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부마민주항쟁, 유신체제의 종말을 앞당긴 계기가 되다.

반응형

 

 

 

 

부마민주항쟁, 유신체제의 종말을 앞당긴 계기가 되다.

 

 

 

부마민주항쟁(釜馬民主抗爭) 또는 부마민중항쟁(釜馬民衆抗爭)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0일까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경상남도 마산시(현 창원시)에서 유신 체제에 대항한 항쟁을 말한다.

 

10월 16일에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유신철폐"의 구호와 함께 민주화 시위를 시작했다.

다음 날인 17일부터 시민 계층으로 확산된 것을 시작으로 해서, 18일19일에는 마산 지역으로 민주화 시위가 확산됐다.

 

당시 박정희 유신 정권은 10월 18일 0시를 기해 부산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66명을 군사 재판에 회부했으며,

10월 20일 정오 마산 및 창원 일원에 위수령을 선포하고 군을 출동시킨 후 민간인 59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했다.

배경


1978년 12월에 실시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는 불법적인 금권, 관권선거에 영향이 크게 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권 공화당은 야당인 신민당에 패배했다.

 

그 후 민주화 시위가 활발해지면서 당시 민주 인사들에 대한 연행과 투옥 등 탄압 강도가 강화됐다.

 

같은 해 8월에 YH 무역주식회사 여성 노동자들의 신민당사 점거 농성으로 집권 공화당은 야당인 신민당김영삼

총재를 국회에서 제명했다.

 

이는 곧 야당 국회의원 전원 의원직 사퇴로 이어졌다.

같은 해 9월 전국에서 대학생들의 민주화 요구 시위가 확대됐다.

 

한편 김영삼의 발언을 문제 삼아 국회의원 직에서 제명 처분을 하고 감금한 것에 대한 반발이 부마민주 항쟁을 작용케 했다

는 견해도 있다.


제가 내려가기 전까지는 남민전이나 학생이 주축이 된 데모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현지에서 보니까 그게 아닙니다.

160명을 연행했는데 16명이 학생이고 나머지는 다 일반 시민입니다.

그리고 데모 양상을 보니까 데모하는 사람들도 하는 사람들이지만 그들에게 주먹밥을 주고

또 사이다나 콜라를 갖다 주고 경찰에 밀리면 자기 집에 숨겨 주고 하는 것이 데모하는 사람과 시민들이 완전히

의기투합한 사태입니다.

주로 그 사람들의 구호를 보니까, 체제에 대한 반대, 조세에 대한 저항, 정부에 대한 불신 이런 것이 작용해서,

경찰서 11개를 불질러 버리고, 경찰 차량을 10여 대 파괴하고 불지르고, 이런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 중앙 정보부장 김재규, 현지를 시찰 한 뒤 당시 상황에 내린 결론

 

일지

 

      1979년 5월 3일 – 신민당 전당대회. 온건파 이철승

 패배. 강경파 김영삼이 대표로 당선.
1979년 8월 11일 – YH 사건 발생.
1979년 10월 4일 – 여당인 공화당이 날치기로 신민당 대표 김영삼을 국회의원에서 제명.
1979년 10월 16일 – 부마 민주 항쟁 발생. 부산대학교 학생 5,000여 명이 "유신정권 물러가라"

                           "정치탄압 중단하라"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교내에서 시위. 저녁에 시내로 진출
1979년 10월 17일 – 저녁 시민들이 합세하면서 시위가 지속적으로 확산, 충무 파출소 · 한국방송공사(KBS) · 서구청 ·

                              부산세무서 등이 파괴, 경찰 차량 전소 내지 파손
1979년 10월 18일 – 정부, 0시를 기해 부산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계엄군을 투입해 1,058명을 연행하고 66명을 군사재판에 회부.
1979년 10월 19일 – 마산 지역에서 마산대학교경남대학교 학생 시위, 민주 공화 당사·파출소·방송국 타격
1979년 10월 20일 – 근로자, 고등학생 시위 합세. 마산에 위수령 선포
1979년 10월 26일 – 박정희 대통령 서거(10·26 사태)

 

영향


이 사건은 정권 내 갈등을 부추겨 유신 체제의 종말을 앞당긴 계기가 됐고, 긴급조치로 유지되던 유신 체제를 존망의

위기에 몰아넣었다.

 

이러한 항쟁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6월 항쟁에 영향을 주었다.

 

그 이후


부마 민주 항쟁을 기리는 민주공원이 부산에 조성되었고, 마산(현 창원시)에도 이를 기리는 기념비가 설치되었다.
2014년 10월 13일 부마항쟁 진상 규명·보상위원회가 공식으로 출범하였다.


2015년 5월 18일에는 관련 법안이 통과되었다.

그러나 위원 선정의 공정성과 활동 방안에 대해서 비판을 받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