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쟁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간(臺諫), 관리의 감찰과 간언을 하는 벼슬아치를 이르는 말 대간(臺諫), 관리의 감찰과 간언을 하는 벼슬아치를 이르는 말 고려 시대의 어사대와 중서문하성의 간관인 3품 관직의 낭사, 조선 시대에 대관과 간관을 함께 이르는 말이다. 대관(臺官)은 관리를 감찰하는 벼슬아치이며, 간관(諫官)은 임금에게 간언하는 벼슬아치이다. 이들은 좁게는 사헌부과 사간원의 관직이며, 넓게는 이 두 관소와 홍문관까지를 아우르는 관직이다. 홍문관은 집현전의 후신으로서 경연의 자리에서 국왕의 교수 역할을 하였다. 사간원, 사헌부, 홍문관을 함께 이르러 3사(三司)라고 한다. 대간을 언관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조선 시대에 언론을 주도한 관직이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 시대에는 유교 문치주의를 표방한 사회였으므로 이러한 대간을 매우 중요시하여 이들 대간 직책은 청빈함을 요구하여서, 청요직(淸.. 더보기 사간원, 왕권과 신권의 균형을 추구한 조선 정치철학의 특성상 중요한 기관으로 여겨지다. 사간원, 왕권과 신권의 균형을 추구한 조선 정치철학의 특성상 중요한 기관으로 여겨지다.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다. 언론삼사(言論三司)의 하나로 간원(諫院) 또는 미원(薇院)이라고도 하였다. 관원은 간관(諫官)이라고 하며, 사헌부의 관원인 대관(臺官)과 병칭해 대간(臺諫)이라 한다. 개설 국왕에 대한 간쟁(간쟁(諫諍) -간절한 마음으로 윗사람에게 그의 옳지 못한 일을 말하여 잘못을 고치게 하는 것), 즉 왕이 행하는 정사에 대한 비평을 중심으로 신하들에 대한 탄핵, 그밖에 정치 문제에 관해 논하는 언론 기관의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왕권과 신권의 균형을 추구한 조선 정치철학의 특성상 중요한 기관으로 여겼다. 관헌으로는 대사간(大司諫)·사간(司諫)..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