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조반정

흥안군 이제, 이괄의 난 당시 추대되지만 일주일 만에 사형당하다. 흥안군 이제, 이괄의 난 당시 추대되지만 일주일 만에 사형당하다. 흥안군 이제(興安君 李瑅, 1598년 ~ 1624년 음력 2월 21일)는 조선 중기의 왕자이자 왕족 종실이다. 선조의 열번째 아들이자 온빈 한씨의 첫째아들이다. 이괄의 난 당시 추대되어 임시 군주가 되었으나, 반란이 일주일만에 진압되면서 사형당하였다. 일생 휘는 제(瑅),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선조와 온빈 한씨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덕흥대원군의 손자이자, 임해군, 광해군, 정원군의 이복 동생이다. 이괄의 난 당시 부원수 이괄의 추대로 1624년 음력 2월 11일부터 7일간 임시로 왕위에 올랐으나 3일만에 이괄군이 패배하면서 붙잡혀 처형되었다. 고종 때 복권되었다. 부인으로는 청주군부인 한씨(淸州郡夫人 韓氏)와 파평군부인 윤씨(坡平.. 더보기
강홍립, 광해군 때 조명연합군을 구성하여 요동에 파견되다. 강홍립, 광해군 때 조명연합군을 구성하여 요동에 파견되다. 강홍립(姜弘立, 1560년 ~ 1627년)은 조선의 문관, 군인이다. 광해군 때 명나라에 지원병을 이끌고 참전했으나 청나라와의 교전을 피하다가 투항했다. 자 군신(君信), 호 내촌(耐村),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생애 초기 1597년(선조 30년) 문과 알성시에 병과1등위로 급제하였고,설서,검열을 역임하고 1599년 함경도 도사, 1601년 성균관 전적, 공조정랑, 1602년 장령, 수찬 1604년 교리, 부수찬, 사예, 1605년(선조 38년) 도원수 한준겸(韓浚謙)의 종사관이 되었고, 같은 해 주청사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갔다. 1606년 예조정랑, 부교리, 1607년 성균관 직강, 내자시정, 수찬을 지냈다. 관료 생활 광해군 원년 1608.. 더보기
홍타이지, 숭덕제 조선을 침공하여 병자호란을 일으킴으로써 파죽지세로 진격하다. 홍타이지, 숭덕제 조선을 침공하여 병자호란을 일으킴으로써 파죽지세로 진격하다. 숭덕제(崇德帝, 1592년 11월 28일 ~ 1643년 9월 21일)는 후금의 제2대 칸이자, 청나라의 황제(재위 1626년 ~ 1643년)이다. 휘는 아이신기오로 홍타이지(한국 한자: 愛新覺羅皇太極 애신각라황태극). 묘호는 태종(太宗)이다. 부황인 천명제 누르하치가 세운 후금을 이어받아 연호를 천총(天聰)이라 하다가 1636년 국호를 청(淸)으로 바꾸고 연호도 숭덕(崇德)으로 바꾸었다. 시호는 태종 문황제(太宗文皇帝)이다. 청나라 역사상 유일하게 연호를 두 번 쓴 황제이기도 하다.(선통제는 연호를 대동, 강덕 3개나 쓴 적이 있지만, 대동과 강덕은 만주국에서 쓴 연호로, 청나라에서 쓴 연호는 선통이 유일하다.) 생애 초반 1.. 더보기
김상헌,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주전론을 펴고, 최명길이 작성한 항복문서를 찢고 통곡하다. 김상헌,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주전론을 펴고, 최명길이 작성한 항복문서를 찢고 통곡하다. 김상헌(金尙憲, 1570년 ~ 1652년)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 학자이다. 병자, 정묘호란시 척화대신으로 이름이 높았다. 본관은 (신) 안동, 자는 숙도(叔度), 호는 청음(淸陰)·석실산인(石室山人)·서간노인(西磵老人)이며,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윤근수(尹根壽)의 문인. 조선후기 세도가의 직계선조로 그의 후손에서 13명의 재상과 수십 명의 판서, 참판이 배출되었고, 순조비, 헌종비, 철종비 등 왕비 3명과,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가 모두 그의 후손이었다. 생애 초반 3세 때 큰아버지인 김대효에게 출계(出系)하였다. 윤근수(尹根壽)의 문하에서 수업하고, 《소학(小學)》 공부에 힘썼으며 성혼의 도학에 연원을 두었다.. 더보기
사릉 광해군의 묘, 폐모살제와 외교정책에 불만을 품은 서인(西人)들이 인조반정을 일으키다. 사릉 광해군의 묘, 폐모살제와 외교정책에 불만을 품은 서인(西人)들이 인조반정을 일으키다. 위치 : 경기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산 59 묘의 형식 : 쌍분 묘의 조성 : 1623년(인조 1), 1641년(인조 19) 묘의 구성 광해군묘는 조선 15대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류씨의 묘소이다. 묘소는 왕자 묘제의 예로 조성되었다. 쌍분의 형태로 조성되어 병풍석과 난간석을 생략하고, 문석인, 망주석, 장명등, 상석, 향로석, 혼유석을 배치하였다.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이 광해군묘, 오른쪽이 문성군부인묘소로 각 봉분 앞에는 묘표석을 세웠다. 묘소 밑에는 재실터로 추정되는 주춧돌이 있다. 묘의 역사 1623년(인조 1)에 문성군부인 류씨가 강화도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나자 같은 해 음력 윤10월 29일에 양주 적.. 더보기
김자점, 산림 학자 세력으로 비정상적인 권력남용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다. 김자점, 산림 학자 세력으로 비정상적인 권력남용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다. 김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다. 자(字)는 성지(成之), 호는 낙서(洛西), 본관은 경북 안동이다. 이력 그는 인조 반정에 참여하였고 귀인 조씨의 인척이었으며 친청파 정치인이었다. 음서제로 관직에 올라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에 이르렀으며 낙흥부원군에 봉군되었다. 인조 반정의 모의에 가담하였으며 1623년 3월 반정을 꾀해 군대를 모아 홍제원에서 이괄 등의 군사와 합류하였고 반정에 성공한 공로로 동부승지(同副承旨)로 특별 승진하고, 도원수가 되었으며, 정사공신(靖社功臣) 1등관에 녹훈되고 낙흥군(洛.. 더보기
허균, 몰락과 죽음, 죽음에 대한 의문점(5) 허균, 몰락과 죽음, 죽음에 대한 의문점 몰락과 죽음 (탄핵과 사형) 1617년 12월 12일 의정부좌참찬이 되었다가 그해 12월 26일 우참찬이 되었다. 그러나 기준격 등은 계속 상소를 올려 그가 역모를 꾸민다고 공격한다. 1618년 1월 기준격은 계속 상소를 올려 그를 공격했고, 1618년 1월 좌참찬이 되고 그 역시 자신이 역모와 무관하다며 해명을 한다. 결국 그해 2월 우의정 한효순 등이 2품 이상의 대신들을 이끌고 허균과 기자헌을 추국하고 문제를 종결시킬 것을 청한다. 그런데 이이첨이 허균을 제거 대상으로 바라보는 중에 광해군 10년(1618) 8월10일 남대문에 “포악한 임금을 치러 하남 대장군인 정아무개가 곧 온다…”는 내용의 벽서가 붙는 사건이 발생한다. 1618년 8월 남대문 격문은 허균.. 더보기
인조반정, 서인은 광해군의 중립외교정책을 비판하며 능양군을 옹립하다. 인조반정, 서인은 광해군의 중립외교정책을 비판하며 능양군을 옹립하다.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한다. 배경 광해군은 당론의 폐해를 통감하고, 이를 초월하여 좋은 정치를 하려고 노력했다. 그래서 이원익, 이항복, 이덕형 등 명망 높은 인사를 조정의 요직에 앉혀 어진 정치를 행하려 했으며,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서 어느 한쪽의 손을 들어주지 않고 실리를 취하는 중립외교 정책을 폈다. 그러나 이이첨, 정인홍 등 대북파의 무고로 친형 임해군을 사사했으며, 1613년(광해군 5년) 계축옥사가 일어나 이복동생 영창 대군을 죽이고 인목왕후를 폐비시켜 서궁에 유폐하였다. 이와 같은 광해군의 패륜 행위를 명분삼아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