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동사강목

의자왕, 낙화암과 3천 궁녀, 마지막까지 군대를 보내어 싸우다. 의자왕, 낙화암과 3천 궁녀, 마지막까지 군대를 보내어 싸우다. 의자왕(義慈王, ? ~ 660년, 재위 : 641년 ~ 660년)은 백제의 마지막 국왕(혹은 31대 국왕)이다. 이름은 부여의자(扶餘義慈)며 망국의 군주이기 때문에 시호를 받지 못했다. 태자 시절부터 아우들과 우애가 깊고 사려가 깊어 중국의 사상가 증자에 견주어 해동증자(海東曾子)라 일컬어졌다. 말년의 실정으로 나·당연합군의 공격을 받음으로써 초대 온조왕으로 부터 이어진 백제는 멸망하고 의자왕을 비롯한 왕족들과 수많은 백성들이 낙양으로 끌려갔다. 즉위와 정변설(說) 무왕의 첫째 아들로 태어나 632년(무왕 33년) 정월에 왕태자로 책봉되었다. 641년에 아버지 무왕이 승하하자 그 뒤를 이었고, 당으로부터 주국(柱國) 대방군왕(帶方郡王) 백제.. 더보기
안정복,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 연구와 사료 연구, 후학 양성과 집필에 몰두하다. 안정복,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 연구와 사료 연구, 후학 양성과 집필에 몰두하다. 안정복(安鼎福, 1712년 ~ 1791년 7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 역사가, 수필가이다.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한산병은(漢山病隱)·우이자(虞夷子)·상헌(橡軒)이다. 성호 이익(李瀷)의 문인으로서 스승의 문하에서 나온 뒤에도 계속 이익과 연락을 주고받으며 그의 지도를 받았다. 《성호사설》을 해석, 일부 수정한 《성호사설유선》을 편찬하였다. 여러가지 지식을 담은 《잡동산이 雜同散異》는 잡동사니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실학자이자 역사가이지만 성리학자이기도 하여 1767년(영조 43년)에는 왕명으로 《주자대전》과 《주자어류》의 어려운 구문을 해석,..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