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삼별초, 몽고에 대항하던 고려의 무장세력

반응형

 

 

 

 

삼별초, 몽고에 대항하던 고려의 무장세력

 

 

삼별초(三別抄)는 몽골 침략기에 그에 대항하던 고려의 무장 세력이며, 원래는 하나의 단일한 단체가 아니었다.

뒤에 삼별초의 난을 일으킨다.

다른 반란군과는 달리 원래는 비정규군이었다가 정규군으로 재편된 군대였다.

제주도에서 궤멸하였다는 것이 통설이나, 일부 세력이 류큐 왕국(오키나와 지역)으로 향하였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유래

 

원래 삼별초에서의 “별초”(別抄)란 ‘임시로’ 조직된 선발군이라는 뜻의 일반명사, 일종의 유격대를 말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여기에는 정규군이 아니었다는 뜻도 담겨 있다.

 

삼별초는 처음에 최우가 도둑을 막기 위해 설치한 야별초(夜別抄)에서 유래한다.

 야별초는 1219년 최우가 권력 보호를 위해 조직한 사병이었는데, 뒤에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는 정규군으로 편성되었다.

 

그에 따라 야별초는 다시 좌별초, 우별초로 나뉘었으며, 몽골에 포로로 잡혀갔다 돌아오거나 탈출한 이들로 이루어진 신의군

을 일컬어 삼별초라 불렀다.

 

삼별초는 주로 경찰·군사 등의 공적(公的) 임무를 띠었으나 실제로는 최씨 무신정권의 사병이었다.

 

반역

1231년부터 몽골 침략이 시작되자 최씨 일가와 지배자들은 강화도로 피난을 떠난다.

1258년 김준최충헌의 증손 최의를 살해함으로써, 최씨 일가 독재를 종식시켰다.

 

그러나 그 뒤에도 지배자는 김준에서 임연, 그리고 다시 임연의 아들 임유무로 무신 지배는 승계되었다.

원종은 비밀리에 몽골과 손잡았는데, 대세는 이미 몽골과 내통한 원종 쪽으로 기울었다.

 

1270년 음력 5월 원나라에서 귀국길에 오른 원종1270년 개경으로의 환도를 단행하였다.

 이는 고려가 몽골에 속국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었다.

임유무는 황명을 거부한다.

그러자 원종은 삼별초를 회유하여 임유무를 암살하여 100년간 황권보다 더 강력한 권세를 휘두르던 무인시대는 완전히 종말

고하게 되었다.

 

대몽항쟁

 

1270년 개경 환도가 임박하자 삼별초는 몽골과 결탁한 왕에게 운명을 맡길 수 없었고, 내부에서 동요하기 시작했다.

분위기가 심상치 않자 원종은 삼별초에게 해산령을 내리고 그들의 명단을 거둬오도록 지시하였다.

 

연명부가 몽골군의 수중에 넘어가면 삼별초는 전멸이었다.

1270년 음력 6월 초, 개경 환도를 앞둔 시점에서 삼별초의 지도자였던 배중손노영희 등 삼별초 지휘자들은 항전을 결정한다.

 

삼별초는 왕족 승화후 왕온을 추대하여 황제로 삼고, 대 선단을 이끌고 진도로 도착했다.

당시 진도와 그 인근 지역에는 과거 최씨 정권이 소유한 농장이 그때까지도 존재하였으며, 대규모 몰려 있었다.

 

동시에 경상도전라도 지방의 세곡이 서울로 운송되는 길목에 진도가 속해 있었다.

 이는 세곡으로 운반되는 식량과 자금을 빼앗아 자체 군량으로 쓰는 동시에 개경 정부를 압박할 수 있는 요충지였다.

 

진도에 도착한 삼별초는 '용장사'라는 절을 임시 황궁으로 삼았다.

그리고 용장사 주변에 산성을 쌓고 관아도 세웠으며 제법 도읍지의 면모를 갖추고 그들은 역동적으로 움직였다.

 

조정의 진압군은 속수무책이었던 반면, 이들은 남해안 일대를 석권하고 해상제국을 건설한다.

그들은 또 고려의 정통 정부임을 자처하면서 일본에 사절을 교환하는 등의 외교활동도 하였다.

1270년 음력 11월 이르러 삼별초군은 제주도까지 점령하였다.

 

종지부

 

1271년 음력 5월 · 연합군이 조직되어 세 방향으로 나눠서 진도를 공격해왔다.

삼별초는 진도의 관문이었던 벽파진에서 중군을 막는 데 주력하였다.

 

그러나 삼별초가 중군으로 들어오는 적을 막는 데 주력하는 동안, 그 틈을 타서 여몽 연합군의 좌군과 우군이 배후와 측면

서 기습 공격을 해왔고, 성은 순식간에 무너졌다.

 

지휘자 배중손과 승화후 온은 살해되고 혼란에 빠진 삼별초는 피신하였다.

살아남은 삼별초 병사들은 김통정의 지휘 아래 혼란을 수습하고 제주도로 후퇴한다.

 

그 후 제주도에서 항거하며 일진일퇴가 거듭되었으나 1273년 음력 4월, 여·몽 연합군 1만여 명이 당도했다.

끝까지 버티던 제주 삼별초는 힘없이 무너졌다.

 

지휘자 김통정은 산 속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음으로서 40년에 걸친 삼별초의 항전은 막을 내린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