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륜, 이방원의 장자방,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변통과 권모술수도 불사하다.
하륜(河崙, 1348년 1월 22일(1347년 음력 12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음력 11월 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대림(大臨) 또는 중림(仲臨), 호는 호정(浩亭)이다.
아버지는 부사 하윤린(河允麟)이며, 권문세족인 이인임의 조카 사위이다. 이인복, 이색의 문인이다. 고려 말 정몽주, 남은, 권근 등과 함께 신진사대부를 형성했고, 처음에는 역성혁명에 반대하다가 1392년 이성계의 조선 건국에 참여했다. 정도전과 함께 한양 천도를 적극 주장했고, 1393년 정도전이 쓴 표전문이 불손하다는 이유로 홍무제가 문책하자 직접 명나라에 가서 사태를 해결하였다. 1398년 충청도 도관찰사로서 제1차 왕자의 난 당시 정안대군 이방원을 도왔다. 1400년(정종 2) 제2차 왕자의 난 당시에도 이방원을 도왔다. 태종 즉위 후 좌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1416년 관직에서 은퇴 후 객사하였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1392년(고려 공양왕 4년) 7월초 고려가 멸망하자 관직을 사퇴하고 낙향했다. 그러나 1392년(조선 태조 1년) 7월 이성계가 즉위한 뒤 경기좌우도관찰사(京畿左右道觀察使)로 기용되어 관직에 나갔다. 이때 경기도의 부역제도를 개편, 전국적으로 실시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1393년(태조 2) 경기도도관찰사로 기용되었을 때 수도 천도 논의가 나오자, 정도전과 함께 계룡산 건도역사(建都役事)의 부당함을 역설하여 마침내 중지케 했다. 이어 정도전과 함께 한양 천도를 적극 주장하였다.
1393년(태조 2년) 무악으로의 천도를 강력 주장하였지만 실현되지 못했고 1394년(태조 3) 중추원첨서사(中樞院簽書事)에 전보되었다. 그는 관료생활 중에도 퇴청 후 틈틈이 문인들을 길러냈는데 그의 문인 중에선 세종 때의 명재상 중 한 사람인 윤회 등이 배출되기도 했다. 1395년 부친상을 당하여 사직하였다. 그러나 특별히 3년상을 마치지 못했으나 곧 기복(起復)되어 복직했다.
정도전과의 갈등
1396년 첨서중추원사(簽書中樞院事)로 복직했다가 예문춘추관학사로 있을 때 당시 명나라 홍무제가 표사(表辭)와 표전물이 불손하다는 이유로 시비가 일어나 표사 글을 지은 정도전을 소환하자, 그는 명나라의 요구대로 정도전을 보내자고 주장하고, 스스로 명나라에 들어가 정도전을 대신하여 해명하였다. 그러나 정도전은 명나라에 가기를 거부했고, 결국 그는 표전문 작성에 연루된 권근, 정탁, 노인도(盧仁度) 등을 데리고 갔다. 홍무제가 정도전이 오지 않은 이유를 추궁하자 그는 '정도전이 당시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서 올수 없다'며 해명하였다.
그러나 이때 데려갔던 권근, 노인도, 정탁은 억류되고 그 혼자 돌아왔다. 1396년(태조 5) 한성부윤으로 계품사(計稟使)가 되어 명나라에 가서 표전문 작성의 전말을 상세히 보고함으로써 홍무제의 오해를 풀어 해명에 성공했다. 그 후에도 명나라에 자주 왕래하여 외교에 공이 컸다.
그러나 표전문 문제가 제기될 때 명나라의 요구대로 정도전을 보내자고 했다가 정도전의 미움을 받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좌천되었는데, 그 때 항왜(降倭)를 도망치게 했다 하여 정도전파 사람의 탄핵을 받고 파면, 수원부에 안치되었다가 얼마 뒤 복직, 충청도 도순찰사가 되었다.
이방원의 측근
사람의 관상을 잘 보던 하륜은 처음에 정안대군 이방원을 보고서 장차 크게 될 인물인 것을 알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정안대군의 장인 민제를 만나서 간청하기를 '내가 사람의 관상을 많이 보았으나 공의 둘째 사위만한 인물을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한번 그를 만나보기를 원합니다.'고 했다. 민제는 사위 이방원에게 하륜이 꼭 한번 보려 하니 한번 그를 만나보도록 하라며 만남을 주선해 주었다. 그의 부탁으로 민제를 통해 정안대군을 만나게 됐고 이후 그의 심복이 되었다.
당시 여러 왕자 가운데 공을 세웠다고 자부했고 야망이 크고, 머리가 뛰어났던 이방원은 왕위에 오르고자 하는 야심을 품고 있었다. 하륜은 정안대군의 야심을 간파했고 그의 측근이 되었다.
이후 하륜은 제1차 왕자의 난과 제2차 왕자의 난 당시 이방원의 최측근으로 활동했다. 하륜은 두 차례 왕자의 난을 실질적으로 계획하고 지휘했다. 제1차 왕자의 난 당시 정도전이 남은의 첩의 집에서 술을 마신다는 정보를 입수, 정도전과 남은, 심효생 등을 불시에 습격하여 죽이고, 세자 이방석과 이방번을 제거했다.
1차, 2차 왕자의 난
1398년(태조 7년)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충청도 도관찰사로서 충청도 병력을 이끌고 한성부에 이르러 이방원을 도와 의안대군, 무안대군 형제를 제거하고, 정도전 일파를 숙청하는 데 공을 세웠다. 태조가 양위하고 정종이 즉위하자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태종)을 도운 공로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이 되어 정사공신 1등에 오르고 진산군(晉山君)에 피봉되었으며 1399년 우정승(右政丞)이 되었다. 그해 5월 명나라 홍무제가 죽자 홍무제의 국상에 진위 겸 진향사(陳慰兼進香使)로 가서 조문하는 한편 정종의 왕위승습(王位承襲)을 승인받고 귀국하였고, 문하부참찬사에 오르고 다시 문하찬성사 의흥삼군부 판사(義興三軍府判事)겸 판상서사사를 거쳐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으로 승진, 진산백(晉山伯)에 진봉되었다.
1400년(정종 2)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도 이방원을 도왔고, 이방원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그의 최측근이자 권력의 실세가 되었다. 제2차 왕자의 난 당시 그는 박포 일당의 거병 계획을 미리 파악한 뒤 선수를 쳐서 회안대군 이방간, 맹종 부자와 박포를 체포, 박포 일파를 죽이고 회안대군 부자를 유배시켰다.
정안대군의 측근
세자가 된 정안대군은 아버지 태조 이성계를 찾아가 인정받으려 했고, 무학대사 등의 간곡한 건의로 제1차, 제2차 왕자의 난 이후 함흥에 가서 머물던 태조 이성계는 한성부로 돌아오게 되었다. 태조가 한성으로 환궁하던 날 정안대군은 살꽂이 다리까지 마중을 나가서 부왕을 맞이했다. 하륜은 정안대군을 말렸으나 듣지 않았고, 하륜은 정안대군에게 '태상왕(太上王, 태조 이성계)의 노기가 아직 풀리지 아니했을 터이니, 막사 차일(遮日, 천막)의 중간 기둥을 굵은 나무이되 수령이 오래되고 조밀한 나무로 만들라'고 건의하였다.
정안대군은 하륜의 말대로 아름드리 큰 나무를 준비하여 차일의 대들보를 세웠다. 환궁한 태조 이성계가 아들 정안대군을 보자마자 노기충천하여 활을 잡고 마중 나오는 정안대군을 향하여 화살을 쏘았다. 나오던 정안대군은 황급히 천막의 대들보 뒤로 몸을 피하여 그 위기를 모면하였고 날아온 화살은 차일의 기둥에 꽂혔다. 이는 후에 '살꽂이'라는 이름,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정안대군이 아버지 태조의 환영연회에 참석할 때에도 대신 내관에게 곤룡포를 입혀 보내라고 진언하였다. 정종 내외가 술잔을 올린 뒤 정안대군의 세자 곤룡포를 입은 내관이 태조에게 술을 따라 올릴 때 태조는 뒤에 숨겨둔 철퇴를 내리쳤고 내관은 그자리에서 즉사하였다. 이후 태조는 '모두가 하늘의 뜻이다'하고 단념했다 한다.
체제 개혁과 제도 개편
1400년 정안대군이 태종으로 즉위하자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 좌명공신 1등(佐命功臣 一等)에 책록되었다. 그는 태종에게 스스로 창업과 수성의 방책으로 '변통'(變通)을 제시하였다. 그에 의하면 학문은 하나의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고, 그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은 변화하는 현실에 맞추어 그때그때 달라져야 한다고 보았다. 1401년(태종 1년) 관직을 사임했다. 다시 복귀, 영삼사사(領三司事)로서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과거 시험을 주관하고, 관제를 개혁하였다. 그리고 영사평부사 겸 판호조사(領司評府事兼判戶曹事)로서 저화(楮貨)의 유통을 건의하였다.
태종 즉위 직후 그는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정치제도를 개편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6조 직계제(六曹直啓制)를 도입하여 각 판서들의 권한을 강화하고 왕에게 업무를 직접 보고할 것을 주청하여 성사시켰으며, 재상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였다. 시장에서의 화폐유통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저화를 발행하게 하고 재정의 확충을 도모하였다.
또한 좌주문생제의 혁파나 호패법의 실시, 신문고의 설치 등을 성사시켰다. 한편 하륜 자신이 지지한 정책의 방향과는 달리 태종이나 다른 주변 인물들과의 사적 관계에 의해 행동하는 경우가 많아서 인사 청탁을 많이 받는다거나 정책을 공론화하기보다는 태종과의 밀담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비판을 샀다.
1401년(태종 1년) 자신의 문하생인 윤회가 과거에 급제했다. 하륜은 학문에 뛰어나면서도 호탕한 성품이었던 윤회를 적극적으로 후원하였다.
외교 활동, 역사서 편수
1402년(태종 2년)에 문하좌정승(左政丞)이 되었고 판승추부사를 겸임, 바로 의정부좌정승 판이조사 (議政府左政丞判吏曹事)로서 명나라 영락제의 즉위를 축하하는 등극사(登極使)로 가서 조선 왕조의 정식 승인을 표하는 고명인장(誥命印章)과 태종의 책봉 고명을 받아왔으며, 이첨과 함께 《동국사략》(東國史略)을 편수하였다. 그는 사서에도 관심을 갖고 삼국사략 등을 지었으며, 동국사략 등의 편찬에 적극 참여하고, 역사서도 편수하였다. 그러나 그의 저서들 중 상당수는 임진왜란과 병자, 정묘호란 등을 거치면서 대부분 인멸되었다.
명나라와의 외교관계를 회복하고 더욱 돈독하게 하기 위해 하륜은 계속 사신으로 남경을 다녀오는 등 명과의 관계를 다지는 데에 주력했다. 그의 사대는 단순히 명의 정통성을 인정한다는 명분적인 측면이 아니라 안보라는 실질적인 이유를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또한 그는 고려가 원의 부마국이 된 것을 현명한 처사였다고 평하며 명과의 국혼을 지지 하여 국혼을 적극 주장하였으나, 태종이 이를 적극 거부하여 성사되지 못했다. 1402년 권근, 이첨과 함께 《삼국사략》(三國史略)을 편찬하였으며, 1405년에는 좌정승 세자사(世子師)가 되고, 1406년 중시독권관(重試讀券官)이 되어 변계량 등 10인을 뽑았다. 1409년(태종 9년)에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이 되었다. 1409년 영의정부사로 군정을 개정했고, 영춘추관사로 《태조실록》의 편찬을 지휘했다.
은퇴와 최후
그는 태종의 최측근 인사이자 책사의 한사람으로, 사사로운 인사 청탁을 많이 받고 통진 고양포(高陽浦)의 간척지 200여 섬 지기를 개인 농장으로 착복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았으나 공신이라 하여 용서되었다. 1412년 다시 좌의정부사가 되었다가 1414년(태종 14) 영의정부사에 재임명되었다.
1416년(태종 16년) 노환을 이유로 치사(致仕)하였다. 치사를 청하자 태종은 극구 만류하며 허락하지 않았으나, 고집을 꺾지 않고 나이가 많고 병이 들었음을 이유로 거듭 치사를 청하여 허락받고 물러났다. 태종은 친히 교서를 써서 진주의 전세 100결을 하사하였다. 그러나 하륜은 성상께서 주신 것을 어찌 감히 사사로이 쓸 수 있겠는가 하며 따로 향사당(鄕射堂)을 지어 교서를 모셔두고 전세는 동리 노인들을 위해 쓰게 하였다. 이때 향사당에는 태종이 직접 친필로 벽오당(碧梧堂)이라는 현판을 써서 내려주었다.
바로 진산부원군에 임명되어 왕명을 받아 목조, 익조, 도조, 환조의 능침을 순찰하기 위하여 함길도에 가서 봉심하고 그해 11월 6일 한성으로 되돌아오던 도중에 정평군 관아에서 죽었다. 저서에 《호정집》(浩亭集), 《삼국사략》등이 있고, 가사인 도인송도지곡, 수명명 등이 있다. 작품으로는 스승 이색의 묘지명 등이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사후
하륜은 사후 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태종은 그를 자신의 장자방이라 했으며, 후대에 하륜은 한나라의 장자방, 송나라의 치규(稚圭)에 흔히 비유되었다. 그러나 자신의 이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변통도 가능하며 때에 따라서는 변절이나 권모술수로 보일 수 있는 수단까지도 불사하여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하륜의 문인인 윤회가 쓴 졸기나 행장에는 우왕 말년부터 공양왕 시절 무렵의 부정적인 행적들은 대부분 생략하기도 했다.
하륜의 묘는 진양군(현 진주시) 미천면의 오방동(현, 경상남도 진주시 미천면 오방리 산 166)에 위치하며, 진주성 내 영남포정사 왼편으로 1970년대 세운 출생지비가 있다. 그의 묘소 주변에는 할아버지 하시원, 할머니 진주정씨, 아버지 하윤린, 어머니 진주강씨의 묘가 함께 소재해 있으며 이들 묘역은 1977년 12월 28일 경상남도기념물 제41로 지정되었다.
함양 경충재, 함양 부조묘 등에 제향되었다. 함양군 병곡면 도천리에 있는 사당 경충재는 후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86호로 지정되었다. 불천지위의 은전을 받았으며, 경상남도 함양군에는 그의 부조묘가 세워졌다. 경상남도 함양군 병곡면 도천리 441번지에 있는 하륜의 부조묘는 2004년7월 1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56호로 지정되었다.
☞ 연관글
[역사보기] - 정도전, 역성혁명으로 민본정치를 꿈꾸다.(2)
[역사보기] - 제1차 왕자의 난, 무인정사, 이복형제 간의 왕위 쟁탈을 위한 골육상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