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카린 밀수 사건, <회상록 - 묻어둔 이야기>
사카린 밀수 사건은
1966년 삼성그룹의 계열사인 한국비료공업이 사카린을 밀수하려다 발각된 사건이다. 1966년 5월삼성이경남 울산시에 공장을 짓고 있던 한국비료가 사카린2259 포대(약 55t)를 건설자재로 꾸며 들여와 판매하려다 들통이 났다. 뒤늦게 이를 적발한 부산세관은 같은 해 6월 1059 포대를 압수하고 벌금 2천여만 원을 부과하였다. 삼성은 한국비료 공장을 짓기 위해 일미쓰이사로부터
정부의 지급보증 아래 상업차관4천여만 달러까지 들여왔다.사카린 밀수를 현장지휘했다고 밝힌 이맹희씨가 1993년 발간한 《회상록 - 묻어둔 이야기》에서 한국비료 사카린 밀수사건은 박정희대통령과이병철회장의 공모 아래 정부기관들이 적극 감싸고 돈 엄청난 규모의 조직적인 밀수였다고 다음과 같이 고백하였다.
"1965년 말에 시작된 한국비료 건설과정에서 일본 미쓰이는 공장건설에 필요한 차관 4200만 달러를 기계류로 대신 공급하며 삼성에 리베이트로 100만 달러를 줬다. 아버지(이병철회장)는 이 사실을 박 대통령에게 알렸고 박 대통령은 “여러 가지를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그 돈을 쓰자”라고 했다. 현찰 100만 달러를 일본에서 가져오는 게 쉽지 않았다. 삼성은 공장 건설용 장비를, 청와대는 정치자금이 필요했기 때문에 돈을 부풀리기 위해 밀수를 하자는 쪽으로 합의했다. 밀수현장은 내(이맹희 씨)가 지휘했으며 박 정권은 은밀히 도와주기로 했다. 밀수를 하기로 결정하자 정부도 모르게 몇 가지 욕심을 실행에 옮기기로 했다. 이 참에 평소 들여오기 힘든 공작기계나 건설용 기계를 갖고 오자는 것이다. 밀수한 주요 품목은 변기, 냉장고, 에어컨, 전화기, 스테인리스 판과 사카린 원료 등이었다."
사카린 밀수 사건이 이토록 국가적으로 거대한 파문이 일어난 것은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첫 번째는 박정희 정부가 내건 국정 구호가 구악 일소, 즉, 부패척결이었는데 이번 사카린 사건으로 정권의 모순이 드러났다는 점이었고 또, 두 번째는 당시 삼성家에서 중앙일보를 세우고 언론계에 진출할 시기와 맞물렸다는 점.이러한 복합적인 작용으로 사카린 사건은 전국민적, 전국가적으로 큰 파장이 일었다.
☞ 이전글
[역사보기] - 전병헌, 검찰은 전병헌에게 제삼자 뇌물과 뇌물수수, 업무상 횡령 혐의 등을 적용하여 구속영장을 청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