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이의민, 무신정권, 권력을 남용하다 처형되다.

반응형

 

                                                                                                                                                                                                                 고려사 이의민

 

이의민, 무신정권, 권력을 남용하다 처형되다.

 

 

이의민(李義旼, ? ~ 1196년 5월 7일 (음력 4월 8일))은 고려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자 무신정권의 지도자이다.

본관은 정선(旌善)이며 종교는 불교이다.

 

그는 본래 안남국 리 왕조의 후손으로 5대조 이양혼이 베트남에서 중국을 거쳐 고려로 망명하였다.

경대승이 갑작스럽게 죽자 집권하였다.

 

집권 이후 권력을 남용하다가 1196년 이른 봄 아들 이지영이 동부녹사 최충수의 비둘기를 빼앗은 사건으로 최충헌, 최충수 형

제의 정변에 휘말려 처형되었다.

 

경상도 경주 출신이다.

고려 명종 시기 1183년부터 1196년까지 왕 대신 실권을 잡았다.

 

출생과 가계

 

출생년도는 미상으로 경주의 소금장수 이선을 아버지로 영일현 옥령사의 여종을 어머니로 하여 경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6대조 이양혼은 본래 베트남 안남국의 리 왕조의 왕자였으나 난을 피해 배를 타고 이주하여 고려 경상도 경주에 정착하

였다.

 

이선의 세 아들 중의 한사람으로, 고조부 이시두는 고려에서 예의판서를 지냈지만 이후 몰락하여 한미한 집안에서 태어났으

나 키가 크고 힘이 세어 안찰사 김자양(金子陽)에게 발탁되어 경군(京軍)에 편입되었다.

 

군인 활동

 

수박(권투)을 잘 하여 의종의 총애를 받아 별장이 되었다가 1170년(고려 의종 24년) 정중부의 난에 가담하여 공을 세우고 중랑

장이 되었다.

 

1173년(고려 명종 3년) 김보당의 의종 복위 반란을 진압하여 대장군이 되고, 그 후 조위총의 난을 평정하여 상장군이 되었고 이

과정에 의종을 처형하고 시체를 가마솥 두 개에 넣어 연못에 던져버렸다고 한다.

 

1179년(고려 명종 9년) 경대승이 정중부를 처형하고 정권을 장악한 뒤에는 그를 두려워하여 병을 핑계로 고향인 경주에 있다

 1183년(고려 명종 13년) 경대승이 병으로 죽은 뒤에 다시 조정에 나가 판병부사가 되었다.

 

권력 장악

 

권력을 잡자 뇌물을 받고 백성들의 민가를 함부로 헐으며 논밭을 수시로 빼앗았으며 아들 이지영, 이지광, 손자 이진옥도 횡

포가 심하기로 유명했다.

 

특히 이지영과 이지광은 백성들로부터 쌍도자(雙刀子)라 불릴 정도로 악명이 높았다.

 

민가나 길가에서 여자를 함부로 겁탈하고 심지어 국왕 명종의 애첩까지 겁탈하는 사건이 일어났으나 명종은 아무런 조치도 취

하지 못했다.

 

급기야 자신이 왕이 될 꿈마저 꾸며 김사미(金沙彌)·효심(孝心) 등과 힘을 합하여 고향 경주를 중심으로 신라 부흥을 도모하려

하였으며 1193년(고려 명종 23년) 이의민과 내통하는 남적들을 토벌하기 위해 아들 이지순과 대장군 전존걸이 출병했으나 이

지순이 오히려 이들을 도와주자 전존걸은 크게 한탄하며 자살해버렸다.

 

최후

 

1196년(고려 명종 26년) 이른 봄 아들 이지영이 동부녹사 최충수의 비둘기를 빼앗자 최충수는 이에 불만을 품고 형 최충헌을

찾아가 이의민 암살을 모의했고 음력 4월 8일, 미타산(彌陀山) 별장에서 말을 타려할 때 문 밖에서 대기하던 최충헌, 최충수

제에게 처형되었다.

 

사후 머리는 참수되어 길거리에 효수되었으며 최충헌은 백존유의 도움으로 군사를 일으켜 3족을 멸하고 이지순과 이지광을

처형했으며 이지영은 해주에서 연회를 벌이다 장군 한휴에게 붙잡혀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사후

 

그의 사촌 형제인 이희민과 조카 이성순까지 화를 당했다.

그러나 이희민의 며느리인 여흥 민씨가 종손인 이우원을 데리고 강원도 정선군으로 이주, 은신하였다.

 

이후 그의 후손들은 본관을 정선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그가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서는 경주 사람이라 기술되어 경주 이씨로 보았으나 1990년대 이후 후손들이 정선 이씨임을 밝히

기도 했다.

 

본관

 

이의민의 본관은 정선 이씨이다.

정선 이씨는 베트남 리왕조 연원을 안남 이씨의 한국 성본이다.

 

 한국 안남 이씨의 상조 이양혼(李陽焜, 리 즈엉 꼰)은 베트남 안남국 리왕조 인종(이건덕, 李乾徳, 재위, 1072년 ~ 1128년)의

셋째 아들이자, 5대 임금 신종(이양환, 李陽煥, 재위, 1128년 ~ 1138년) 의 아우로 신종과 왕위를 다투다가 북송으로 망명하여

송나라 문하시중이었던 진(陳)씨의 딸과 결혼하였는데, 송나라 휘종(재위, 1100년 ~ 1125년) 때 금나라의 공격으로 북송이 쇠

하고 남송으로 전환되는 1127년에 고려로 들아와 경주에 정착하고, 2세손 이시두(李君郁)는 고려 인종(재위, 1122년 ~ 1146년)

에 예의판서(족보)에 올랐고, 6세손 이의민(李義旼)은 상장군, 종형 이희민(李羲旼)은 문하시중이 되었다.

 

이양혼의 9세손 이우원(李遇元)은 정선에 정착하여 본관을 정선으로 하였다.

 

이의민은 최근까지 경주에서 출생하였기 때문에, 경주 이씨로 알려졌으나 본래 경주 이씨가 아닌 안남 이씨이고,

이우원(李遇元)이 정선으로 분파한 이후에, 본관을 정선으로 기록하였다.

 

이의민이 경주의 천한 가문 출신이라고 기술되고 있는데, 고려 시대 무신정권의 세력다툼, 후기 문신들이 전횡하는 상황속에

서 의도적으로 부정적으로 묘사된 측면이 있다.

 

그리고 조선 시대에는 충(忠)이라는 유교적 가치을 중시하였기 때문에, 무신정권의 모든 인물을 부정적인 시각에서 기술하

였다.

 

현재에는 고려 왕조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무신정권에 거부감이 있어, 이의민, 최충헌, 최우 등의 무신정권 실권자들을 부정적

으로 묘사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