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윤임, 인종의 삼촌, 명종조 권신들의 권력농단에 대한 책임 논란에 휩싸이다.

반응형

 

윤임, 인종의 삼촌, 명종조 권신들의 권력농단에 대한 책임 논란에 휩싸이다.

 

윤임(尹任, 1487년 ~ 1545년 8월 30일)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인척. 자는 임지(任之), 본관은 파평이다. 영돈녕부사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 윤여필의 아들이자 중종의 비인 장경왕후의 오빠로, 1506년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중종을 옹립하는데 기여하였다. 1512년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은 숭정대부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판돈녕부사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이르렀다. 누이 장경왕후 사후에 자신의 집안인 파평 윤씨에서 문정왕후를 새 왕비로 추천하였는데, 이후 윤원형 일가와는 앙숙이 됐다. 이후 대윤(大尹)의 거두로 윤원형, 윤원로 등 소윤(小尹) 일파와 대립하였다.

윤임은 인종의 외삼촌이었고 윤원형명종의 외삼촌이었는데, 둘이 세력이 비등하여 서로 싸웠으며, 당시 사람들이 윤임을 대윤, 윤원형을 소윤이라 불렀다. 중종 때부터 경원대군을 추대하려던 윤원형, 윤원로 등과 갈등하다가 1545년 인종이 죽고 명종이 즉위한 뒤 윤원형, 이기 일파의 탄핵을 받고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유배가던 중 그해 8월 충청북도 충주에서 사약을 받고 죽었다. 1577년(선조 10년) 신원되고, 임진왜란 때 아들 윤흥신의 공로로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추증되었다.

이황은 중종, 명종조의 척신들의 정사 농단에 대해 그에게도 죄가 있다고 비판했고, 이이는 그에게는 죄가 없다고 평가하는 등 상반된 시각이 있다. 그의 정적이었던 윤원형은 그와는 9촌간으로, 문정왕후의 친정아버지 윤지임은 윤임의 8촌 종형이었다. 중종 반정 공신인 박원종은 그의 외삼촌이었고, 월산대군제안대군은 그의 이모부였다. 작위는 파은군(坡恩君)이고 시호는 충의(忠毅)이다. 경기도 출신.

 

출생과 가계

윤임은 1487년(성종 18년) 가을 경기도 파주군에서 영돈령부사를 지낸 파평 윤씨 파원부원군 윤여필과 적개정난익대공신 판돈령부사 평양군이며 의정부영의정추증박중선(朴仲善)의 딸 순천부부인 박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세조정희왕후 윤씨의 친족으로, 고조부 윤번은 좌의정, 판중추부사를 지내고 파평부원군에 봉작되었으며 사후 영의정부사에 추증되었다. 정희왕후는 그의 증조할아버지 윤사균의 누이동생으로 증대고모 할머니였다. 한편 종증조부 윤사흔은 후에 윤지임의 증조부가 되고, 윤원형, 윤원로 5형제와 문정왕후의 5대조가 되며, 윤안인, 윤춘년의 4대조, 5대조이기도 했다. 고려 태사 윤신달의 18대손이며 문하시중 윤관의 14대손이다. 윤임의 집안은 무관의 가계로 그의 삼촌인 윤여해 역시 무신이었다.

증조부 윤사균정난공신좌익공신으로 좌의정, 판공조사, 예문관 대제학을 지냈으며 영평군에 봉작되었다. 할아버지 윤보공조참판을 지냈고, 후일 손녀 장경왕후의 현달로 아버지 윤여필영돈녕부사에 제수되면서 영의정 파릉부원군에 추증되었다.

어머니 순천부부인 박씨는 적개공신, 정난공신, 익대공신으로 판돈녕부사 평양군을 지내고 사후 증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박중선의 딸이다. 중종 반정 공신인 박원종은 그의 외삼촌이었고, 월산대군부인 승평부부인 박씨는 그의 큰 이모였으며, 예종의 차남 제안대군도 그의 이모부로, 작은 이모가 제안대군의 후처였다.

 

청소년기

그는 어려서부터 풍채가 좋고 위엄이 있었는데, 김상용이 쓴 신도비문에 의하면 그는 일찍부터 '모습이 준엄하고 기국이 쓸 만하였다'한다.

어려서 어머니가 일찍 세상을 떠났는데, 그는 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신 것을 마음 아프게 여겨서 자신이 거처하는 곳에 위연을 설치하고 생시와 마찬가지로 모셨으며 초하루와 보름에는 손수 제철 음식을 올렸으며 병이 들었어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한다.

그는 여러 명의 첩을 축첩하였는데 신도비문에 의하면 집안을 다스림에 법도가 있어 처첩이 비록 많았지만 교태를 부리거나 투기하는 여인이 없었다 한다. 그러나 그 중 기생출신 첩 매향임백령의 정인이었으나 자신의 첩으로 삼음으로서 그와 갈등하게 된다.

 

중종반정과 과거 급제

중종 반정이 성공한 이후 중종으로부터 공신호를 받았다. 이후 중종의 후궁으로 들어간 누이동생은 폐출된 단경왕후를 대신하여 왕비 장경왕후가 되었다. 그러나 장경왕후인종을 낳은 지 얼마 후에 바로 사망했고, 먼 일족으로 9촌 조카가 새 왕비로 책봉되었다(문정왕후). 문정왕후의 친정아버지 윤지임은 그의 8촌 형이었다.

1512년(중종 6년) 무과에 급제, 오위도총부도사, 사복시첨정을 지냈다.

 

관료 생활

그 뒤 여러 벼슬을 거쳐 통정대부로 특별 승진하여 경원부사로 부임하였다. 그 뒤 경주부윤으로 부임하였다.

1523년 충청도수군절도사로 있을 때 침략한 일본군과 싸우다가 패전하여 삭탈관직당하고 병사로 충군되기도 하였다. 1528년(중종 22년) 본부인 여주이씨가 세상을 떠나 1529년 2월 고양군 남면 향동에 장사지내고, 병마절도사 곽한(郭翰)의 딸과 재혼하였다.

그 뒤 남양부사로 전출되었다가 병조참의, 승정원승지를 거쳐 가선대부로 승진, 병조참판을 역임했다.

 

소윤과의 갈등

일찍이 인종이 왕세자로 있을 때 중종의 계비인 문정왕후가 명종을 낳자 중종은 이를 매우 사랑하였다. 그러나 세자는 생모도 일찍 여읜데다 병약하였고, 윤임은 그것을 염려하였다. 김안로(金安老)가 정권을 잡았을 때 윤임은 김안로와 함께 동궁(인종)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문정왕후와 틈이 생겼다. 그 후 윤원형 일파는 윤임이 경원대군(명종)을 해치려 한다는 말을 퍼뜨려 모함했으며, 윤임은 또 윤원형 형제가 인종을 해치려 한다는 설을 조작하여 대윤과 소윤간에 큰 싸움이 벌어졌다. 그러나 중종은 불문율에 부치기로 하고 이들의 갈등을 중재한다. 그러나 대, 소윤의 알력은 가라앉지 않고 벌어졌다.

그 뒤 자헌대부로 승진, 병조판서, 호조판서, 형조판서 공조판서 역임하였고 의정부참찬을 거쳐 숭정대부로 승진했다. 판서로 근무할 때 문서는 반드시 손수 초고를 작성하여 낭료는 감히 한 마디도 보탤 수가 없었고, 지켜보는 사관들도 흠을 잡지 못했다 한다. 또한 사람들도 역시 사사로운 것으로 간여할 수 없었다. 견리의 옥사를 처리함에 원통해하거나 지체된 경우가 없었고 호조판서로 재직 중에는 관용품을 남용하는 간사한 아전들을 적발하여 처벌하기도 했다.

1544년(인종 1년) 중종이 죽고 인종이 즉위하자 다시 형조판서를 거쳐 파은군에 봉작되고,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가 되었다. 이어 윤원로, 윤원형을 파직, 조정에서 축출하였다. 그러나 인종이 재위 8개월 만에 죽자, 명종이 어린 나이로 즉위했으므로 문정왕후가 대신 정사를 돌보았다. 곧이어 판돈녕부사로 전임되었고, 이에 크게 세력을 얻은 윤원형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를 일으켜 윤임을 제거하였다. 이때 사림파유관유인숙 역시 그의 당으로 몰아 제거한다.

 

유배와 최후

윤원형 일파는 그가 자신의 외조카인 계림군을 추대한다는 설을 퍼뜨렸고, 정난정윤원형의 사주를 받고 이를 문정왕후에게 전했다. 또한 무골(武骨)로 성격이 호방했으나 여색(女色)을 좋아하여 임백령(林百齡) 등에게 원한을 샀다. 그의 첩 중 한사람인 매향은 본래 임백령의 정인이었는데 그가 차지하게 되었고, 임백령은 이 일로 원한을 품고 윤원형, 윤원로, 윤춘년 등에게 협력하였다.

1545년 8월 이기 등의 탄핵으로 유배령을 받고 남해로 유배가던 중 8월 28일 사사령(賜死令)이 떨어진다. 8월 30일 배소로 가던 중 충청북도 충주에서 사약을 받고 생을 마감한다. 이때 그의 나이 향년 58세였다. 당시 성인이던 그의 아들 흥인(興仁)·흥의(興義)·흥례(興禮) 등 3명도 함께 사형당하였다. 장남 윤흥인은 무과에 급제하여 정랑, 첨정을 지냈고, 윤흥의는 생원이었으며 윤흥례는 당시 선공감감역이었다.

그의 다른 누이는 계성군(성종의 서자)의 양자가 된 계림군의 생모로, 이 인연으로 그가 계림군을 추대하려 했다는 무고를 당하기도 했다. 그의 아들들 중 윤흥신과, 장남 윤흥신의 세 아들만은 유모와 하인들에 의해 화를 피할 수 있었다. 이때 기적적으로 피신한 아들들 중 윤흥신은 후에 임진왜란 당시 참전했다가 전사한다.

을사사화중종, 명종조의 권신들의 권력농단에 대해 그에게도 책임이 있느냐 없느냐는 논란이 되었다. 퇴계 이황(李滉)은 "사직(社稷)에 대한 죄가 없지 않다"며 역시 비판하였으나, 이이(李珥)는 "임은 죄가 없다"고 하여 평가가 엇갈리기도 했다. 바로 고양군 남면 항동 손좌건향의 언덕에 매장된 본부인 여흥이씨의 시신과 함께 합장하였다.

 

사후

묘는 다른 곳에 매장했다가 복권 후 1590년(선조 23년) 윤임과 전부인 여흥이씨 묘를 이장하면서 윤임을 가운데 묻고 부인을 좌·우에 함께 묻었다. 경기도 고양군 남면 향동리(현 고양시 덕양구 향동동)에 있다. 선조 즉위 후 1577년(선조 10년)에 신원, 복관되었다. 임진왜란 아들 윤흥신이 전사하면서 병조참의추증되면서 추은(推恩)으로 후에 다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 관상감사에 특별 증직되었다.

1589년 후처인 현풍곽씨가 아들 윤흥신의 임지인 서산군에서 사망하자 그해 8월 남면 향동의 오좌자향의 언덕에 장사 지냈다가 1590년 10월 윤임과 전부인의 묘를 어머니 순천부부인 박씨 묘 아래로 천장하면서 그를 가운데에 묻고 부인은 좌우에 매장하였다. 그의 묘소 위에는 어머니 순천부부인 순천박씨의 묘소가 있고, 그의 묘소 아래에는 모친의 몸종의 묘가 있다. 아들보다 오래 살았다는 어머니 순천 박씨 묘가 몸종 묘와 함께 있다. 평생을 수족같이 따랐던 정성이 지극하여 후손들이 특별히 몸종 사후 위 아래로 매장했다고 한다. 드문 묘제라 한다.

후에 임진왜란에 참여한 아들 윤흥신(尹興信)이 공을 세우고 전사하여 선무원종공신 1등에 녹훈되고 증 병조참의에 추증되었으므로, 원종공신의 아버지에게는 1계급 특진되는 전례에 따라 윤임에게도 관작이 추증되어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겸 영경연 관상감사에 추증된 것이다. 1606년(선조 36년) 8월 신도비가 세워졌으며 최립이 글을 짓고, 김현성이 글씨를, 김상용이 전서를 찬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