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진골

김헌창의 난, 부친 김주원이 왕이 되지 못하자 반란을 일으키다. 김헌창의 난, 부친 김주원이 왕이 되지 못하자 반란을 일으키다. 김헌창의 난(金憲昌-亂, 822년)은 신라 제41대 헌덕왕 때 김헌창이 자기의 부친 김주원(周元)이 왕이 되지 못한 것에 원한을 갖고 일으킨 반란이다. 신라 말기는 정치적인 혼란기를 겪으며 왕위 쟁탈을 중심으로 음모, 반역, 골육상잔의 난이 그치지 아니하였다. 800년 제40대 애장왕이 즉위하자, 섭정이 되어 상대등에 오른 원성왕계 자손인 김언승(이후 41대 헌덕왕)은 세력을 쌓아 조카인 애장왕을 살해하고 809년 제41대 헌덕왕에 오른다. 이때 태종 무열왕계 자손으로 왕위 경쟁을 벌이던 김주원은 명주(강릉)로 물러나게 된다. 그러나 그의 아들 김헌창은 계속 중앙정계에 남아 807년에는 시중으로 임명되었고, 당시 상대등 김언승에 버금가는 권.. 더보기
김춘추, 태종 무열왕 삼국통일의 기틀을 다지다. 태종 무열왕릉 김춘추, 태종 무열왕 삼국통일의 기틀을 다지다.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4년 ~ 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 ~ 661년)이다. 무열왕(武烈王)으로 불리기도 한다. 성은 김(金), 휘는 춘추(春秋)이다. 진골(眞骨) 출신으로 이찬(伊飡)에 이르기도 했던 김용춘(金龍春)과 진평왕의 차녀 천명공주(天明公主)의 아들이다. 선덕(善德) · 진덕(眞德) 두 조정에 걸쳐 국정 전반, 특히 외교 문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특히 진덕여왕 때는 이찬(伊飡)에 이르게 되고 진덕여왕 사후 대리청정으로써 국인의 추대를 받은 알천의 사양으로 진골 출신 최초의 신라 국왕으로 즉위하였으며 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통일의 기틀을 다졌다. 그렇게 신라 중대왕실(中代王室)의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