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김백일, 흥남 철수 때 에드워드 알몬드를 적극적으로 설득하여 피난민 수송을 성공시키다.

반응형

 

 

김백일, 흥남 철수 때  에드워드 알몬드를 적극적으로 설득하여 피난민 수송을 성공시키다.

 

김백일(金白一, 1917 130 ~ 1951 328)만주국대한민국군인이다. 만주 지린 성 옌지 출생이다. 만주군 상위로 재직 중 8.15 해방을 맞아 조선국방경비대에 입대하여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하였다. 창씨명은 가네자와 도시미나미(金澤俊南)이다.

초대 제병협동본부(대한민국 육군교육사령부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의 전신)의 본부장이었으며 육군 소장 재직 중 6.25 전쟁에 참전하였다. 6.25 전쟁 중 1951 328강원도 평창군 대관령 인근의 상공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만주 지린 성 옌지에서 태어났으나 선대의 고향이 함경북도 명천군이었으므로 함경북도 출신으로도 간주된다. 아명(兒名)김찬규(金爛奎)이다.

 

 

생애

본래 집안이 함경북도 명천군 출신이나 부모 대에 간도 지역으로 이주해 살고 있었다. 김백일은 1917년에 북간도 옌지에서 태어났다.

일제 강점기에 펑톈에 있던 만주국 봉천군관학교를 제5기로 졸업하고 1937부터 만주군에서 장교으로 복무했다. 간도특설대에서 활동하였는데, 방원철의 증언에 따르면 김백일은 송석하 다음으로 이 특설 부대의 창설에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친 인물이었다. 간도특설대는 만주국 북부에 있던 사회주의 계열 민족 해방세력인 팔로군, 동북항일연군, 조선의용대와 만주 북서부에 잔존해 있던 대한독립군단을 토벌하기 위한 특수 목적을 띈 독립군 토벌 부대였는데 이 때문에 그는 대한민국 국군 창설의 주요 인물이지만 좋은 평가를 받지못하고 있다. 만주군 상위로 태평양 전쟁에 종군하여 일본 정부로부터 서보장을 수여받은 바 있다.

1945에 태평양 전쟁 종전으로 만주국이 소멸하자 고향인 명천으로 귀국했다가 월남하여 미군정 영역으로 들어왔다. 이때 이름을 김백일(金白一)로 개명하였으며 1946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한 뒤 중위로 임관하였고, 남조선국방경비대3연대를 창설하여 연대장에 올랐다.

1946 10전라북도 이리에서 군 보급품을 처분하여 화려한 결혼식을 한 것 때문에 연대장에서 해임되기도 했다. 1948 여순사건 때에는 국군 제5여단을 이끌고 현지에서 계엄사령관으로서 진압작전을 지휘하였다.

1948여순 14연대 반란사건이 일어났을 때 전라남도 광주에 소재한 대한민국 국군 제5여단을 이끌고 전라남도 여수에 진입하였다. 대한민국 국방부19481215, 5여단장 김백일 등 8명의 중령을 대령으로 특진발령하였다. 1949의 옹진반도 전투에서는 옹진지구전투사령관으로 공을 세웠다. 제병협동본부(육군보병학교의 전신) 교장과 3사단장(19501~4)을 거쳐 대한민국 육군본부 행정참모부장에 임명(1950422)되었다.

육본에 부임한 직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제1군단장을 맡았고 소장으로 진급했다. 인천 상륙 작전 후 전세가 반전되었을 때 김백일의 제3사단이 삼십팔도선을 먼저 돌파하여 압록강 유역인 혜산진까지 북상했다. 중국인민지원군 참전 후 흥남시에서 해상으로 철수할 때 에드워드 알몬드를 적극적으로 설득하여 피난민 수송을 성공시켰다.

1951 3월에 강원도 대관령 인근의 상공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사후 육군 중장으로 추서되고 무공훈장 태극장을 수여받았다.

 

사후

사망 두 달 후에 발견된 유해는 국립서울현충원 장군 묘역에 안장되었다. 1966 610전라남도 장성군에 있는 육군보병학교에 동상이 건립되었다. 상무대 정문 입구의 길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백일로라고 명명되기도 했다.

2008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선정되었으며 2009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2011 531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회장 황덕호)와 함북6·25전적기념사업회는 지난 27일 거제포로수용소에서 흥남철수작전 유공자 추모제를 열고, 이날 흥남철수작전기념탑 옆에서 김백일 장군 동상 제막식을 가졌다. 지난해 강원도 속초에서 세우려다가 시민사회단체의 반대로 무산되었는데, 경남 거제에 세워진 것이다.

2011 615 거제시민단체연대협의회는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 김백일 장군 동상 앞에서 친일파 김백일의 동상을 즉각 철거하라!는 성명을 발표하고, 친일파 논란을 빚고 있는 김백일 장군 동상을 향해 계란을 던졌다. 시민연대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고, 거제시는 김백일 기념사업회에 동상 철거를 공식 요청하였다.

2014 1124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에 위치한 백일초등학교가 김백일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하는데 아마도 육군보병학교 사격장이 있었던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2016 11 친일파 김백일의 이름을 딴 백일초등학교를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주도 단체 성진회의 이름을 따 성진초등학교로 개칭하였다.

 

☞ 연관글

[역사보기] - 흥남 철수 작전, 무기를 전부 배에서 내리고 피난민 1만 4천여명을 태워 남쪽으로의 철수에 성공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