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보기

박팽년, 사육신 중 하위지와 함께 유일하게 친 후손이 존재하다. 박팽년, 사육신 중 하위지와 함께 유일하게 친 후손이 존재하다. 박팽년(朴彭年, 1417년 ~ 145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겸 학자로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순천(順天). 자(字)는 인수, 호는 취금헌(醉琴軒),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의 학사로 활동했고, 관직은 형조 참판에 이르렀다. 손자 박일산이 생존하여 사육신 중 하위지가와 함께 후손이 전한다. 중종 때의 권신 박원종의 일족이기도 하다. 생애 조선 세종 때인 1434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삼문 등과 함께 집현전 학사가 되어 편찬 사업에 참가하였고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황보인·김종서 등과 함께 문종과 단종을 보필하였다. 세종 말년에 신숙주, 성삼문, 윤기견, 윤회, 김종서 등과 고려사절요, 고려사의 편찬과 간행에 .. 더보기
이징옥의 난, 계유정난을 일으킨 것에 대한 반발로 군사를 일으키다. 이징옥의 난, 계유정난을 일으킨 것에 대한 반발로 군사를 일으키다. 이징옥의 난(李澄玉-亂)은 함길도 도절제사 이징옥이 수양대군 일파의 권력 장악과 자신의 파직에 대해 불만을 품고 여진족 등과 함께 일으킨 반란이다. 1453년(단종 1년) 이징옥이 함길도 도절제사(都節制使)로부터 파직되자 스스로 대금황제(大金皇帝)라 칭하고 여진에 도움을 청하여 반란을 일으킨 사건이다. 그러나 정종(鄭種), 이행검 등의 습격으로 이징옥이 살해되어 실패로 끝났다. 후일 채제공은 그가 단종을 위해 군사를 일으킨 것이므로 역모는 아니라고 하였으며, 계유정난을 일으킨 것에 대한 반발로 이징옥이 군사를 일으켰다는 설도 있다. 개설 이징옥은 뛰어난 무장으로 김종서 등의 부장으로 출정, 관직 생활의 반 이상을 경원첨절제사·경원절제사·.. 더보기
삼청교육대, 정부에 의한 조직적인 폭력 및 인권유린의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진다. 삼청교육대, 정부에 의한 조직적인 폭력 및 인권유린의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진다. 삼청교육대(三淸敎育隊)는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내각을 조종·통제하기 위해 설치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에서 1980년 8월 4일 사회악일소특별조치 및 계엄포고령 제19호에 의한 삼청5호계획에 따라 설치된 군대식 기관을 뜻한다. 대상자에는 학생과 여성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전체 피검자의 3분의 1 이상이 무고한 일반인이었다. 일반적으로, 그 설치 목적과는 달리 정부에 의한 조직적인 폭력 및 인권유린의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진다. 대상 이 작전은 대외비로 진행되어 구 전과자 및 폭력배의 목록을 미리 조사한 뒤 진행됐다. 첫 목표는 20,022명으로 정해졌으나, 파출소, 경찰서들 사이의 경쟁이 붙어 후에는 머리 숫자 채우기 식으로 검거.. 더보기
허화평, 전두환의 최측근 중의 한사람으로 12.12 사태에에 참여 정권을 찬탈하다. 허화평, 전두환의 최측근 중의 한사람으로 12.12 사태에에 참여 정권을 찬탈하다. 허화평(許和平, 1937년 10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며 사회평론가 및 시민사회단체인이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된 뒤 19년간 군인으로 복무하였다. 장세동, 허삼수, 허문도 등과 함께 전두환의 최측근 중의 한사람으로 전두환·노태우 등과 함께 12·12 쿠데타에 참여, 정권을 찬탈하였다. 제5공화국 출범 직후 연좌제 폐지, 학생 두발 자율화, 불법과외 금지, 야간 통행금지령(통금령) 폐지를 기획, 성사시켰다. 1961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되었으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육군 준장으로 예편한 후 대통령 비서실 보좌관, 정무수석비서관 등을 지냈으며, 두발자율화와 .. 더보기
정승화, 김재규의 암살사건에 연루되어 이등병으로 예편되었다가 무죄판결을 받고 복권되다. 정승화, 김재규의 암살사건에 연루되어 이등병으로 예편되었다가 무죄판결을 받고 복권되다. 정승화(鄭昇和, 1929년 2월 27일 ~ 2002년 6월 12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다. 한국 전쟁 무렵 백골부대의 대대장으로 활동했고 제22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호(號)는 송산(松山), 벽옹(碧翁)이다. 12.12 쿠데타 이후 신군부 세력에 의해 김재규의 암살사건에 연루되어 보충역 이등병으로 예편되었다가 후에 문민정부에 와서 무죄판결을 받고 복권되었다. 그의 유해는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생애 초반 정승화는 1929년 2월 27일에 경상북도 김천에서 태어났다. 그의 19대조 정종소는 성균관 사성을 역임했으나 단종 복위 운동이 실패로 돌아가자 낙향하였다. 그 뒤 18대조 정이교 사헌부 장령과.. 더보기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2004년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다.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2004년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다. 김대중 내란음모사건(金大中內亂陰謀事件)은 1980년 신군부세력이 김대중을 비롯한 민주화 운동가 20여 명이 북한의 사주를 받아 내란음모를 계획하고, 광주 민주화 운동을 일으켰다는 혐의를 조작해, 군사재판에 회부한 사건이다. 2004년 김대중은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신군부의 정치인 체포 계획 신군부는 비상계엄 확대조치를 수단으로 초헌법적 비상기구인 국보위의 설치, 민주화일정등이 논의될 임시국회의 조기해산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집권시나리오인 `시국수습방안'을 기획했다. 5월 초 전두환은 보안사 대공처장 이학봉에게 지시, 당시 계엄해제및 신군부의 퇴진등을 요구하는 대학가의 민주화 시위를 제압하고 학생시위를 배후조종하는 정치인,재야인사,복.. 더보기
12.12 사태, 12.12 군사 반란, 전두환 소장 군부 권력을 장악해 정치적인 실세로 등장하다. 12.12 사태,12.12 군사 반란, 전두환 소장 군부 권력을 장악해 정치적인 실세로 등장하다. 12·12 군사 반란 또는 12·12사태는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최규하 대통령의 승인 없이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 정병주 특수전사령부 사령관, 장태완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등을 체포한 사건이다. 일본에서는 숙군 쿠데타라고도 한다. 당시 보안사령관이던 전두환 소장은 12.12 군사 반란으로 군부 권력을 장악하고 정치적인 실세로 등장했다. 이후 1980년 5월 전두환을 중심으로 하는 신군부는 5·17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사실상 장악했고, 5·17 쿠데타에 항거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강경 진압했다. 전두환은 8월 22일에 육군.. 더보기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무력부 정찰국의 폭탄 테러 사건이다.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무력부 정찰국의 폭탄 테러 사건이다.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은 1983년 10월 9일에 미얀마의 수도 양곤에 위치한 아웅 산 묘역에서 미리 설치된 폭탄이 터져 한국인 17명과 미얀마인 4명 등 21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당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무력부 정찰국의 폭탄 테러 사건이다. 대한민국의 서석준 부총리와 이범석 외무부 장관, 김동휘 상공부 장관 등 각료와 수행원 17명이 사망하고 기타 수행원들이 부상당하였다. 사건 직후 대한민국의 대통령 전두환은 공식 순방 일정을 취소하고 귀국했다. 경과 1983년 10월 8일에 대한민국의 대통령 전두환은 공식 수행원 22명, 비공식 수행원 등을 데리고 동남아 5개국의 공식 순방길을 출발했다. 미얀마는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