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기

도요토미 히데요시, 임진왜란에 반대한 다이묘들

반응형

 

 

도요토미 히데요시, 임진왜란에 반대한 다이묘들

 

도요토미/도요토미노/하시바 히데요시(豊臣/羽柴秀吉 (とよとみ/とよとみ の/はしば ひでよし), 1537년 3월 17일 ~ 1598년 9월 18일)는

 

센고쿠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정치가이며 다이묘이다. 오다 노부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함께 전국 3영걸로 불린다. 또한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그는 도요토미라는 성을 하사받기 이전에 하시바 히데요시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 자신의 가신(家臣)이기도 했던 일본의 무장 가토 기요마사의 어머니 이토는 히데요시의 6촌 여동생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오와리 국(尾張国) 아이치 군(愛知郡) 나카무라(中村)에서 빈농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를 섬겼으며 오다 가문 안에서 점차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오다 노부나가혼노지의 변(本能寺の変)으로 죽자 주고쿠에서 대군을 이끌고 교토로 돌아와 야마자키 전투(山崎の戦い)에서 역신 아케치 미쓰히데(明智光秀)를 격파하고, 오다 노부나가를 대신해 그의 사업을 계승하였다. 그 후, 오사카 성(大坂城)을 쌓았으며 관백(関白), 태정대신(太政大臣)에 임명되었다.

또, 조정으로부터 도요토미(豊臣)라는 성을 하사받아 일본 전국을 통일하는 데 이바지 하였다. 태합검지(太閤検地)와 가타나가리(刀狩)라는 정책을 펴 일본 국내를 안정시켰지만, 조선 침략 전쟁인 임진왜란을 일으키는 과오도 범했다. 임진왜란 중 조카인 관백 히데쓰구를 죽여 후계를 아들 히데요리(秀頼)에게 주었지만, 얼마 안 있어 죽음을 맞이한다. 이후 히데요리의 보좌는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를 필두로 한 고다이로(五大老)에게 위임하였다.

스노마타 성(墨俣城), 이시가키 산성(石垣山城)을 하룻밤에 완성했다는 이야기와, 가나가사키(金ヶ崎)에서의 퇴각에 있어 후위부대를 맡은 일, 다카마쓰 성 수공(高松城の水攻め) 등 그의 재능을 살린 많은 이야기가 전해져오고 있고, 농민 출신에서 천하인의 자리에까지 오른 그의 생애는〈센고쿠 시대 제일의 출세가〉라는 정평이 나있다.

 

임진· 정유왜란

분로쿠·게이초의 역(文禄·慶長の役)라고도 하는 임진·정유왜란분로쿠 원년(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주도하에 일본이 명나라의 정복과 조선의 복속을 목표로 16만의 군으로 한반도 남부에 침투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조선군을 격파하고 파죽지세로 한성, 평양을 점령하는 등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였지만,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과 명의 원군, 그리고 이순신 의 조선수군으로 인해 전황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분로쿠 2년(1593년) 명과의 강화 교섭이 시작된다.

 

임진왜란의 원인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킨 이유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이 있다.

 

유력 다이묘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자신의 공명심과 영웅 심리에서 기인했다는 설.

뒤늦게 얻은 아들 쓰루마쓰가 죽은 비통함에 전쟁을 일으켰다는 설.

해외무역 장악을 위해 전쟁을 일으켰다는 설.

주군이었던 오다 노부나가의 대륙 진출 계획에 영향을 받아, 통일 이후 그것을 실현시켰다는 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야욕을 이루기 위해서였다는 설. 그래서 강화조건에 명나라 후비를 일본에 바치라는 것과 조선팔도의 절반을 내놓으라고 했다.

선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가신이 없고 막부를 세워 쇼군의 권위로 통치하는 것도 불가능하자 도요토미 정권의 불투명한 영속성 개선 즉, 영지하사를 통한 정권안정을 확보하려고 전쟁을 일으켰다는 설

일본 내부 갈등을 밖으로 돌리기 위했다는 설

 

일본 내에서 최고의 세력을 장악한다 할지라도 세력가는 결국 천황의 신하에 불과하다. 다만 그 세력가가 막부를 세운다면 천황의 명령을 수행하기 보다는 천황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독자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된다. 이는 12세기 겐페이 전쟁에서 승리한 겐지(源氏)에게 주어진 특권이었다. 다시 말해 겐지의 피를 이어 받은 자만이 쇼군의 지위에 올라 막부를 세울 자격이 있다는 게 상례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겐지는커녕 천출(무사 집안 출신이 아님)인 까닭에 상례적으로 쇼군이 될 수 없었다. 그가 쇼군 자리에 오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과거 자신들의 영토를 회복하고 그를 방해하는 오랑캐를 물리쳐 승전군이 되어 천황에게 다시 대장군의 칭호를 받아 막부를 구성하는 것뿐이었다. 이를 위해 과거 영토라고 주장하는 미나미(임나)에 해당하는 조선 남부를 회복(히데요시의 관점)하고 이에 반대하는 명나라 군대를 섬멸하는 것만이 막부를 구성하고 쇼군이 될 명분을 얻는 유일한 길이었다. 또한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영지들을 무사들에게 하사함으로써 천출인 까닭에 늘 불안했던 가신관계를 굳건히 만들고자 했다. 그것을 위해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7년 전쟁)을 시작하게 되었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임진왜란에 반대한 다이묘들

도쿠가와 이에야스, 소 요시토시, 고니시 유키나가, 다테 마사무네, 시마즈 요시히로 등의 상당수의 다이묘들이 조선으로 군사를 내는 것에 반대 하였으나, 히데요시는 여러 다이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출진을 강행했다. 이에야스는 풍토병과 황무지 개간 및 지배 지역의 치안 문제 등, 갖은 변명을 둘러대며 기어이 불참하였고, 자신의 군대를 온전히 보존시켰다. 사실 히데요시가 이에야스에게만은 임진왜란 출전을 강요할 수 없었던 까닭은 그가 자신과 맞상대가 가능한 세력이란 걸 의식했기 때문이다. 또 히데요시가 조선에 직접 출병하지 못하고 자기 수하만 보낸 까닭도 여기에 있다. 비록 일본 제일의 실력자가 되었다고는 하나 히데요시 자신이 자리를 비운다면 일본 국내 정세가 어떻게 돌아갈지 스스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임진왜란 중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작전의 의도

히데요시는 일찍이 고니시 유키나가와 가토 기요마사가 종교간의 문제(유키나가는 로마 가톨릭, 기요마사는 불교), 성격적 문제(유키나가는 온건파, 기요마사는 급진파) 등 여러가지 문제로 인하여 앙숙이라는 사실을 간파했기 때문에 오히려 그 둘을 임진왜란의 선봉장으로 삼았다. 그 이유인 즉 유키나가와 기요마사로 하여금 서로 경쟁하게 하여 최대한 빨리 조선을 점령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수군과 조선각지에서 일어난 의병들의 활약으로 조선을 침략한 일본군들은 장기전에 돌입해야했다. 이순신은 남해의 재해권을 확보하면서 일본에서 조선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군에 군수물자 공급을 차단시켰고, 이것은 함경도까지 진출했던 기요마사와 평양성에 주둔해있던 유키나가가 남쪽으로 서둘러 후퇴하게 만드는 큰 원인이 되었다.

 

군사력 증강

히데요시는 전투 부대의 병종을 기병과 보병 두 가지로 대별하고 사무라이대장(侍大將)의 지휘 하에 기병, 총병, 궁병, 창검병 등의 단위대를 편성한 후에 각조 지휘관으로서 기사와 보사를 두었다. 이렇게 변모된 군사력을 배경으로 하여 1586년 무렵에 대규모 건조 계획을 추진하기 시작하여 조선 침공 직전에 전함 천여 척을 이미 확보한 데에 이어서 종전 무렵에는 3천여 척이나 되는 대규모 선단을 보유할 수가 있었고 조선을 침공하기 직전인 1591년에는 사이카이도, 난카이도, 산요도, 산인도, 기나이와 그 동방 일부 지역에 동원령을 내려서 병력 33만을 동원할 준비하였다.

1586년 히데요시는 일본 수군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럽의 범선카락갤리온 구입을 시도했었는데 포르투갈인의 거절로 구입에는 실패했다 .대신 당시 일본에 진출한 로마 가톨릭교회 예수회를 통해 포르투갈 군함의 지원을 요청하고 승낙까지 받았으나 예수회와 관계가 악화되며 바테렌 추방령을 내리며 무산된다.

 

정유재란

분로쿠 5년(1596년) 계속되어 왔던 명과의 강화 교섭이 결렬되어, 게이초 2년(1597년) 14만의 군으로 조선을 재침략하였다. 칠천량해전을 시작으로 2개월 동안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를 석권하고, 경기도로 나간 후, 조선 남해안에 왜성을 축조하여 장기 점령을 꾀한다. 이 후, 울산성 전투에서 고전한 후, 전선을 축소하려는 무단파와 문치파간의 대립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 팔도 중에 남부의 4개도를 일본에 할양할 것, 명나라 황녀를 일본 덴노와 혼례시킬 것 등의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만큼 무리한 요구를 한 탓에 강화가 결렬되었다. 문제는 중간에서 외교를 담당하던 심유경이 명나라에 거짓으로 보고를 했기 때문에 도요토미의 분노가 극대화되어 결국 전쟁으로 이어졌다는 견해도 있다.

 

죽음

게이초 3년(1598년) 음력 8월 18일 고다이로 필두 도쿠가와 이에야스도요토미 히데요리의 보호역을 맡은 마에다 도시이에에게 후사를 부탁하고 후시미 성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위암, 독살 등 여러 설이 있다. 향년 62세. 그날 안으로 히데요시는 아미다 산에 매장되었다. 히데요시의 묘는 화려하게 조성되었지만, 병력의 사기 문제에 미쳐가는 조선에 출병되어 있는 왜군들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을 알아서는 안되기 때문에 장례는 치러지지 않았으며 그의 죽음을 비밀로 하였다. 그러나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무덤은 폭파되어 소멸되고 만다. 이는 조선과의 외교관계 회복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 임진왜란의 원인이 된 장본인의 무덤을 처단함으로써 조선에 임진왜란이 히데요시의 강요에 의한 어쩔 수 없는 전쟁이었음을 보여야만 했기 때문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유일한 아들이었던 도요토미 히데요리 마저 후사가 없는 상태에서 1615년 도쿠가와 가문의 습격을 받아 어머니 요도도노와 오사카 성에서 자결하는 바람에 도요토미 가문은 2대로 끊어지고 말았다.

 

임진왜란의 종료와 그 결과

이 후, 조선의 일본군은 철수하였고, 노량 해전을 마지막으로 7년간 끌어오던 전쟁은 끝이 난다.

전쟁을 통해 도공을 납치 및 활자를 포함 많은 문화재의 약탈로 도자 문화나 인쇄기술의 발전을 꾀한 반면, 전쟁기간 동안에 일어난 문치파와 무단파간의 갈등 및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대두로 도요토미 정권은 막을 내리고, 도쿠가와 정권의 에도 시대가 도래하는 계기가 되었다. 반면 에도시대가 도래한 것과 병자호란이 겹쳐 조선과 일본의 관계는 급격하게 호전되기도 했다.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 국토가 황폐화 되어 재건에 박차를 가해야 했고 이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 광해군 집권기에는 명과 후금 중에 조선에 유리한 외교정책을 펴서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조율했으나, 명의 은혜를 저버리면 안된다는 명분하에 인조반정이 일어난다. 인조반정 때문에 외교를 조율할 광해군이 없어진 조선은 후금과의 갈등이 극대화되었고, 때마침 명나라마저 멸망하여 곧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명에서는 임진왜란으로 인해 국방력이 약화되었고, 후금이 대두되어 왕조가 교체되었다. 한편 도요토미 정권 역시 내전으로 붕괴하고 에도시대가 도래한 것과 이로 인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적극적으로 조선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인물평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내정보다는 전쟁에 어울리는 리더라는 견해가 있다. 특히 임진왜란과 관련하여 장기적으로 부하들을 응집시키는 데에 실패한 히데요시는 결국 그 특유의 전투 지휘관 기질을 발휘하는 쪽으로 정치노선을 변경했고, 이를 위해 임진왜란을 일으킨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내정과 관련하여,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가타나가리태합검지를 통해 병농분리와 노동력의 생산력 향상에 힘썼으며, 이 정책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도 막부의 정책으로 계승되기도 하였다.

《간양록》에 따르면, 히데요시는 일본을 찾아온 조선의 사신에게 회답 서신을 만들게 하면서 군사를 일으킬 것이라는 말을 분명히 적게 했다고 한다. 휘하 가신들이 "일단 좋은 말로 회답 서신을 만들어 보내고 나서 갑자기 쳐들어가야 합니다."라고 간하자 히데요시는 "그러면 자고 있는 사람의 목을 치는 것과 뭐가 달라? 지금 솔직하게 써서 보내고, 그래서 상대방이 미리 준비하게 해준 다음에 승부를 내야지."라고 대답하며 듣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명나라 사람으로 사쓰마 국을 오가면서 약 장사를 하던 허의후(許宜後)가 일본의 사정을 상세하게 적은 기밀봉사(機密封事)를 명나라 조정에 보고하려다, 이웃에 사는 명나라 사람에게 고발당했다. 잡아들인 허의후를 좌우에서 모두 삶아 죽이자고 했지만, 히데요시는 "저 놈은 명나라 사람이야. 제 조국인 명나라를 위해 적국인 우리의 일을 알려주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 게다가 나는 남이 생각지도 않는 틈을 노리는 건 싫어. 명나라가 미리 준비하게 하면 좀 어떤가? 그리고 예로부터 제왕(帝王)은 다 초야(草野)에서 일어났어. 명나라에, 난 원래는 천한 사람이었소 하고 알리는 것도 해로운 일은 아니야." 하고서, 거꾸로 허의후를 밀고한 사람에게 "네놈도 명나라 사람이면서 같은 명나라 사람을 밀고하다니, 너야말로 추악한 놈이야!"라 욕했다. 그리고 허의후는 끝내 죄를 묻지 않았다고 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문맹이었고 이 때문에 사이쇼 조타이가 히데요시에게 글을 읽어주는 역할을 전담했다.

 

신체적 특징

그는 체격이 왜소하며 추남인 데다가 손가락이 6개인 다지증이였다고 한다. 다지증에 관련된 유일한 기록은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의 '일본사'(Historia de Iapam)뿐이다.

 

☞ 연관글

[역사보기] - 정한론, 일본 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서 자주 지적되다.

[역사보기] - 정유재란,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침공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