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인조반정, 서인은 광해군의 중립외교정책을 비판하며 능양군을 옹립하다.

반응형

 

 

 

인조반정, 서인은 광해군의 중립외교정책을 비판하며 능양군을 옹립하다.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한다.

 

배경

 

광해군은 당론의 폐해를 통감하고, 이를 초월하여 좋은 정치를 하려고 노력했다.

 

그래서 이원익, 이항복, 이덕형 등 명망 높은 인사를 조정의 요직에 앉혀 어진 정치를 행하려 했으며,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서

어느 한쪽의 손을 들어주지 않고 실리를 취하는 중립외교 정책을 폈다.

 

그러나 이이첨, 정인홍 등 대북파의 무고로 친형 임해군을 사사했으며, 1613년(광해군 5년) 계축옥사가 일어나 이복동생 영창

대군을 죽이고 인목왕후를 폐비시켜 서궁에 유폐하였다.

 

이와 같은 광해군의 패륜 행위를 명분삼아 서인 김류, 김자점, 이귀, 이괄, 심기원 등은 반정을 일으켰다.

 

경과

 

1620년(광해군 12년) 신경진과 김류가 처음으로 반정을 모의하기 시작했고, 이서와 이귀·김자점·최명길과 그의 형 최내길 등이

이에 동조했다.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밤, 능양군을 주축으로 한 서인 세력이 반정을 일으켰다.

이이반이 도중에 밀고하였으나, 예정대로 거사는 실행에 옮겨졌다.

 

능양군과 이서, 신경진, 이귀, 이괄, 김류, 김자점, 심기원, 구굉, 구인후, 최명길, 최내길 등은 2000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창의

문으로 진격해 성문을 부수고, 창덕궁에서는 미리 포섭되어 있던 훈련대장 이흥립의 내응으로 훈련도감의 군사가 궁궐 문을

열어주어 반정에 성공했다.

 

결과

 

광해군은 대궐 뒷문으로 달아나 의관 안국신의 집에 숨었으나 곧 체포되어 왕자의 신분인 군(君)으로 강등되고, 강화도로 유배

되었다.

 

이 때 광해군 정권 때의 권세가였던 이이첨 · 정인홍 · 유희분을 비롯하여 무려 40여 명이 참수되었고, 숙청되어 귀양간 자가

200여 명이라 전해진다.

 

반정 모의에 참여했으나 밀고했던 이이반도 반역죄로 주살당했다.

조선 역사에서 일어난 4번의 쿠데타 중에서 인조반정처럼 반대파를 철저하게 압살한 적은 없었다.

 

또한 정인홍의 경우 당시 88세의 고령으로 굳이 죽일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끝내 처형하였다.

그것도 사약이 아닌 참수형으로 다스렸다.

 

이는 조선왕조에서 정승을 지낸 인물 및 80세 이상의 고령자는 처형할 때 목을 베지 않는다는 원칙을 정면으로 위반한 것으로,

1689년 송시열이 83세에 사약을 받고 죽은 것과 상반된다.

 

이로써 대북은 정계에서 완전히 밀려났으며 북인 정권의 우상인 조식 계통의 남명학파는 크게 배척받았다.

 

이괄의 난

 

1623년(광해군 15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인조반정 당일에 능양군을 주축으로 해서 반정군을 지휘해야 할 김자점이 예정

시각에 도착하지 않자 자신이 반정군을 진두지휘하여 이를 성사시켰다.

 

거사하던 날 부서를 나누는 등 온갖 계획을 도맡아 하였으나 인조반정 모의가 알려지자 김유와 이귀 등은 반정군과 아무런 관

련이 없는 것처럼 행세하였다.

 

이괄은 바로 병사를 이끌고 한성부를 수색하여 광해군을 체포한다.

사실 인조반정은 이괄의 과단성이 없었으면 성공하지 못했을 쿠데타였다.

 

반정군의 대장을 맡기로 한 김유는 정보가 누설되었다는 소식을 듣자 거사 장소에 나타나지 않고 자신의 무관함을 보이기 위

집에서 근신하고 있었다.

 

이괄이 대신 대장을 맡아 군사를 움직이자 김유는 그제서야 뒤늦게 현장에 나타나 반정에 합류했다.

 

이 반정에 공을 세워 집권한 이귀·김류 등 33명은 3등으로 나누어 정사공신(靖社功臣)의 훈호(勳號)를 받고 각기 등위에 따라

벼슬을 얻었다.

 

그러나 이 논공이 공평하지 못하였고, 잇단 내부 분열에 시달렸다.

 

역사적 의의

 

인조반정을 일으킨 서인 일파는 지나치게 명분에 집착하였고, 이에 따라 광해군이 추진한 중립외교 정책을 비판하며 구체적

전략도 없이 무조건적인 친명배금 정책을 실시한다.

 

이는 국제 정세의 흐름을 제대로 간파하지 못한 행동으로, 결국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인조반정 주체 세력들이 모두 친명배금의 외교정책을 실시한 것은 아니다.

 

비록 서인들이 광해군의 중립외교정책을 실정의 하나로 지목하여 폐위시키기는 했지만, 이들 역시 명나라의 국운이 기울고 후

금이 강성해지는 것을 모르지 않았으며, 따라서 소수이기는 하지만 실리적 외교정책을 주장하기도 했는데, 그 대표적인 인물

들이 이귀, 장유, 최명길이다.

 

가담자

 

인조 : 삼전도에서 청 태종 홍타이지에게 삼배구고두를 행하는 굴욕을 당함

 

김류 : 병자호란 때 강화도 수비를 맡았던 아들 김경징이 방비를 전혀 하지 않다가 결국 강화도가 함락당하자 처형당하는 아

          픔을 겪음

 

이괄 : 인조반정이 성공한 후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안령에서 대패하여 이천으로 도주했다가 부하들에

          게 목이 잘림

 

최명길 :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의 화의를 주장했다가 유생들로부터 매국노라는 지탄을 받고 불우한 만년을 보냄

 

심기원 : 회은군을 왕위에 추대하려는 역모를 획책하였다는 죄목으로 체포되어 능지처참을 당하고 가산이 적몰됨

 

김자점 : 효종 때 유생들의 지탄으로 유배되었고, 이에 앙심을 품고 역모를 획책하다가 탄로나 능지처참을 당함

 

박영서 : 이괄의 난 때 반란군과 싸우다가 포로가 되었는데, 이괄의 군대에게 협력을 거부했다가 살해당함

 

이중로 : 이괄의 난 때 토벌군을 이끌고 반란군과 싸우다가 전사

 

이성부 : 이괄의 난 때 반란군과 전투에서 패하자 물에 투신하여 자살

 

이이반 : 거사 동지였으나, 실패를 우려하여 조정에 밀고하였고, 이로 인해 반정이 성공한 후 참수당함

 

이흥립 : 광해군을 배신하여 반정 성공에 기여했으나, 이괄의 난 때 반란군에게 투항했다가 난이 평정된 후 수감되었고, 신병

             을 비관하여 옥중 자살

 

1644년 모반 혐의로 체포된 심기원의 경우 임문정형이라 하여 인조가 문루 위에 임어한 가운데 처형당하였다.

 

그는 오살(五殺)이라 하여 두 다리와 두 팔 순서로 사지가 토막났고, 이로 인해 비명과 함께 피를 뿌리며 고통스럽게 나뒹굴다

가 고통이 최고조에 이를 무렵에 목이 잘려 거리에 효수되는 비극적 최후를 맞이하였는데, 그를 역모로 몰아 죽게 한 옛 동지

이자 당시 정치적 라이벌 김자점 또한 1651년 모반 혐의로 처형당할 때 심기원과 똑같은 방법으로 능지처참에 처해졌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