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보기

헌강왕, 불교와 학문의 장려에 노력하다. 헌강왕, 불교와 학문의 장려에 노력하다. 헌강왕(憲康王, ? ~ 886년, 재위: 875년 ~ 886년)은 신라의 제49대 왕이다. 성은 김(金)씨이고 이름은 정(晸)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아버지는 신라 경문왕이고, 어머니는 문의왕후(文懿王后)이다. 875년부터 886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875년부터 879년까지 숙부 김위홍(金魏弘)이 섭정하였고 879년부터 886년 붕어할 때까지 친정을 하였다. 생애 당나라에 876년 7월에 사자를 보내고 공납을 행했다. 878년 4월에는 당 희종으로부터 〈사시절·개부동의삼사·검교태위·대도독·계림주제군사·신라왕(使侍節・開府儀同三司・検校太尉・大都督・雞林州諸軍事・新羅王)〉에 책봉 되었다. 동년 7월에 사자를 보내려고 했지만, 황소의 난이 일어난 것을 이유로 사자의.. 더보기
헌안왕 농업 진흥에 노력하다. 경문왕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설화의 주인공 헌안왕 농업 진흥에 노력하다. 경문왕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설화의 주인공 헌안왕 헌안왕(憲安王, ? ~ 861년 1월 29일, 재위: 857년 ~ 861년 1월 23일)은 신라의 제47대 왕이다. 성은 김(金)씨이고 이름은 의정(誼靖)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아버지는 김균정(金均貞, 후에 성덕대왕(成德大王)으로 추봉)이고, 어머니는 조명부인(照明夫人)이다. 신무왕 김우징(神武王 金祐徵)의 이복 동생이기도 하다. 생애 858년에는 4월의 늦서리, 5월부터 7월에 걸쳐 기후가 안좋아서 859년 봄에는 곡물의 가격이 상승해, 국민이 굶주리게 되었다. 구제를 하기 위해서 왕은 각지에 사자를 파견해, 곡물을 나누어 주었다. 동년 4월에는 제방의 수축을 행해 농업 진흥에 노력했다. 860년 9월, 군신과의 .. 더보기
신무왕 즉위한 지 181일 만에 사망하다. 문성왕 장보고가 반란을 일으키자 암살하다. 신무왕 즉위한 지 181일 만에 사망하다. 문성왕 장보고가 반란을 일으키자 암살하다. 신무왕(神武王, ? ~ 839년, 재위: 839년)은 신라 제45대 왕이다. 성은 김씨이고 이름은 우징(祐徵)이다. 아버지는 원성왕의 손자인 김균정(金均貞, 후에 성덕대왕(成德大王)으로 추봉)이고, 어머니는 진교부인(眞矯夫人, 후에 헌목태후(憲穆太后)로 추봉) 박씨(朴氏)이다. 즉위 전 흥덕왕의 3년(828년) 1월 대아찬(大阿飡)과 시중(侍中)에 발탁 되었지만, 831년 1월 수도 금성(金城, 경상북도 경주시)에 일어난 지진 때문에 시중이 면직되었다. 834년 1월에 다시 시중이 되었지만, 835년 2월에 아버지 김균정(金均貞)이 상대등(上大等)으로 취임하면서, 우징은 시중 직을 사임했다. 이 때에 후임 시중이 된 사.. 더보기
희강왕 신라의 제43대왕과 민애왕 신라의 제44대왕의 생애 희강왕 신라의 제43대왕과 민애왕 신라의 제44대왕의 생애 희강왕 희강왕(僖康王, ? ~ 838년, 재위: 836년 ~ 838년)은 신라의 제43대 왕이다. 성은 김씨이고 이름은 제륭(悌隆)이다. 아버지는 원성왕의 손자인 김헌정(金憲貞, 후에 익성대왕(翌成大王)으로 추봉)이고 어머니는 포도부인(包道夫人, 후에 순성태후(順成太后)로 추봉)이다. 즉위 전 원성왕의 증손으로 그의 둘째아들 혜충대왕에 추봉된 김예영의 손자이자 김헌정의 아들이다. 836년 흥덕왕(興德王)이 사망하자, 아찬 김우징(金祐徵)과 조카인 예징(禮徵), 김양(金陽)의 지지를 받는 숙부 김균정과 서로 왕위 계승을 놓고 시중 김명(金明), 아찬(阿飡) 이홍(利弘), 배훤백(裵萱伯)의 지지를 받는 제륭이 대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균정이 전사하고.. 더보기
흥덕왕, 귀족의 사치를 규탄하고 골품제도에 따라 신분의 구분을 엄히 하다. 흥덕왕, 귀족의 사치를 규탄하고 골품제도에 따라 신분의 구분을 엄히 하다. 흥덕왕(興德王, 777년 ~ 836년, 재위 : 826년 ~ 836년)은 신라의 제42대 왕이며, 초명은 수종(秀宗), 수승(秀升) 이고 즉위 후에 경휘(景徽)로 개명하였다. 아버지는 원성왕의 장남인 혜충태자(惠忠太子)이며, 어머니는 성목태후 김씨(聖穆太后 金氏)이다. 소성왕과 헌덕왕의 친동생이다. 왕비는 소성왕의 딸 장화부인(章和夫人, 정목왕후로 추존)이다. 헌덕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청해진(淸海鎭)과 당성진(唐城鎭)을 설치하여 해적의 침탈을 막고 안으로는 백성들의 사치를 법으로 규제하였다. 즉위 809년 동복 형 헌덕왕과 함께 정변을 일으켜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헌덕왕을 지지하여 이찬이 되었고, 819년 2월 또 다.. 더보기
무다구치 렌야, 버마 전선에서 무리한 임팔 작전을 강행하여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하다. 무타구치 렌야, 버마 전선에서 무리한 임팔 작전을 강행하여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하다. 무타구치 렌야 (일본어: 牟田口 廉也 (むたぐち れんや), 1888년 10월 7일 ~ 1966년 8월 2일)은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한 일본의 육군 군인이다. 그는 1944년 버마 전선에서 무리한 임팔 작전을 강행하여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해 유명해졌다. 사가 현 출신으로, 1910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17년 고급 참모과정인 육군대학교를 졸업하였다. 그는 일본이 러시아 혁명에 간섭한 시베리아 출병에 참전하였고, 이후 프랑스에 주재무관으로 파견되었다. 소좌시절에는 캄차카 반도에 잠입하여 홀로 종단하여 정탐활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이후 일본에 돌아와 참모본부에서 일하다가 1936년 중국에 파견되어 베이징에 주둔중인 .. 더보기
관우, 충성심과 의리, 당당한 성품으로 동아시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장수 관우, 충성심과 의리, 당당한 성품으로 동아시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장수 관우(? ~ 219년 음력 12월)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운장(雲長)이며 사례(司隷) 하동군(河東郡) 해현(解縣) 사람이다. 의제 장비(張飛)와 더불어 유비(劉備)를 오랫동안 섬기며 촉한(蜀漢) 건국에 지대한 공로를 세웠다. 충성심과 의리, 당당한 성품으로 인해 동아시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장수로 손꼽히며, 한대(漢代) 이후로 남송(南宋)의 악비(岳飛)가 등장하기 이전까지 각 중국 사서(史書)에 등장하는 후세사람들은 '용맹한 자' 에 대해 이야기할 때 '반드시' 관우(關羽), 장비(張飛)의 경우를 들어 말하였다고 한다. 의리(義理)의 화신(化身)으로 중국의 민담(民譚)이나 민간전승(民間傳承), 민간전설(民間傳說)에서 널.. 더보기
유비, 현덕 말수가 적었으며 늘 남을 공손히 대하고 감정을 드러내지 않다. 유비, 현덕 말수가 적었으며 늘 남을 공손히 대하고 감정을 드러내지 않다. 한 소열황제 유비(漢 昭烈皇帝 劉備, 161년 음력 6월 7일 ~ 223년 음력 4월 24일, 양력 6월 10일)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초대 황제(재위: 221년 음력 4월 6일 ~ 223년 음력 4월 24일)이다. 자는 현덕(玄德)이다. 유비가 황제로 즉위하기 전에는 한나라의 황실 성씨였으므로 유황숙(劉皇叔)이라고도 불렸다. 아버지를 일찍 여읜 유비는 어머니와 돗자리를 짜고 팔아 연명하였는데, 청년 후반대 시절 황건적의 난이 일어났을때 분연히 들고 일어나 동리에서 의병을 모집하였으니, 이것이 그의 파란만장한 격동 후반생의 시작이었다. 유비의 생애 유비는 탁군 탁현(지금의 허베이 성 바오딩 시 줘저우 시)이 고향인 사람으로,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