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제현

백이정, 안향과 함께 고려에 성리학을 보급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다. 백이정, 안향과 함께 고려에 성리학을 보급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다. 백이정(白頤正, 1247년~1323년)은 고려의 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다. 자는 약헌(若軒), 호는 이재(彛齋). 본관은 남포이다. 시호는 문헌(文憲). 상당군(上黨君)에 봉해졌다. 중국에 가서 주자의 성리학을 배워온 뒤, 안향과 함께 고려에 성리학을 보급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생애 신라 간관(諫官) 백중학(白仲鶴)의 후손이다.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를 지낸 백문절(白文節)의 아들이다. 안향의 문인으로 이진(李瑱), 권부(權溥), 우탁(禹倬), 이조년(李兆年), 신천(辛蕆)과 더불어 안향 문하의 6군자로 불렸다. 1284년(충렬왕 10) 권단(權㫜)이 지공거였던 갑신방(甲申榜)에서 채홍철(蔡洪哲) 등과 함께 문과에 급제하였다. 1.. 더보기
충선왕, 폐위된 후 다시 복귀한 군주, 만권당을 세워 학문연구에 전념하다. 충선왕, 폐위된 후 다시 복귀한 군주, 만권당을 세워 학문연구에 전념하다. 충선왕(忠宣王, 1275년 10월 20일 (음력 9월 30일) ~ 1325년 6월 23일 (음력 5월 13일)은 고려 제26대 국왕(재위: 1298년, 복위: 1308년~1313년)이다. 초휘는 원(願), 휘는 장(璋), 자는 중앙(仲昻),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선왕(忠宣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선효대왕(宣孝大王)이다. 몽골식 이름은 이지르부카( 한국 한자: 益知禮普花 익지예보화)이며, 정비(正妃)는 계국대장공주이다. 고려에서 처음으로 즉위하였다가 폐위된 후 다시 복귀한 군주이기도 하다. 생애 후반에는 귀국을 기피하고 원나라에 체류하며 만권당을 세워 독서와 학문 연구, 서화 그리기 등에 전념하기도 했다. 즉위 이전 1277.. 더보기
광종, 평가와 비판, 노비안검법으로 부당하게 노비가 된 양민들을 석방하다. 광종, 평가와 비판, 노비안검법으로 부당하게 노비가 된 양민들을 석방하다. 광종(光宗, 925년 ~ 975년 7월 4일 (음력 5월 23일)은 고려 제4대 국왕(재위: 949년 ~ 975년)이다. 휘는 소(昭), 자는 일화(日華), 묘호는 광종, 시호는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大王)이다. 태조의 넷째 아들, 신명순성왕후의 셋째 아들로서 요절한 왕태, 정종의 동생이다. 비는 대목왕후 황보씨(皇甫氏)로 태조와 신정왕후의 딸로 이복누이이며, 후궁인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는 배다른 형 혜종의 딸이다. 949년 3월 동복 형 정종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949년 광덕(光德), 960년 준풍(峻豊)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중국 후주로부..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