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항쟁 썸네일형 리스트형 6월항쟁, 군사적 독재정치의 종식을 고하는 계기가 되다. 6월항쟁, 군사적 독재정치의 종식을 고하는 계기가 되다. 6월 항쟁(六月抗爭)은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독재, 민주화 운동이다. 6월 민주 항쟁, 6.10 민주 항쟁, 6월 민주화 운동, 6월 민중항쟁 등으로 불린다. 4·13 호헌 조치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리고 이한열이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사건 등이 도화선이 되어 6월 10일 이후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였고, 이에 6월 29일 노태우의 수습안 발표로 대통령 직선제로의 개헌이 이루어졌다. 이후 1987년 12월 16일 새 헌법에 따른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 6월 항쟁은 대한민국의 민주화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 운동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신군부 쿠데타 전후 197.. 더보기 부마민주항쟁, 유신체제의 종말을 앞당긴 계기가 되다. 부마민주항쟁, 유신체제의 종말을 앞당긴 계기가 되다. 부마민주항쟁(釜馬民主抗爭) 또는 부마민중항쟁(釜馬民衆抗爭)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0일까지 대한민국의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마산시(현 창원시)에서 유신 체제에 대항한 항쟁을 말한다. 10월 16일에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유신철폐"의 구호와 함께 민주화 시위를 시작했다. 다음 날인 17일부터 시민 계층으로 확산된 것을 시작으로 해서, 18일과 19일에는 마산 지역으로 민주화 시위가 확산됐다. 당시 박정희 유신 정권은 10월 18일 0시를 기해 부산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66명을 군사 재판에 회부했으며, 10월 20일 정오 마산 및 창원 일원에 위수령을 선포하고 군을 출동시킨 후 민간인 59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했다. 배경 1978년 12월.. 더보기 4·13 호헌 조치, 국민들의 실망과 분노로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지다. 4·13 호헌 조치, 국민들의 실망과 분노로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지다. 4·13 호헌 조치는 1987년 4월 13일 전두환 대한민국 대통령이 취한 조치이다. 일종의 특별 선언이기도 하다. 말 그대로 "현행 헌법을 유지한다"(보호한다, 수호한다, 지키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배경 1980년 무력으로 정권을 장악한 전두환 대통령은 제5공화국 헌법을 제정한 뒤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후 대통령의 임기 제한과 입법부의 권력 강화, 통금 해제 및 교복 자율화 등의 유화 조치를 취한다. 그리고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올림픽을 유치하여 국가적 자부심을 높이기도 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야당 탄압, 반체제 인사에 대한 인권 유린 등으로 국민들의 지탄을 받았다. 이 와중이던 1987년 박종철 고문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