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나선정벌, 청나라와 러시아의 국경분쟁에 휘말리다.

반응형

 

 

 

나선정벌, 청나라와 러시아의 국경분쟁에 휘말리다.

 

 

청-러시아 국경 분쟁(1652년 ~ 1689년)은 코사크가 아무르 강 이북의 청나라 영토를 점유하려고 시도하여, 러시아(당시 루

스 차르국)와 청나라 사이에 불거진 일련의 간헐적인 소규모 군사 충돌이다.

 

1686년에 청군이 알바진의 코사크 요새를 공략하고 1689년에 네르친스크 조약을 맺음으로써 그동안의 적대적 행위는 막을 내

렸다.

 

분쟁의 배경

 

시베리아의 남동쪽 구석, 스타노보이 산맥의 남쪽 지역이 분쟁의 배경이 되었다.

 

수문학(水文學)적으로, 스타노보이 산맥은 북쪽으로 흘러 북극해로 흘러들어가는 강들과 남쪽으로 흐르는 아무르 강을 나누

는 분수령이 된다.

 

생태학적으로 이 지역은 시베리아 타이가의 남동쪽 끝부분으로, 농업에 적합한 구역이 다소 섞여 있다.

사회적·정치적인 면에서는 기원후 약 600년경부터 호륜여진의 근거지로, 동북아시아 문화권의 북쪽 끄트머리에 속한다.

 

다양한 중국계, 한국계, 여진계 국가들이 이 지역의 통치권을 주장하며, 국가가 충분히 강성해지면 주위 국가들에게 조공을

받았다.

 

1643년에 러시아의 탐험가들이 스타노보이 산맥 일대로 쏟아져 들어왔으나, 1689년까지 청나라 당국에 의해 모두 쫓겨났다.

1859년에서 1860년에 걸쳐 러시아가 이 지역을 차지했고, 재빨리 러시아계 인구로 채워넣었다.

 

나선정벌

 

당시 1654년과 1658년 사이 조선 또한 청나라와 러시아의 국경 분쟁에 휘말려 청나라측으로 이른바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나선

정벌이라 불린 분쟁에 잠시나마 참전했다.

 

1654년 3월 20일(음력 2월 2일)에 청나라에 다녀온 차사 한거원(韓巨源)이 서울에 돌아와

 

“조창(鳥槍)을 잘 쓰는 사람 1백여 명을 뽑아 보내라”

 

는 청 제국 예부의 요구를 전달했다.

 

이에 당시 조선의 왕이었던 효종이 ‘나선’이 어떤 나라냐고 묻자 한거원은 “영고탑 근처에 사는 별종들”이라고 대답했다.

한거원이 물러나자 영의정 정태화가 북우후(北虞候) 변급을 군사 인솔자로 추천했다.

 

서울을 출발한 변급은 회령에서 8일만에 영고탑에 도착하고, 영고탑에서 다시 14일 가서 왈합에 도착하여 루스 차르국군과 조

우했다.

 

이때 러시아군은 큰 배가 13척, 작은 배가 26척이었다.

 

청나라 장수가 조선군을 선봉에 세우려 하자 변급은

 

“이 작은 자피선으로 어떻게 저런 커다란 서양 배를 막을 수 있겠습니까?

 

라며 거부했고, 이를 타당하게 여긴 청군은 왈합 원주민 3백여 명과 청군 3백여 명으로 러시아군을 공격하고 조선군에게는 포

병으로 지원사격을 맡겼다.

 

공격이 계속되자 덩치는 크지만 노가 없는 서양 배들은 흑룡강의 거센 물살을 이기지 못하고 떠내려가고 말았다.

변급은 음력 7월경에 영고탑으로 귀환했다.

 

1658년에는 청나라에 사신으로 갔다 온 이일선(李一善)이

 

“나선을 다시 토벌하려 하니 다섯 달 치의 군량을 제공하라”

 

는 청 측의 요구를 전달했다.

조선은 군말없이 따랐다.

 

신류가 인솔한 것으로 알려진 1658년 원정에 대해서는, 파병에 응했다는 것 외에는 《조선왕조실록》 상에 남아있는 기록이

없다.

 

전후 처리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이 체결되고 루스 차르국은 알바진을 포함하여 아무르 일대의 영토를 모두 잃었다.

청 제국과 루스 차르국의 국경은 아르군 강과 스타노보이 산맥으로 결정되었다.

 

1727년에 캬흐타 조약이 체결됨으로써 이 국경을 다시 한번 확정짓고, 루스인과 중국인 사이의 교역을 규제했다.

 

알바진 요새가 함락되고 거의 2세기가 지난 1858년, 아이훈 조약으로 러시아 제국은 마침내 스타노보이 산맥과 아무르 강 사

이의 영토를 손에 넣었다.

 

1860년의 베이징 조약에 따라 러시아는 애당초 17세기에 분쟁 대상도 아니었던 블라디보스토크 일대 프리모르스키를 차지했

고, 그 뒤로 지금까지 외만주와 연해주는 러시아의 영토에 속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