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의민

이의방, 이의민과 난을 일으켜 의종을 폐위시키다. 이의방, 이의민과 난을 일으켜 의종을 폐위시키다. 이의방(李義方, 1121년 ~ 1175년 1월 12일(1174년 음력 12월 18일))은 고려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며 무신정변의 주역 중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전주(全州)로, 대장군 이용부(李勇夫)와, 정승 이형(李珩)의 딸 이씨(李氏)의 차남이다. 태조의 6대조 백부이기도 하다 1170년 8월(고려 의종 23년) 정중부, 이고와 함께 무신정변을 일으켰고, 딸을 명종(明宗)의 태자인 강종비 사평왕후 이씨로 들였으나 그의 실각과 함께 폐출되었다. 이의방은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난 신라시대의 사도 이입전의 후손으로, 무인 이용부와 이형(李珩)의 딸 이씨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선조 이한이 태종무열왕의 후손인 김은의의 딸과 결혼 후, 전북.. 더보기
무신정권, 무신의 난, 정중부, 이의방이 난을 일으켜 의종을 폐위시키다. 무신정권, 무신의 난, 정중부, 이의방이 난을 일으켜 의종을 폐위시키다. 무신정권(武臣政權)은 의종 24년(1170)부터 원종 11년(1270)까지 100년간 무신들에 의해 수립된 정부를 말하며, 그 시기를 무인시대라 일컫기도 한다. 문치주의에 입각한 고려의 귀족정치는 무신의 사회적 몰락을 초래했다.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열세에 놓여 있던 무신들에 대한 천대는 의종 때 극에 달했다. 그 때문에 일찍이 최질(崔質)·김훈(金訓) 등의 무신이 주동이 되어 쿠데타를 일으킨 일까지 있었다. 생활상으로도 크게 곤란을 받던 무신들의 불만은 오병수박희(五兵手縛戱)를 계기로 폭발하였다. 무신의 난은 1170년 의종 24년에 정중부, 이의방, 이고등에 의하여 일어났다. 이 반란의 성공으로 무신들은 의종을 폐위시키고 명종을.. 더보기
이의민, 무신정권, 권력을 남용하다 처형되다. 고려사 이의민 이의민, 무신정권, 권력을 남용하다 처형되다. 이의민(李義旼, ? ~ 1196년 5월 7일 (음력 4월 8일))은 고려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자 무신정권의 지도자이다. 본관은 정선(旌善)이며 종교는 불교이다. 그는 본래 안남국 리 왕조의 후손으로 5대조 이양혼이 베트남에서 중국을 거쳐 고려로 망명하였다. 경대승이 갑작스럽게 죽자 집권하였다. 집권 이후 권력을 남용하다가 1196년 이른 봄 아들 이지영이 동부녹사 최충수의 비둘기를 빼앗은 사건으로 최충헌, 최충수 형 제의 정변에 휘말려 처형되었다. 경상도 경주 출신이다. 고려 명종 시기 1183년부터 1196년까지 왕 대신 실권을 잡았다. 출생과 가계 출생년도는 미상으로 경주의 소금장수 이선을 아버지로 영일현 옥령사의 여종을 어머니로 .. 더보기
최충헌, 무인 정치자로, 생전에 왕을 능가하는 권력을 누리다.(1) 최충헌, 무인 정치자로, 생전에 왕을 능가하는 권력을 누리다. 최충헌(崔忠獻, 1149년~1219년 10월 29일 (음력 9월 20일))은 고려 시대의 무신이자 군인, 정치가이다. 최씨 정권의 첫 번째 독재자이다. 본관은 우봉(牛峰)이며 초명은 최난(崔鸞)이고 시호는 경성(景成)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1196년부터 1219년까지 고려 왕조의 실권을 맡았다. 이의민을 제거하고 집권한 다섯번째 무인 집권자였으며, 무신 세습 정권을 구축하였다. 이후 경쟁자 두경승과 동생 최충수, 조카 박진재를 모두 제거한 뒤 일인 집권체제를 구축했고, 집권기간 중 국왕인 명종과 신종, 희종을 폐위시켰다. 1209년 학자 이규보를 발탁, 무신정권으로 피폐해진 문운(文運)을 재흥시키려고 힘썼는데, 청교역(靑郊驛)의 관리들의 자..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