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소수림왕, 태학을 설립하고 율령을 반포하다.

반응형

 

 

 

소수림왕, 태학을 설립하고 율령을 반포하다.

 

소수림왕(小獸林王, ? ~ 384년, 재위 : 371년~384년)은 고구려 제17대 군주이다. 고국원왕(故國原王)의 맏아들로  355년(고국원왕 25)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이름은 구부(丘夫)이다. 소수림왕은 전진(前秦)으로부터 불교를 도입하고, 태학을 설립하였으며 율령을 반포하는 등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고구려 전성기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
소수림왕은 371년 고국원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백제 근초고왕과의 평양성 전투에서 부왕이 전사한 상황에서 왕위에 오른 소수림왕에게 국가의 체제 정비와 더불어, 넓은 영토와 백성들을 체계적으로 통치할 제도 정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소수림왕(小獸林王) 2년(372년) 전진(前秦)의 왕 부견(苻堅)이 사신(使臣)과 함께 승려 순도(順道)를 보내와 불상과 경문을 전함으로써  고구려에 처음 불교가 전래되었으며, 2년 후 374년에는 아도(阿道)가 들어와  불도를 전함과 아울러 한국 사찰(寺刹)의 시초인 성문사(省門寺: 肖門寺)와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세웠다.

소수림왕은 375년 초문사(肖門寺)를 창건하여 순도를 머물게 하였으며, 또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창건하여 아도를 머물게 하는 등 전진(前秦)과 평화적 관계를 수립하는 동시에 불교를 수용하고 보급하는 정책을 펼쳤고, 또한 불교를 호국사상으로 삼았다.

귀족자제들의 유학 교육기관으로 태학(太學)을 설립하여 유교적 정치이념에 충실하고, 중앙집권적 정치제도에 적합한 관리를 양성하였으며, 373년에는 율령을 반포하여  국가통치와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규범을 갖추었다.

소수림왕의 이와같은 체제 정비 사업을 기반으로 고구려는 광개토왕 시대에 들어 전성기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대외 관계에 있어서는, 백제와의 평양성 전투에서 부왕을 잃은 소수림왕은 계속 백제와 충돌하였다.

375년에는 백제의 수곡성(水谷城)을 빼앗았으며,376년음력 11월에는 백제의 3만 대군을 물리치고 백제의 북변(北邊)을 역습하였다. 377년에는 백제 근구수왕이 군사 3만 명을 거느리고 평양성으로 재차 침공해 왔지만 소수림왕이 이를 막아내었고, 11월에 이를 보복하기 위해 남으로 백제를 정벌하였다. (→여·제 전쟁)

378년 극심한 가뭄이 든 상태에서 거란의 침략을 받아 8개 부락을 빼앗기기도 했다. 소수림왕은 384년에 후사가 없이 서거하여 소수림(小獸林)에 장사지내졌으며, 왕의 아우 이련(伊連)이 제위에 올랐다. 그가 고구려 18대 고국양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