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려사

충혜왕, 사치와 향락, 사냥을 일삼았으며, 흉흉한 민심과 소문이 돌다. 충혜왕, 사치와 향락, 사냥을 일삼았으며, 흉흉한 민심과 소문이 돌다. 충혜왕(忠惠王, 1315년 2월 22일 (음력 1월 18일) ~ 1344년 1월 30일 (음력 1월 15일))은 고려 제28대 국왕(재위: 1330년 ~ 1332년, 복위 1339년 ~ 1344년)이다. 휘는 정(禎), 몽골 이름은 부다시리( 한국 한자: 寶塔實里 보탑실리).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혜왕(忠惠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헌효대왕(獻孝大王)이다. 충숙왕과 명덕태후(明德太后) 홍씨(洪氏)의 아들이다. 생애 충숙왕 17년(1330), 충숙왕이 원나라에게 폐위되자 즉위했지만, 충혜왕 2년(1332) 원나라에 의해 폐위되고 충숙왕이 복위되어 다시 원나라로 갔다. 충숙왕 복위 7년(1339) 충숙왕이 죽자 충숙왕의 사촌 심양왕.. 더보기
우왕, 조선시대에 편찬 된 <고려사> 우왕을 신돈과 반야의 자식으로 규정하다. 우왕, 조선시대에 편찬 된 우왕을 신돈과 반야의 자식으로 규정하다. 우왕(禑王, 1365년 7월 25일 (음력 7월 7일) ~ 1389년 12월 31일 (음력 12월 14일))은 고려 제32대 국왕(재위: 1374년 ~ 1388년)이다. 우왕의 아명(兒名)은 모니노(牟尼奴)로, 공민왕의 서자(庶子)이자 외아들이다. 그의 생모는 훗날(우왕 즉위년) 순정왕후(順靜王后)로 추존된 궁인 한씨로 포고되었다. 1371년(공민왕 20년)에 7세의 나이로 비로소 입궐하여 태후전에서 지냈다. 1373년(공민왕 22년) '우(禑)'라는 이름(名號·諱)을 하사받았고, 강령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에 봉작되었다. 1374년(공민왕 23년)에 공민왕이 시해당하자, 10세의 나이로 훗날 이성계의 정적이 되는 이인임의 후원을 받고 등.. 더보기
동사강목, 안정복, 고조선 부터 고려가 멸망하게 되는 1392년에 이르기까지 2,514년의 역사를 수록하다. 동사강목, 안정복, 고조선 부터 고려가 멸망하게 되는 1392년에 이르기까지 2,514년의 역사를 수록하다. 《동사강목》(東史綱目)은, 조선의 학자 안정복(安鼎福)이 저술한 강목체(綱目體) ·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다. 중국 남송(南宋) 주자(朱子)의 《강목》(綱目)의 체제를 따라 중국 은(殷) 왕조의 기자(箕子)가 주(周)에서 고조선(古朝鮮)으로 망명한 시점으로 알려진 기원전 1122년(주 무왕 13년, 기묘년)부터 고려(高麗) 34대(마지막) 군주 공양왕(恭讓王)이 이성계(李成桂)에 의해 강제로 양위하고 고려가 멸망하게 되는 1392년(고려 공양왕 4년, 임신년)에 이르기까지의 2,514년에 걸치는 역사를 수록하였다. 전체 17권 34책(각권이 상·하로 분류되어 있다)에 서론과 부록 3권이 덧붙여져.. 더보기
견훤, 백제 부흥운동으로 무진주를 점령하고 후백제의 군주가 되다. 견훤, 백제 부흥운동으로 무진주를 점령하고 후백제의 군주가 되다. 견훤(甄萱, 867년 ~ 936년 9월 27일(음력 9월 9일) 재위:892년?/900년? ~ 935년 음력 3월)은 신라 말기의 장군이자 후백제의 시조이다. 892년부터 935년 음력 3월까지 후백제(後百濟)의 국왕으로 재위한 그는 본래 통일신라(新羅)의 장군이었으나 889년을 전후한 시기부터 백제(百濟) 부흥 운동을 전개하여 892년에 무진주를 점령하였고 900년에 비로소 후백제의 군주가 되었으며 935년 음력 3월에 첫째아들이자 적장자(嫡長子)인 신검(神劍)이 일으킨 정변으로 보위에서 축출되었고 대리 집정을 하던 신검은 같은 해 935년 음력 10월 17일에 비로소 후백제의 제2대 군주로 등극하였으나 이듬해 936년 음력 9월 8일에.. 더보기
문종, 유연함과 강함을 병행하는 정치를 하다. 문종, 유연함과 강함을 병행하는 정치를 하다. 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 (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일 (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임금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휘는 향(珦)이며, 자는 휘지(輝之)이다.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맏아들로, 조선의 왕 중에서 적장자로 왕위에 오른 최초의 왕이다. 문종은 세종대왕의 맏아들이자 소헌왕후의 소생 중 첫째로 출생하여 1421년 8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며, 왕세자로 책봉된 다음해인 1422년에 조부인 태종이 세상을 떠난다. 젊은 나이에 일찍 혼인하였으나 첫 번째 부인이었던 휘빈 김씨는 문종의 사랑을 얻으려 온갖 잡술을 이용하다가 발각되어 폐위되었고, 두 번째 아내였던 순빈 봉.. 더보기
최충헌, 무인 정치자로, 생전에 왕을 능가하는 권력을 누리다.(1) 최충헌, 무인 정치자로, 생전에 왕을 능가하는 권력을 누리다. 최충헌(崔忠獻, 1149년~1219년 10월 29일 (음력 9월 20일))은 고려 시대의 무신이자 군인, 정치가이다. 최씨 정권의 첫 번째 독재자이다. 본관은 우봉(牛峰)이며 초명은 최난(崔鸞)이고 시호는 경성(景成)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1196년부터 1219년까지 고려 왕조의 실권을 맡았다. 이의민을 제거하고 집권한 다섯번째 무인 집권자였으며, 무신 세습 정권을 구축하였다. 이후 경쟁자 두경승과 동생 최충수, 조카 박진재를 모두 제거한 뒤 일인 집권체제를 구축했고, 집권기간 중 국왕인 명종과 신종, 희종을 폐위시켰다. 1209년 학자 이규보를 발탁, 무신정권으로 피폐해진 문운(文運)을 재흥시키려고 힘썼는데, 청교역(靑郊驛)의 관리들의 자..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