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삼국유사

화랑세기, 김대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하다. 화랑세기, 김대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하다. 《화랑세기》(花郞世記)는 김대문에 의해 저술된 신라시대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신라 성덕왕의 재위기간 (702년 - 737년) 사이에 쓰였다. 《화랑세기》는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서술할 때까지 남아 있었으나, 이후 소실된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필사본 발견 1989년 2월에 남당 박창화가 일본 천황가의 보물창고인 일본 궁내청 서릉부에서 필사했다고 주장하는 《화랑세기》 한문 필사본이 김해에서 발견되었다. 1995년에는 162쪽 분량의 또 다른 필사본(모본‧母本)이 발견되었다. 이 필사본에는 서기 540년부터 681년까지의 풍월주 32명의 전기가 담겨 있다. 필사되었다고 주장되는 《화랑세기》는 유교적 가치관과 사뭇 다른 신라인에 대한 기.. 더보기
신덕왕, 매제인 효공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다 신덕왕, 매제인 효공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다 신덕왕(神德王, ? ~ 917년, 재위: 912년 ~ 917년)은 신라의 제53대 왕이다. 성은 박(朴), 이름은 경휘(景暉 또는 景徽)이다. 아버지는 선성대왕 박예겸(朴乂兼 또는 朴乂謙 혹은 朴銳謙)이고, 어머니는 정화부인(貞花夫人)이다. 그러나 다른 일설에 박예겸은 의부(義父, 혹은 양부)이고 친아버지는 흥렴대왕(興廉大王)으로 추봉된 각간 박문원(朴文元)이라고도 한다. 생애 912년, 매제이자 이복 손아랫처남인 선왕 효공왕 김요에게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효공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후고구려의 궁예(弓裔), 후백제의 견훤(甄萱) 등의 세력에 침식당해 신라는 쇠퇴할 뿐이었다. 즉위한 해에 왕은 아들 박승영(朴昇英)을 태자로 세우고, 이찬 .. 더보기
흥덕왕, 귀족의 사치를 규탄하고 골품제도에 따라 신분의 구분을 엄히 하다. 흥덕왕, 귀족의 사치를 규탄하고 골품제도에 따라 신분의 구분을 엄히 하다. 흥덕왕(興德王, 777년 ~ 836년, 재위 : 826년 ~ 836년)은 신라의 제42대 왕이며, 초명은 수종(秀宗), 수승(秀升) 이고 즉위 후에 경휘(景徽)로 개명하였다. 아버지는 원성왕의 장남인 혜충태자(惠忠太子)이며, 어머니는 성목태후 김씨(聖穆太后 金氏)이다. 소성왕과 헌덕왕의 친동생이다. 왕비는 소성왕의 딸 장화부인(章和夫人, 정목왕후로 추존)이다. 헌덕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청해진(淸海鎭)과 당성진(唐城鎭)을 설치하여 해적의 침탈을 막고 안으로는 백성들의 사치를 법으로 규제하였다. 즉위 809년 동복 형 헌덕왕과 함께 정변을 일으켜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헌덕왕을 지지하여 이찬이 되었고, 819년 2월 또 다.. 더보기
박제상, 망부석 설화, 야마토에 볼모로 있는 왕자 미사흔을 구출해 신라로 보내다. 박제상, 망부석 설화, 야마토에 볼모로 있는 왕자 미사흔을 구출해 신라로 보내다. 박제상(朴堤上, 363년 ~ 418년 추정)은 신라의 충신이다. 자는 중운(仲雲), 호는 관설당(觀雪堂)·도원(挑園)·석당(石堂) 등이다. 혁거세 거서간의 9세손, 파사이사금의 5세손이며, 영해 박씨(寧海朴氏)의 시조이다. 《삼국유사》는 김제상(金堤上)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생애 삽라군(歃羅郡)의 태수직을 수행하였다. 눌지 마립간 즉위 10년(426년)에 왕의 명을 받아, 고구려에 볼모로 있던 눌지 마립간의 동생 복호(卜好)를 구하여 신라로 돌아왔으며, 이어서 야마토에 볼모로 있는 왕자 미사흔을 구하러 건너갔다. 왕자를 구출하여 신라로 보낸 후, 그를 신하로 삼으려는 인교 천황의 설득을 거절하다가 죽었다. 행적에 대해서는 .. 더보기
고구려 태조왕, 한국의 군주 중 가장 오래 산 군주와 가장 오랫동안(93년) 군림한 군주로 기록되다. 고구려 태조왕, 한국의 군주 중 가장 오래 산 군주와 가장 오랫동안(93년) 군림한 군주로 기록되다. 태조대왕(太祖大王, 47년 ~ 165년)은 고구려의 제6대 국왕(재위 53년 ~ 146년)이다. 성은 고(高), 어릴 적 이름은 어수(於漱), 휘는 궁(宮)이며, 고구려를 강력한 중앙집권국가 수준으로 끌어 올린 왕으로서 그 업적이 나라를 세운 것에 버금간다고 하여 국조왕(國祖王)이라고도 불렸다. 119살에 붕어하여 한국의 군주 중 가장 오래 산 군주와 가장 오랫동안(93년) 군림한 군주로 기록되어 있다. 유리명왕(琉璃明王) 또는 대무신왕의 아들인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의 아들로, 어머니인 태후(太后)는 이름은 미상이고 부여 사람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는 차대왕과 신대왕은 그의 이복 동생(서제).. 더보기
마한, 54개국의 지역적 연합체, 백제의 문화 기초가 되다. 마한, 54개국의 지역적 연합체, 백제의 문화 기초가 되다. 마한(馬韓)은 고대 한민족의 54개 부족국가 연맹체이다. 마한은 삼한의 기간(基幹)으로서 가장 넓은 지역에 걸쳐 있었다. 그 범위는 한강 유역(경기도)으로부터 충청·전라에 퍼져 있었으며, 목지(目支)·백제(伯濟) 등 54개국이 지역적 연합체를 이루고 있었다. 후에 부여 등 북방계 유이민을 중심으로 형성된 백제(百濟)국이 마한세력을 통일했다. 개요 마한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한반도에 있던 삼한(三韓) 중 가장 큰 정치 집단으로, 54개 소국의 통칭이다. 마한은 서해에 접하고, 동쪽은 진한(辰韓), 남쪽은 변한(弁韓)에 접해 있었다. 한강 이남 서울남동부를 중심으로 했던 나라 등 54개국의 지역적 연합체를 이루고 있었다. 이 마한의 54개 부족국가는.. 더보기
낙화암, 근대 이전에 "삼천궁녀"를 기록한 역사서는 존재하지 않다. 낙화암, 근대 이전에 "삼천궁녀"를 기록한 역사서는 존재하지 않다. 낙화암(落花岩)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소산에 있는 바위이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10호로 지정되었다. 백제 의자왕 20년(660년) 나(羅)·당(唐) 연합군의 공격으로 백제의 수도 사비성이 함락될 때, 백제의 3천 궁녀가 이곳에서 백마강(白馬江)을 향해 몸을 던졌다는 전설에서 유래한 바위이다. 낙화암 절벽 위에는 1929년에 궁녀들을 추모하기 위해 육각형의 《백화정》 정자를 건립하였다. 아래에는 송시열(1607-1689)의 글씨로 전하는 '낙화암'(落花岩)이라고 조각된 글씨가 새겨져 있다. 자살한 궁녀에 대한 내용이 언급된 최초의 기록은 일연의 《삼국유사》 권1 태종춘추공(太宗春秋公)조인데, 다음과 같다. [百.. 더보기
무령왕, 사신을 보내어 외교관계를 강화하고 백제의 문화 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다. 무령왕, 사신을 보내어 외교관계를 강화하고 백제의 문화 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다. 무령왕(武寧王, 462년~523년 6월 5일(음력 5월 7일), 재위: 501년~523년)은 백제의 제25대 국왕으로 성은 부여(扶餘)이다.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지석에 따르면 462년 태어났고 이름은 사마(斯麻) 또는 융(隆)이다. 아버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다. 《백제신찬》에 따르면 무령왕의 아버지는 개로왕으로 그가 동생 곤지와 부인을 공유했다고 하나, 이것은 왕위 계승의 정통성을 이끌어 내려는 시도라는 설이 있다. 또한 《백제신찬》과 《일본서기》에는 개로왕의 동생인 곤지왕자의 아들이고, 동성왕은 이복형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삼국사기》 와 《삼국유사》에는 동성왕의 둘째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그는 어릴 때부터 키..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