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궁보기

창덕궁의 정전, 인정전 자연속에 어우러지다.

반응형

 

인정전

 

인정전은 창덕궁의 정전이에요. 조선시대의 궁궐은 정전까지 3개의 문을 통과해야 합니다. 창덕궁은 돈화문과 진선문 인정문을 거쳐야 정전인 인정전에 들어오게 됩니다. 인정전에서는 조회와 왕의 즉위식, 외국 사신 접견, 책봉식 등 국가의 큰 행사를 치렀습니다.

인정전의 넓은 마당을 조정이라고 합니다. 가운데 3개로 난 길은 가운데 어도, 오른쪽이 문관, 왼쪽이 무관들이 지나다니는 길입니다. 양쪽으로 품계석이 늘어서 있습니다.문무백관이 자신의 지위에 따라 서 있는 곳입니다.

조선의 품계는 정1품부터 종9품까지로 문무양반제로 18품계입니다. 품계석을 보면 정-종-정-종 나오다 정4품 부터는 정만 있습니다. 종4품은 정 옆에 섰습니다. 정3품 이상을 당상관이라하고 이하를 당하관이라고 합니다. 어전회의에는 당상관 이상 만 참석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서 장원을 하면 종6품에서 부터 관직을 시작합니다.

인정전의 전각을 보면 용마루가 다른 전각과는 다르게 오양꽃 문양이 있습니다. 오양꽃 문양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을 합니다. 순종때 그려졌을 것이라 추정되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동궐도에는 오양꽃 문양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조선 왕조를 비하하기 위해 이씨를 뜻하는 오얏꽃을 붙였다는 설과 오얏꽃 문양을 순종 때 국새의 인장으로 쓴 것으로 보아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문양이라고 보는 해석입니다.

추녀마루에 여러가지 동물상을 잡상이라고 합니다. 서유기에 나오는 삼장법사와 손오공, 사오정 등을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의미로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창덕궁 잡상 중에는 인정전에 있는 잡상 개수가 가장 많습니다. 궁궐중에는 경복궁 경회루에 있는 잡상이 11개로 가장 많습니다.

 

인정전 내부

 

인정전 내부에는 임금의 자리인 용상과 임금을 상징하는 일월오악도가 있습니다. 천정을 올려다보면 봉황이 날고 있는데 이 봉황은 태평성대에만 나타난다는 상상속의 새입니다. 덕이 있는 임금이 다스려 태평성대가 오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은 것입니다.

바닥은 원래 흙을 구워 만든 전돌이었는데 일제강점기 때 마루로 바뀌었습니다. 실내장식도 당시 개화기 때의 영향으로 1908년 전등을 설치했고 문도 황실을 상징하는 노란색입니다. 인정전은 밖에서 보시면 2층 이지만 안에서는 하나로 뚫린 중층구조입니다. 일반적인 궁궐 배치는 정전 뒤에 편전과 내전이 있어야 하는데 창덕궁은 지형상 인정전 뒤편이 동산으로 되어 있어 화계와 담장으로 꾸며져 있습니다.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속에 어우러진 모습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