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임나일본부설, 스에마쓰 야스카즈가 주장한 임나일본부는 공식적으로 폐기된 학설

반응형

 

 

 

임나일본부, 스에마쓰 야스카즈가 주장한 임나일본부는 공식적으로 폐기된 학설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 또는 남선경영론(南鮮經營論), 임나지왜재(任那之倭宰),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說)는

4세기 ~ 6세기에 왜국이 한반도 남부 지역에 임나(가야의 일부)에 통치기구를 세워 한반도 남부 지방의 일부를 다스렸다는 학

설이다.

 

일본인 학자 스에마쓰 야스카즈가 주장했다.

 

개요

 

이 학설은 크게 3가지 사료로 나뉘어 생각되며, 이는 391년 광개토왕릉비 신묘년 기사, 《일본서기》에 진구 황후 편에 신라와

백제가 조공을 바쳤다는 내용의 기사, 백제의 칠지도 명문이다.

 

이 가운데 특히 8세기의 역사서 《일본서기》에 근거하여 임나일본부의 실재 여부나 그 기능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많은 이

견이 있다.

 

2010년,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는 임나일본부설과 관련해 임나일본부의 존재 자체가 없었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 했음을 밝

히고 있다.

 

다만 일본의 몇몇 교과서에는 이 내용이 그대로 실리기도 하였는데 이는 곧 임나일본부설이 공식적으로 폐기된 학설임에도 불

구하고 여전히 교육과정에서 이를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사료

 

《일본서기》에는 진구 황후가 369년 가야 지방을 점령해 임나일본부를 두고 실질적인 통치를 하다가 562년 신라에 멸망했다

고 쓰여 있다.


광개토왕릉비의 신묘년(391년)에 해당하는 곳에는

 

“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百殘□□新羅以臣民”

 

이라고 쓰여 있는데, 일본 학자들은 손상된 부분들을 의역하여

 

“왜가 바다를 건너(渡海) 백제, 임나, 신라를 격파(破百殘任那新羅以臣民)하고 신민으로 삼았다”

 

고 해석한다.

 

그러나 한국 학자들은 비문의 내용이 고구려의 행동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고구려가 주체라고 해석한다.

또한 필체 등을 들어 비문의 일부가 20세기 초에 일제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최근에는 임나일본부에 대해 일부 일본인 학자들도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또한 ‘임나’는 삼국사기 강수전에서의 임나가량(任那加良)이라고 기술된 부분과 진경(眞鏡)대사 탑비의 임나왕족인 흥무대

왕 김유신이라는 부분을 보면 임나는 금관가야임을 알 수 있다.


남조(南朝) 송(宋), 제(齊), 양(梁) 나라의 역사기록에 나오는 왜왕의 책봉기사도 들고 있다.

 

여기에는 왜왕이 "왜백제신라임나진한모한제군사왜국왕(倭百濟新羅任那秦韓慕韓 諸軍事倭國王)"이라는 관작(官爵)을 인정

해줄 것을 요청하였고, 송에서는 백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대한 왜의 지배권을 인정하는 듯한 칭호를 내린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소노카미신궁(石上神宮)의 칠지도(七支刀)도 왜의 군사적 우세와 한반도 남부 지배를 인정한 '번국(蕃國)' 백제가

야마토 조정에 바친 것으로 해석되었다.

 

임나일본부설 비판

 

《일본서기》는 8세기 초에 쓰여진 책으로써 그 내용이 의심스럽고 상호 모순되는 부분이 많아 지금은 일본의 학자들도 비판

을 하는 자가 상당히 많다.

 

임나일본부설과 관련된 일본서기의 대표적인 왜곡으로 백제의 장군 목라근자(木羅斤資)에 대한 일본서기의 서술이 있다.

일본서기 382년 기록 을 보면 전쟁에서 대가야를 구원한 사람은 백제 장군인 목라근자로 되어 있다.

 

그러나 목라근자의 가야제국(諸國) 평정과 대가야 구원을 마치 천왕의 명에 따라 일본에 파견하여 이루어진 것처럼 왜곡되고

있다.

 

백제는 내륙국이였던 대가야를 바로 구원할 수 있었지만, 일본은 내륙에 있는 대가야를 구원하기 위해서는 바다를 건너 한반

도 남쪽 지역들을 뛰어넘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 

 

이 기록을 근거로 일본의 학자들은 일본이 가야를 200년 가까이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했었다.


'일본' 이라는 국호는 고구려, 백제가 나당연합군에게 멸망한 7세기 이후에 사용된 것이니 만큼, 4세기에 '일본' 이라는 명칭이

들어가는 '임나일본부' 가 있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임나일본부는 중요한 역사 기록 일텐데 고사기에는 전혀 기록이 되어 있지않다.

720년 편찬된 일본서기보다 8년 전 편찬된 고사기에는 신공왕후의 임나정벌과 같은 사실이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200년간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데 한국의 기록에 이를 입증할 만한 단서가 전혀 없다.

단지 '임나' 라는 지명만이 광개토왕릉비, 삼국사기, 진경대사탑비에 보일 뿐이다.


왜의 가야 지배를 입증할 고고학적 유물이 전혀 없다.

 

만약, 왜가 가야를 정복했다면 4세기에 가야 유물이 끊기고 6세기에 왜의 유물이 출토되어야 한다.

하지만, 출토된 유물은 4~6세기까지 가야유물이 계승된다.


5세기~6세기 전반에 걸쳐, 야마토왕조가 가까이 있는 구주왕조를 정복하고 있지 못했는데, 그 이전(4세기)에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정복 할 수 있었다는 것은 말이 되지않는다.

 

4세기는 백제의 근초고왕 전성기로써, 백제의 전성기에 일본이 한반도 남부 지방을 정복할 수는 없다.


그 당시, 배의 운송 능력이 군인 25명, 말 2~3필 정도이다.

이러한 능력으로는 일본 열도로부터 한반도 남부 지방을 경영할 만한 충분한 병력과 물자를 한반도에 전달할 수 없다.

 

현대의 학설

 

임나일본부설에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이들 학설 가운데 몇 가지를 뽑아 보면,


일본이 가야 지방에 일본부를 두고 가야를 실제로 지배했다는 설.

(일본의 末松保和, 石母田正, 八木充의 說, 기존 일본 학계의 통설이었던 說)


가야 지방의 일본인을 관리하기 위해 일본 조정이 세운 기관이었다는 설.(일본의 井上秀雄의 說)


일본과 외교 관계가 돈독했던 가야 동맹의 한 나라였다는 설.


교역을 위해 양국이 교류한 흔적(교역기관)이라는 설.(대한민국의 이병도,이근우,김태식과 일본의 吉田晶의 說)


가야인이 일본 열도로 건너가 세운 나라였다는 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석형의 說)


백제가 가야를 지배하기 위해 세운 기관(백제군사령부)이었다는 설. (대한민국의 천관우, 김현구의 說)


한국의 역사학자 이병도는 일본사에서 소위 임나일본부(ヤマトノミコトモチ)란 왜관(倭館)의 관리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서

이 때에는 다소의 정치활동을 겸하였던 것인 듯 하거니와, 이 역시 본질적으로 구명(究明, =규명)하면 철, 금, 은, 직물, 재보

(보석), 기타 곡물의 무역취인을 주로 맡던 일종의 공(公)적 상관(商官)이라고 설명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