 10년) 다시 한번 무과에 급제하여 상호군에 올라 동북면 조전지병마사로 출전하여 여진족을 정벌하고, 경성병마사가 되었고 1411년(태종 11년)에는 경성절제사 겸 우군동지총제가 되고, 곧이어 경성등처도병마사가 되어 동맹가첩목아(童孟哥帖木兒)를 복속시킴으로써 여진족의 준동을 막았다.

1412년(태종 12년)에는 중군절제사, 1413년(태종 13년)에는 우군절제사가 되었다. 1415년(태종 15년)에는 우군총제 겸 영길도도순문찰리사가 되었다. 1417년(태종 17년) 한양으로 돌아와서 무과시험관을 맡았고, 1418년(태종 18년) 좌군총제 겸 도진무가 되었다.

 

성군 세종과의 만남

1418년(세종즉위년) 중군도총제가 되었고, 이어 1419년(세종 1년)에는 의정부 우참찬이 되었다. 이어 대마도 출정에는 3군도절제사로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1421년(세종 3년)에는 공조판서에 올라 정조사로 중국에 다녀왔다.

1423년(세종 5년)에 평안도 도병마절제사가 되어 안주목사를 겸하였고, 1425년(세종 7년)에는 우찬성이 되었다. 1426년(세종 8년)에는 사복제조 겸 중국사신의 영위사를 맡았다. 1427년(세종 9년) 판좌군부사에 올라 수조관으로 세자를 호위하고 중국에 다녀왔다.

1428년(세종 10년)에는 병조판서가 되었고, 이어 충청, 전라, 경상, 3도 도순찰사를 겸하여 성곽을 수축하였다. 이어 1430년(세종 12년)에는 판중군부사, 세종14년에는 판중추원사가 되었다.

1433년(세종 15년) 평안도 도절제사 겸 3군도통사로 파저강유역의 여진족 이만주를 정벌하였다. 이 공으로 의정부 우의정에 특진되어 무신으로 드물게 재상의 자리어 올랐다. 여러 번 무인으로 재상의 자리에 오르는 것이 부당하는 소를 올렸으나 세종께서 윤허하지 않았고, 평안도 도안무찰리사를 겸하였다. 1434년(세종 16년)에는 우의정을 사임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다시 윤허 하지 않았다.

1435년(세종 17년)에는 의정부 좌의정이 되었는데, 비변사의 24조를 건의하고 사직상소를 임금께서 윤허하지 않으셨다. 1436년(세종 18년)에는 사직상소를 올리는 정렬공을 위해 무관직인 중추원에 영중추를 신설하여 최초로 영중추원사에 올랐고 1438년(세종 20년)에는 어가수행의 특명을 받았다. 1440년(세종 22년) 비변사의 9조를 다시 건의하였는데 이때 계모 안동권씨 별세하여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3년 상을 마치고 1442년(세종 24년) 다시 영중추원사로 복직하였다. 1444년(세종 26년0에 69세의 고령으로 영중추원사를 사임하는 소를 올렸으나 윤허하지 않으셨다.

1445년(세종 27년) 국조기로소에 들에 궤장을 하사받았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1445년(세종 27년) 12월 5일에 별세하니 향년이 70이었다.

시호를 정열(貞烈)이라 내렸다. [청백하게 절조를 지킴이 정(貞)이요, 공이 있어 백성을 편안케 함이 열(烈) 이다.] 세종이 예관을 명하여 창원부 북면 백월산하 사로곡에 국가에서 장사를 지냈다.

1446년(세종 28년)에는 세종께서 친히 정렬공의 제문을 하사하였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세종묘 배향 신하 중 1번으로 선정되어, 세종묘(서울 종묘)에 위판을 배향되었다.

1683년(숙종 9년)에는 통천의 상열사에, 1707년(숙종 33년) 안주 청천사에 사액하고 을지문덕과 함께 제향하였다. 이어 용천의 용천사에 사액하였다. 정조 3년, 정조 18년, 순조 18년, 헌종 5년에는 창원에 세워진 정려각을 각각 중수하였다. 묘와 생가터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연관글

[역사보기] - 이종무, 쓰시마 섬을 정벌하여 안정된 대일관계를 마련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