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도쿠가와 이에야스,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함께 향토삼영걸로 불리다.

반응형

 

 

도쿠가와 이에야스,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함께 향토삼영걸로 불리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일본어: 徳川家康 (とくがわ いえやす), 1543 131 ~ 1616 61)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센고쿠 다이묘이다.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함께 향토삼영걸로 불린다.

가계는 미카와고쿠진 마쓰다이라 씨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이후 1600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을 지휘하였으며, 승전 이후 에도 막부를 개창하여 첫 쇼군(1603~ 1605)이 되었다. 16053히데타다에게 쇼군 직을 물려준 다음에도 오고쇼의 자격으로 슨푸에 머무르며 정치에 참여하였다. 사후에는 닛코 동조궁에 묻혔으며, 도쇼다이곤겐(일본어: 東照大権現)이라는 시호를 얻었다.

 

어린 시절

이에야스는 1543131(와레키(和暦) 덴분 111226) 미카와 국 오카자키 성에서 태어났다. 아명은 마쓰다이라 다케치요(松平竹千代), 아버지는 마쓰다이라 히로타다(松平広忠)이며 어머니는 가리야 성의 성주인 미즈노 다다마사(水野忠政)의 딸 오다이노가타(於大)이다. 이에야스가 태어났을 때에는 각각 열일곱 살과 열다섯 살의 젊은 나이였다. 당시 미카와 마쓰다이라 씨는 히로타다의 아버지 마쓰다이라 기요야스(松平清康)가 살해당한 모리야마의 변 사건이 발생한 후 세력이 크게 쇠퇴하여 스루가 국이마가와 요시모토에게 원조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마쓰다이라 씨가 지배하던 미카와 국 동부는 이마가와 씨가 지배하고 있었고, 서부는 오와리 국오다 노부히데가 계속 노리던 상황이었다.

이에야스는 태어난 지 2년 만에 어머니와 헤어졌다. 1544 외조부 미즈노 다다마사가 죽고 뒤를 이은 외삼촌 미즈노 노부모토(水野信元)가 친()오다 정책을 유지하면서 가신의 탄핵으로 히로타다가 오다이를 친정으로 돌려보낸 것이다. 1548년에는 히로타다의 숙부인 마쓰다이라 노부타카가 오다 씨와 내통하던 사카이 다다히사 등 중신들과 손잡고 히로타다를 오카자키 성에서 몰아내려는 모반을 일으켰고 오다는 미카와 국을 더욱 빈번하게 침략하기 시작하였다. 히로타다는 이마가와에 군사적 원조를 요청하였고 당주 이마가와 요시모토는 당시 여섯 살이던 이에야스를 슨푸(駿府)에 인질로 보낼 것을 요구하였는데 히로타다는 가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용하였다. 그러자 이 소식을 접한 오다 노부히데아쓰미 반도에 위치한 다하라 성주이자 이에야스의 의붓 외조부 도다 야스미쓰(戸田康光)를 이용하여 오와리 국 아쓰타(熱田)로 납치하였으며, 그 대가로 1,000간몬을 주었다. 노부히데는 이에야스를 인질로 삼아 히로타다에게 항복할 것을 요구하였는데, 히로타다는 강경하게 거절하였다.

강경한 태도를 들은 이마가와 씨는 마쓰다이라 씨에 지원을 약속하였고, 노부히데도 이에야스를 죽이지 않고 아쓰타 신궁에 있던 이에야스를 나고야(名古屋) 반쇼지(万松寺)에 가두었다. 이후 이에야스는 오와리 국에서 2년 동안 인질 생활을 했는데, 오다 씨의 대접은 의외로 관대했다고 한다. 한편 미카와 국에서는 히로타다가 1549년 가신에 의해 살해당하고, 마쓰다이라 씨가 오다 씨와 손잡을 것을 우려한 이마가와 씨가 대관을 보내 마쓰다이라 씨와 그 가신들의 영지를 전부 몰수하고, 가신들의 처자를 인질로 잡아 스루가로 보내는 일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마가와 씨는 같은 해 참모인 다이겐 셋사이의 헌책에 따라 안쇼 성을 공략하여 성주 오다 노부히로(織田信広) 와 이에야스를 교환하였지만, 이에야스를 오카자키가 아닌 슨푸로 호송하였다. 이에야스는 슨푸의 다카쇼(鷹匠) 부근에서 8세부터 19세까지 인질로서 생활하였다. 그 동안 그는 오다이의 어머니로 비구니가 된 겐오니(源応尼)에게 양육되었으며, 셋사이를 스승으로 섬기며 6년 간 학문과 병법을 배웠다.

 

센고쿠 시대

1556, 15세가 된 이에야스는 관례를 올림과 동시에 관례의 후견인이었던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이름에서 한 글자를 받은 마쓰다이라 지로사부로 모토노부(松平次郎三郎元信)라 불리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이에야스는 법요식(法要式)의 명분으로 미카와 국으로 들어갔는데, 당시 미카와 국은 이마가와의 성주 대리와 장병들에 의해 가혹한 수탈을 당하고 있었다. 또한 이에야스의 가신과 장병들은 이마가와 씨의 전투에서 최전방에 강제로 나섬에도 충분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등 홀대를 받고 있었다. 이에야스는 이마가와 씨의 감시 하에 오카자키 성에서 미카와 무사들과의 대면을 가졌고, 이를 계기로 히로타다의 옛 부하였던 도리이 다다요시는 필요할 때 사용하라며 자택에 숨겨두었던 쌀과 엽전 다발을 이에야스에게 주었다. 16세가 된 이에야스의 결혼 상대는 이마가와 씨의 가신 중 한 명인 세키구치 지카나가의 딸로, 요시모토의 조카이기도 했던 쓰루히메(후의 쓰키야마도노)였다. 이 결혼은 혼인 관계를 통해 이에야스가 충성을 맹세하도록 하기 위한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계획이었다.

이에야스의 생애 첫 출전은 결혼한 이듬해였던 155825일에 있었다. 그의 임무는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측으로 넘어간 스즈키 시게타(鈴木重辰)가 다스리고 있던 미카와 국 서부의 데라베 성을 공략하는 것이었다. 이에야스는 방화 작전으로 데라베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며, 히로세 성·고로모 성·이호 성에서도 같은 방화 전법으로 오다 군에 큰 타격을 입혔고, 오다카 전투에서는 밤을 틈타 군량미를 전달하기 위해 기습 작전을 벌이기도 하였다. 이마가와 요시모토는 이에야스에게 자신이 애지중지하던 을 내리고, 야마나카의 땅을 봉토로 주었다. 또한 승전의 공으로서 이에야스는 개명을 요청하여, 자신의 할아버지인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의 이름에서 한 글자를 따 모토야스로 이름을 바꾸었다. 1560, 이에야스의 계속된 승리로 자신감에 도취된 이마가와 요시모토는 25,000여명의 대군을 이끌고 오다 씨의 본거지인 기요스 성을 포위하였으나, 곧 오케하자마 산으로 옮기는 빈틈을 보였고, 결국 기습을 당한 이마가와 요시모토는 전투 중 모리 요시카쓰에게 죽음을 당했다. 한편 이마가와의 사망 소식을 접한 이에야스는 이마가와 군 중 가장 뒤늦게 적지를 탈출했지만, 노부나가의 추격을 받지는 않았다. 그리고 오카자키에 들어온 후에도 성에 들어가지 않고 한동안 다이주 사(大樹寺)에 머물러있다가, 523일 오카자키 성의 조다이였던 미우라 고즈케노스케가 슨푸로 돌아간 후 오카자키 성으로 입성함으로써 인질의 신분에서 해방되었다.

그 후 몇년 간 이에야스는 독립을 선언하지 않고 신중을 기하며, 이마가와 씨의 의심을 피하기 위해 오와리 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다 씨의 관심이 소홀했던 미카와 국 서부의 오다 씨 성채들을 자주 공격하였다. 이처럼 이에야스는 혼다 다다카쓰, 이사카와 가즈마사, 고리키 기요나가, 사카이 다다쓰구, 사카키바라 야스마사 등을 앞세워 마쓰다이라 씨의 확장에 몰두하다가, 1561년 이마가와 씨를 배신하였다. 한편 노부나가는 미노 국사이토 요시다쓰와의 전쟁을 앞두고 미즈노 노부모토에게 이에야스 측과의 교섭을 의뢰했고, 미즈노의 중재 하에 이에야스는 1562기요스 성에서 비밀리에 오다 노부나가와 기요스 동맹을 결성하였다. 기요스 동맹은 혼노지의 변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죽을 때까지 계속 유지되었다. 이에야스가 오다 씨와 비밀 동맹을 결성한 것을 알아챈 이미가와 씨의 계승자 이마가와 우지자네는 이에야스를 소환하려 했으나, 이에야스가 병을 핑계로 오려 하지 않자 분노하여 미카와 중신들의 처자를 기둥에 세우고 창으로 찔러 죽이는 책형(磔刑)이라는 가혹한 방법으로 처형하였다. 그러나 이에야스의 정실 쓰키야마도노는 이마가와 씨의 중요한 일족이었기 때문에 그녀와 자식들은 죽이지 못했다. 그러자 이에야스는 마쓰이 다다쓰구 등에게 명해 니시고리 성을 공격해 이마가와의 측근으로 요시모토의 처남이었던 우도노 나가테루의 두 아들들을 인질로 잡아, 우도노를 슨푸에 잡혀 있는 이에야스의 가족과 교환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이에야스는 장남의 이름을 노부나가의 이름에서 딴 노부야스라 칭하고, 노부나가의 딸 도쿠히메와 정략 약혼을 했으며, 7월에는 모토야스라는 이름을 이에야스(家康)로 바꾸어 이마가와 씨와의 관계를 완전히 청산하였다. 한편 조구 사, 쇼만 사, 혼쇼 사3대 사찰을 중심으로 미카와의 일향종이 벼의 징수 문제로 잇키를 일으켰다. 이에야스는 사사키(佐崎)에 있는 조구 사에서 사사키 성주 스가누마 사다아키에게 비축을 위한 군량미를 징수할 것을 명령하였는데, 스가누마는 군량미를 확보하기 위해 수확이 이루어지던 조구 사에서 억지로 벼를 징수해 갔고, 이에 조구 사에서는 혼쇼 사와 쇼만 사에 격문을 보내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야스는 일향종의 잇키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취했는데, 이 때문에 이에야스의 가신 중 사카이 다다나오, 기라 요시아키, 아라카와 요시히로, 하치야 한노조, 일향종을 따르는 이들이 대부분 적으로 돌아서 잇키에 가담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 때 이에야스는 조총탄을 두 발이나 맞았으나 갑옷 덕분에 가까스로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잇키는 15632월 이에야스가 주동자 시쓰다 사쿠주로를 죽이고, 주동자를 추방한 다음 가담한 가신들을 용서함으로써 끝났는데, 이후 이에야스는 미카와 국 내의 일향종 사원을 전부 부수는 강경한 조치를 취했다.

미카와 국을 통일한 이에야스는 내정을 어느 정도 정비한 후 마침내 이마가와 씨의 본거지를 치기로 했다. 이에야스는 사카이 다다쓰구에게 명하여, 미카와 국 동부에 있는 이마가와 씨의 최대 거점인 요시다 성을 공략하여 점령하도록 했다. 그 직후에는 혼다 히로타카다하라 성을 점령하며 미카와 국 동부에서 이마가와 씨를 완전히 몰아내 미카와 국을 통일하였다. 이와 동시에 이에야스는 이시카와 이에나리와 사카이 다다쓰구를 가로(家老)로 임명함과 동시에 각각 미카와 국의 서부와 동부의 지배를 맡겼다. 또한 혼다 시게쓰구, 고리키 기요나가, 아마노 야스카게부교(奉行)로 임명하였다. 통치 체제를 정비한 후 이에야스는 다시 이마가와 씨의 영지인 도토미 국을 공격하려 했다. 그러나, 도토미 공략은 오다 노부나가 - 가이 국다케다 신겐(武田信玄) - 이마가와 우지자네 간의 복잡한 동맹 관계로 인하여 주춤하였다. 그 동안 이에야스는 1566년 칙허에 따라 성씨를 세이와 겐지 계통의 도쿠가와로 바꾸었다. 이듬해 정월에는 종5품 미카와노카미 관직을 받았다. 또한 다케다 신겐의 동맹 파기를 이용해, 이에야스는 신겐과 이마가와 씨의 영지를 두고 오이 강을 경계로 분할한다는 이른바 가와기리의 약정을 맺어 동맹을 결성하였다. 다케다 신겐은 협정에 따라 156812슨푸 성을 점령하고, 엔슈(遠州)를 공격하고 이에야스는 이듬해 히쿠마(引馬)를 점령하고 신겐의 배신에 따라 본성을 오카자키에서 히쿠마로 옮겨, 하마마쓰 성이라 명명하였다. 또한 가케가와 성까지 이마가와 우지자네를 추적하여 그를 처가가 있는 이즈 국으로 낙향시켜 사실상 이마가와 씨를 멸망시키며 도토미와 미카와의 전역을 확보한다. 한편 1568년 이에야스의 동맹 세력인 오다 노부나가는 교토가 있는 야마시로 국에서 가장 인접한 야마토 국을 획득하고, 무로마치 막부의 쇼군으로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여 교토로 입성해 최대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1570년 노부나가가 에치젠 국오미 국을 공격할 때 이에야스도 참가하였는데, 갑작스럽게 퇴각하는 과정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함께 작전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노부나가는 같은 해 6월에 다시 오미와 에치젠을 공격하였는데, 이 때를 틈탄 다케다 신겐의 교토 침공 시도를 막기 위해 이에야스는 하마마쓰로 다시 진군, 아자이 나가마사·아사쿠라 요시카게와의 아네가와 전투, 신겐과의 미카타가하라나가시노 전투를 거치며 입지를 크게 넓혀갔다. 비록 이 과정에서 쓰키야마도노와 아들 노부야스를 잃는 슬픔을 겪었지만 이에야스는 1580년 간토의 호조 씨와 다케다 씨 간의 동맹 관계 파기를 이용하여 도토미 국 동부를 점령하였다.

이에야스는 신겐의 뒤를 이은 다케다 가쓰요리미노 국 일대를 점령하자, 1582년 호조 씨를 포섭하여 오다, 도쿠가와, 호조가 동시에 가이 국을 공격하여 4월 다케다 씨를 멸망시켰다. 그리고 같은 해 이에야스는 스루가, 도토미, 미카와 등 세 개의 구니를 장악했다.

6, 오다 노부나가와 장남 오다 노부타다가 노부나가의 부하인 아케치 미쓰히데의 배반으로 할복하는 혼노지의 변이 발생하면서 같이 초청받았던 이에야스가 서둘러 미카와 국으로 탈출하는 과정에서 이가 국 닌자 출신인 핫토리 한조와 교토의 대상인인 자야 시로지로의 도움을 받았다.자야 시로지로는 이에야스에게 혼노지의 변을 처음으로 알렸고, 핫토리는 고카(甲賀)의 다라오 등 다른 닌자들과 힘을 합쳐 이에야스를 이세 국의 시로코 해변까지 경호하였다. 오다 사후 이에야스는 아케치 미쓰히데를 제거하여 정통성을 확보하려고 했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선수를 쳐 오사카 부근의 야마자키(山崎)에서 아케치를 죽이자 단념하고 철수하였다.

한편 히데요시는 아케치를 죽인 후 기요스에서 두살의 오다 가문의 적손인 산포시(三法師)를 앞세우며 사실상 오다의 세력을 계승하였다. 산포시의 계승에 불만을 품은 시바타 가쓰이에는 히데요시가 또다른 오다 씨의 계승 경쟁자였던 오다 노부타카를 몰아내자 이에 반기를 들어 히데요시와 시즈가타케 전투를 벌이게 되었다. 시바타 세력이 괴멸되자, 이에야스는 남은 반 히데요시 세력인 노부나가의 차남인 오다 노부카쓰와 손잡았다.

 

히데요시와의 대립

시즈가타케 전투 후 히데요시는 이에야스를 회유할 목적으로 조정을 통해 그에게 정4품 하계 좌근위권중장(左近衛權中將) 벼슬을 제수했는데, 이는 종5품 하계였던 히데요시보다 더 높은 직위였고, 노부카쓰와는 같은 직위였다. 하지만 이에야스는 이를 거부했고, 히데요시가 종3품인 참의(參議)로 이에야스를 천거하자 오히려 화를 냈다. 그러자 히데요시는 노부카쓰의 유능한 세 중신에 대한 모략을 퍼뜨려, 노부카쓰가 중신들을 죽이게 하였으며, 이어서 히데요시가 노부카쓰를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소문을 퍼뜨려 노부카쓰 진영을 동요하게 하였다. 노부카쓰가 이에야스에게 구원을 요청하자, 15843월 이에야스는 오다 측으로 전쟁에 참전하였다. 이에야스는 출전에 앞서, 아키 국모리 데루모토, 시코쿠조소카베 모토치카, 엣추 국삿사 나리마사 (佐々成政) 등과 동맹을 맺어 히데요시의 배후를 교란하게 하도록 미리 약속을 해두었고, 히데요시도 이에 맞서 시코쿠의 센고쿠 히데히사, 히젠 국우키타 히데이에, 가가 국마에다 도시이에를 각각 모리, 조소카베, 삿사와 맞서게 하는 등 철저하게 대비하였다. 이에야스는 같은 시기 미노 국 오가키(大垣)이케다 쓰네오키(池田恒興)가 사위 모리 나가요시(森長可)와 더불어 이누야마 성을 점령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고마키 산에 진을 친 후 하구로에서 모리 나가요시 군대를 격파하였다. 그러자 히데요시는 3만의 대군을 이끌고 고마키 산 북쪽의 가쿠덴(楽田)에 진을 치고, 이에야스와 오다 노부카쓰의 연합군과 장기적으로 대치하였다. 같은 해 49일 이에야스의 선제 기습으로 나가쿠테에서 히데요시의 선봉대가 궤멸당하자 다시 전투는 장기 지구전으로 바뀌었고, 11월에 히데요시가 오다 노부카쓰와 강화를 맺음으로써 이에야스가 계속 싸울 명분이 사라지자 차남 오기마루를 히데요시에게 인질로 보내 강화를 맺었다. 그리고 강화 이후의 냉전 과정에서 전부터 히데요시와의 우호 관계를 건의해 오던 중신 이시카와 가즈마사가 히데요시의 설득을 받아 히데요시 측으로 출분하면서 이에야스는 히데요시의 여동생 아사히히메 와의 정략 결혼을 거쳐 1586년 히데요시에게 형식적으로 신하의 예를 갖추고, 복종을 맹세하였다.

신종 이후 이에야스는 히데요시가 시코쿠와 규슈를 정벌하는 동안 의심을 받지 않기 위해 거처를 하마마쓰에서 슨푸로 옮겼다. 이에 앞서 1585년 이에야스는 슨푸에 성을 쌓는 공사를 시작했었다. 1590, 시코쿠와 규슈를 완전히 평정한 히데요시는 천하 통일의 야망을 완수하기 위해, 핫슈(関八州)·오우(奥羽) 를 공격하기에 앞서 이에야스와 함께 오다와라(小田原)의 고호조(後北條)에게 신종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호조는 히데요시에게 무리한 조건을 내세우고 군비를 증강하며, 히데요시의 가신 사나다 마사유키의 성을 점령하는 등 계속 히데요시를 자극하였다. 그러자 히데요시는 20만여명의 군대를 이끌고 오다와라로 출격하였으며, 이에야스는 28,000여명의 선발대를 이끌며 가장 먼저 오다와라로 진격하였다. 호조는 오다와라 성 안에서 계속 농성전을 벌였는데, 오히려 히데요시는 오다와라 주변의 보급로와 연락망을 봉쇄하는 고사작전을 통해 호조를 압박하였다. 또 호조가 히데요시의 군대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던 중에 "아무리 논의해도 결론이 나지 않는 토론"을 일컫는 오다와라 평정(일본어: 小田原評定 오다와라효조)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마침내 75, 히데요시는 오다와라 성을 함락시켜 간토를 손에 넣고, 오우의 아이즈(会津)까지 점령해 오우 지역의 다이묘를 복종시켜, 100여년의 센고쿠 시대를 종식시키고 천하 통일을 완수하였다.

통일 이후 히데요시는 이에야스를 교토에서 최대한 떨어뜨리기 위해 오다와라 성에서 이에야스에게 선약했던 대로 도카이도의 5개 국을 거두어들이는 대신 간핫슈 지역과 이즈(伊豆)를 내렸다. 그리하여 대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논공행상의 결과를 받아들인 이에야스는, 오다와라나 가마쿠라가 아닌, 간토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던 호조의 일개 출장소 에도(江戸)로 명절인 핫사쿠(八朔)였던 159081일 입성하였다. 에도로 입성하면서 이에야스는 불안감을 느끼던 백성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겠다며 에도 성에 입성할 때 자신을 포함한 모두가 히토에(単衣)를 입게 하였다. 또한 입성 닷새 후 주민 모두에게 쌀을 무상으로 배급하였다. 입성 이후, 이에야스는 녹봉 배치를 제일 먼저 시작하였다. 우선 아직 자신에게 적대적인 다이묘들을 견제하기 위해서 최측근인 도쿠가와 사천왕에게 외곽 지역의 10만여 이상의 땅을 주었고, 그 내부에도 미카와 시절부터 가신으로 일해 온 후다이 다이묘를 배치하여 이중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또한 호조와 다케다의 유신(遺臣), 지역 토호들에게는 무리한 압력을 피하고 일정한 그들의 지위를 인정해주었다. 또한 자신의 직할지 1백여만석에는 호조, 다케다, 이마가와의 유신들에게 다이칸(代官)이란 지방관직을 주어 행정을 관리하도록 하여 불만을 무마시켰다. 그리고 이 다이칸들을 지휘하는 다이칸카시라(代官頭)에는 이나 다다쓰구, 오쿠보 나가야스 등의 기술·행정 전문가들이 등용되었다. 이러한 효율적 제도와 다른 지역과 산으로 격리된 간토의 지리적 특성이 맞물려 간토를 지배하던 이에야스는 큰 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는데, 이를 두고 나중에 "이에야스는 후퇴하여 제국을 건설했다"는 속담이나 "모든 길은 에도로 통한다"는 말이 생기기도 했다.에도 건설 이후, 이에야스는 히데요시와 다른 지방의 다이묘들 중간에 서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했다. 1590년 이에야스는 히데요시와 오슈의 다테 마사무네(伊達政宗) 간의 화해를 주선하여 성공시켰고, 다테와 충돌하던 가모 우지사토(蒲生氏郷)가 다테가 오슈 각지의 토호들과 내통하고 있다고 보고하자 이에야스는 다테에게 서신을 보내 토호들을 진압하도록 하기도 하였다. 그 밖에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正則)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 구로다 나가마사, 아사노 나가마사,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등의 징계에서도 그들을 변호하여 신망을 얻었다.

 

임진왜란

1592년 히데요시는 명나라인도 정복이라는 자신의 야망을 완수하기 앞서, 조선을 침략하기 위해 준비를 갖추며 각지의 다이묘들에게 히젠 국에 새로 축조해 놓은 나고야 성(名護屋城)으로 출진할 것을 명령하고 나고야 성을 조선 침략의 전초 기지로 삼았다. 이에야스도 동원령을 받아 1592년 병력을 이끌고 나고야 성으로 출진하였지만, 히데요시는 이에야스에게 출병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 이에야스가 일본에 계속 머무르는 동안 두 차례 출병했던 일본군은 후반으로 갈 수록 고전을 면치 못했을 뿐만 아니라, 앞장섰던 다이묘들은 엄청난 비용과 군사를 잃어버리고 말았다. 이 와중에 이에야스는 일본 내부의 세력 판도가 조선을 침략하는 데 앞장선 후쿠시마 마사노리, 가토 기요마사를 중심으로 한 무장 다이묘 출신의 무공파와 일본군의 점령지에서 행정사무를 맡던 고니시 유키나가 등과 이시다 미쓰나리를 중심으로 한 행정관 출신의 문관파로 나뉘자, 무공파의 편을 들며 인망을 모으고 있었다. 1598년 히데요시는 죽음을 앞두고, 어린 아들인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보좌할 다섯 다이로와 다섯 부교를 뽑아 정책을 결정하도록 하였는데, 이에야스는 마에다 도시이에, 모리 데루모토,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키타 히데이에와 더불어 다섯 다이로로 뽑혔고, 집행 기관인 다섯 부교에는 문관파인 이시다 미쓰나리, 아사노 나가마사, 마에다 겐이, 나쓰카 마사이에, 마시타 나가모리가 뽑혔다. 또한 이에야스와 도시이에는 각각 후시미에서의 정사 담당과 오사카에서의 히데요리 보좌라는 중대한 임무가 더 맡겨졌다.

 

연관글

[역사보기] - 오다노부나가의 성격, 잔혹성에 대한 평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