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보기

광개토왕비, 고구려사 연구와 금석문 연구의 좋은 사료가 되다. 광개토왕비, 고구려사 연구와 금석문 연구의 좋은 사료가 되다.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 또는 광개토왕비(廣開土王碑)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지안 시(集安市) 태왕진(太王鎭, 중국어 간체: 太王镇)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왕의 능비이다. 중국, 일본에서는 호태왕비(好太王碑)라 부른다. 개설 414년 광개토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웠으며, 응회암(凝灰岩) 재질로 높이가 약 6.39m, 면의 너비는 1.38~2.00m이고, 측면은 1.35~1.46m지만 고르지 않다. 대석은 3.35×2.7m 이다.네 면에 걸쳐 1,775자가 화강암에 예서로 새겨져 있다. 그 가운데 150여 자는 판독이 어렵다. 내용은 대체로 고구려의 역사와 광개토왕의 업적이 주된 내용이며, 고구려사 연구에서 중요한 사료(史料)가 .. 더보기
중원고구려비, 고구려가 신라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알 수 있다. 중원고구려비, 고구려가 신라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알 수 있다. 충주 고구려비(忠州 高句麗碑) 또는 중원 고구려비(中原 高句麗碑)는 대한민국에서 발견된 유일한 고구려비로 5세기 고구려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비의 높이는 2.03 m, 폭은 55 cm, 두께는 33 cm이고,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 입석마을에 소재한다. 1981년 3월 18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05호로 지정되었다. 역사 충주 고구려비는 1979년 4월 8일 단국대학교 박물관 학술조사단에 의하여 고구려 시대의 석비로 판명됐다.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구려 석비로, 장수왕이 남한강 유역의 여러 성을 공략하여 개척한 후 세운 기념비로 추정된다. 1979년 입석마을 입구에서 발견되었는데, 오랜 세월이 흐른 탓에 발견 .. 더보기
전지왕, 동진, 아신왕의 맏아들, 일본과 긴밀한 외교 관계를 유지하다. 전지왕, 동진, 아신왕의 맏아들, 일본과 긴밀한 외교 관계를 유지하다. 전지왕(腆支王, 390년?~420년, 재위: 405년~420년)은 백제의 제18대 국왕이다. 휘는 영(映) 또는 전(腆) 또는 여영(餘映,余映)이다. 《일본서기》에서는 직지왕(直支王), 《삼국유사》왕력에서는 진지왕(眞支王), 또 《한원》에 인용되는 《송서》, 《통전》에서는 부여전(夫餘腆)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아신왕의 맏아들이다. 일본에 있던 중 405년 아버지인 아신왕(阿莘王)이 붕어하자 첫째 숙부 부여훈해(扶餘訓解)가 임시 섭정을 맡았으나 막내 숙부 부여설례(扶餘碟禮)가 부여훈해(扶餘訓解)을 시해하고 후임 임시 섭정을 맡고 있었는데 해충(解忠)이 부여설례(扶餘碟禮)를 몰아내어 주살한 후 백제에 도착한 전지왕이 16세에 보위에 오.. 더보기
비유왕, 구이신왕의 맏아들, 대 고구려 압박 외교를 하다. 비유왕, 구이신왕의 맏아들, 대 고구려 압박 외교를 하다. 비유왕(毗有王, ? ~ 455년, 재위 : 427년 ~ 455년)은 백제의 제20대 국왕이다. 휘는 비유(毗有) 또는 비(毗)이고, 송서 이만전 백제조(宋書 夷蠻傳 百濟條)에서는 여비(餘毗)로 나와있다. 구이신왕(久爾辛王)의 맏아들이다. 《삼국사기》는 전지왕의 서자라는 설도 있으나 분명치 않다고 기록하고 있다. 용모가 아름답고 언변이 좋았다고 한다. 그의 다른 이름은 곤유왕(昆有王), 피류왕(避流王)이다. 치세 427년부터 455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427년부터 이듬해 428년까지 해충이 섭정하였고 428년부터 454년까지 친정하였으며 454년부터 이듬해 455년에 붕어할 때까지 아들 경사가 대리청정하였다. 생애 비유왕은 구이신왕의 장남이다. 삼.. 더보기
목지국, 월지국, 마한의 소국들 중 가장 강성했던 국가다. 목지국, 월지국, 마한의 소국들 중 가장 강성했던 국가다. 목지국(目支國)은 고대 삼한 시대 마한의 54개 부족국가 연명체의 우두머리 국가다. 기록에 따라 '월지국(月支國)'이라고도 한다. 목지국의 위치는 충청남도 직산·성환·아산만 일대 또는 공주, 전라북도 익산 등지에 비정되고 있으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부여 등 북방계 유이민을 중심으로 형성된 백제국이 체제를 정비하고 발전하기 시작한 고이왕(古爾王) 시기부터 마한 연맹체의 중심 세력이 목지국에서 백제국으로 이동했다고 추측되고 있다. 개요 목지국은 마한의 소국들 가운데 가장 강성했던 국가로 마한을 대표하는 국가이자 동시에 삼한 전체를 대표하는 진왕(辰王)의 직위를 가졌다. 초기에는 삼한 전체의 맹주로서 대중국 외교권을 가질 정도로 강성했으나, .. 더보기
마한, 54개국의 지역적 연합체, 백제의 문화 기초가 되다. 마한, 54개국의 지역적 연합체, 백제의 문화 기초가 되다. 마한(馬韓)은 고대 한민족의 54개 부족국가 연맹체이다. 마한은 삼한의 기간(基幹)으로서 가장 넓은 지역에 걸쳐 있었다. 그 범위는 한강 유역(경기도)으로부터 충청·전라에 퍼져 있었으며, 목지(目支)·백제(伯濟) 등 54개국이 지역적 연합체를 이루고 있었다. 후에 부여 등 북방계 유이민을 중심으로 형성된 백제(百濟)국이 마한세력을 통일했다. 개요 마한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한반도에 있던 삼한(三韓) 중 가장 큰 정치 집단으로, 54개 소국의 통칭이다. 마한은 서해에 접하고, 동쪽은 진한(辰韓), 남쪽은 변한(弁韓)에 접해 있었다. 한강 이남 서울남동부를 중심으로 했던 나라 등 54개국의 지역적 연합체를 이루고 있었다. 이 마한의 54개 부족국가는.. 더보기
단발령, 일본인, 서양인들의 진언에 따라 고종은 최초로 단발을 감행하다. 단발령, 일본인, 서양인들의 진언에 따라 고종은 최초로 단발을 감행하다. 단발령(斷髮令)은 김홍집 내각이 고종 32년인 1895년 음력 11월 15일(양력 12월 30일)에 공포한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머리를 하라는 내용의 고종의 칙령이다. 서양인, 일본인들의 단발 건의 이후 당시 내무부대신 유길준 등의 상주로 전격 단행되었다. 당일부로 고종과 황태자 순종은 솔선수범하여 머리를 깎고, 내무부대신 유길준은 고시를 내려, 관리들로 하여금 칼과 가위를 가지고 도성 거리나 성문에서 백성들의 머리를 깎게 하여 이를 직접 지도감독했으며, 전국으로 확산시켰다. 그러나 신체발부는 수지부모라는 당대의 성리학자들의 격렬한 반발로 1897년(건양 1년) 일단 철회되었으나, 1900년(광무 3년) 이후 광무개혁을.. 더보기
사간원, 왕권과 신권의 균형을 추구한 조선 정치철학의 특성상 중요한 기관으로 여겨지다. 사간원, 왕권과 신권의 균형을 추구한 조선 정치철학의 특성상 중요한 기관으로 여겨지다.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다. 언론삼사(言論三司)의 하나로 간원(諫院) 또는 미원(薇院)이라고도 하였다. 관원은 간관(諫官)이라고 하며, 사헌부의 관원인 대관(臺官)과 병칭해 대간(臺諫)이라 한다. 개설 국왕에 대한 간쟁(간쟁(諫諍) -간절한 마음으로 윗사람에게 그의 옳지 못한 일을 말하여 잘못을 고치게 하는 것), 즉 왕이 행하는 정사에 대한 비평을 중심으로 신하들에 대한 탄핵, 그밖에 정치 문제에 관해 논하는 언론 기관의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왕권과 신권의 균형을 추구한 조선 정치철학의 특성상 중요한 기관으로 여겼다. 관헌으로는 대사간(大司諫)·사간(司諫)..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