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다루가치

원성공주, 제국대장공주, 국왕 충렬왕보다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다. 원성공주, 제국대장공주, 국왕 충렬왕보다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다.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1259년 음력 6월 28일(양력 7월 19일) ~ 1297년 음력 5월 21일(양력 6월 11일))는 고려의 제25대 왕 충렬왕의 제1비이다. 고려의 첫 원나라 출신 왕비로, 세조 쿠빌라이의 공주이다. 장목왕후(莊穆王后)라고도 한다. 가계 고려가 원나라의 신하국을 자처하면서 처음으로 혼인관계를 맺은 왕비로, 1259년 음력 6월 28일 원 세조(쿠빌라이)와 아속진가돈(阿速眞可敦)의 딸로 태어났다. 성은 보르지긴(孛儿支斤, 패아지근) 또는 기악온(奇渥溫), 이름은 쿠틀룩 켈미쉬(忽都魯揭里迷失, 홀도로게리미실, 또는 홀독겁미사)이다. 제국대장공주 이후로 고려의 왕은 원나라 황족 또는 귀족 가문과 혼인하는 경우가 많.. 더보기
충렬왕, 원나라의 풍습과 제반 문물제도를 받아들이다. 충렬왕, 원나라의 풍습과 제반 문물제도를 받아들이다. 충렬왕(忠烈王, 1236년 4월 3일 (음력 2월 26일) ~ 1308년 7월 30일 (음력 7월 13일) )은 고려 제25대 국왕(재위: 1274년 ~ 1298년, 복위:1299년 ~ 1308년)이다. 휘는 거(昛), 초명은 심(諶)·춘(賰),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렬왕(忠烈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광문선덕경효대왕(光文宣德景孝大王)이다. 원종과 순경태후(順敬太后) 김씨(金氏)의 맏아들이다. 원나라의 황제 쿠빌라이의 딸 제국대장공주와 결혼하여 원나라의 부마국이 되었으며, 이후 고려 군주들은 원나라의 황녀나 종실의 딸을 정비 또는 후궁으로 맞이하여 원나라의 부마국이 되었다. 그 결과 고려는 원나라의 속국(제후국)이 되었다. 그의 직계는 충목왕, .. 더보기
임견미, 시샘이 많고 음흉했으며 당나라 간신 이임보에 견주다. 임견미, 시샘이 많고 음흉했으며 당나라 간신 이임보에 견주다. 임견미(林堅味, ? ~ 1388년 1월)는 고려 말의 무신이다. 공민왕 초 다루가치(達魯花赤)에 속하여 공을 세우고 중랑장에 등용되었다. 1361년(공민왕 10년) 홍건적 침입 때 나주도병마사(羅州道兵馬使)로서 왕을 호종(扈從)해 1등공신이 됐다. 고려말 빈번했던 외적의 침입 때마다 군의 총책임을 맡았으며 특히 1368년 원나라 수도가 명나라 군에 의해 포위되는 등 중국 왕조 교체기의 고려 안보가 한 치 앞을 볼 수 없던 시점에 안주 순무사를 맡았다. 이후 문하시중에 오르는 등 이인임과 권문세족의 편에서 권세를 누리다가 1388년 이성계에 의해 제거됐다. 생애 고려의 무신.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임언수(林彦修)의 아들이다. 부친 임언수가 군.. 더보기
이자춘, 이성계의 아버지, 쌍성총관부를 탈환할 때 고려에 귀순하다. 이자춘, 이성계의 아버지, 쌍성총관부를 탈환할 때 고려에 귀순하다. 이자춘(李子春, 1315년 ~ 1361년 1월)은 원의 관료이자 고려의 무신이며 조선의 추존왕이다.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몽골식 이름은 울루스부카(Ulus-Buqa, 한국 한자: 吾魚思不花 오어사불화)이다. 원나라의 천호로 있다가 1356년 고려가 쌍성총관부를 탈환할 때 고려에 귀순하였다. 대중대부사복경과 삭방도만호 겸 병마사, 평장사 등을 역임하였다. 사후 문하시중에 추증되었고 조선 건국 후 아들 이성계에 의해 환왕(桓王)으로 추존되었다가 다시 환조 연무성환대왕(桓祖 淵武聖桓大王)으로 추존되었다. 생애 아버지 이춘(李椿)의 사후 형인 이자흥(李自興)마저 연이어 사망하자 어린 조카인 이교주(李咬住)를 대신하여 원..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