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만적의 난

최충헌, 무인정권을 출범하여 왕을 능가하는 권력을 누리다.(2) 최충헌, 무인정권을 출범하여 왕을 능가하는 권력을 누리다.(2) 반란 진압과 집권 강화 1198년(신종 1) 5월, 자신의 가노인 만적이 연복, 성복, 소삼, 효삼, 미조이 등과 함께 개경 북산에서 나무를 하다가 왕후장상(王侯將相)의 씨는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며 그들과 반란을 모의하였다. 그러나 거사일에 흥국사에 모인 노비는 수백 명밖에 되지 않았다. 어쩔 수 없이 만적이 거사일을 연기하자, 율학박사 한충유의 종 순정이 주인에게 거사 계획을 누설하고,다시 한충유가 자신에게 밀고하면서 만적 등 100여 명을 붙잡아 강에 던져 죽였다. 이후 최충헌은 한충유에게 합문지후의 벼슬을 내렸고, 순정의 공로도 인정하여 그에게 백금 80냥을 주고 그를 면천시켰다. 1199년 병부상서(兵部尙書)와 이부지사(吏部知事)를.. 더보기
무신정권의 사회, 토지 질서의 붕괴로 농민들의 삶을 위협하다. 무신정권의 사회, 토지 질서의 붕괴로 농민들의 삶을 위협하다. 무신정변은 문벌과 문신들의 주도와 무신에 대한 차별에 반기를 든 정변으로, 무신들이 근본적인 사회개혁을 추구한 것은 니었다. 그러나 무신정변 이전부터 고려사회는 상층으로부터 하층사회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변화하고 있었으며, 무신정변 이후에는 그 변화가 더욱 현저해졌다. 무신들의 집권이 확고해지자, 무신과 문신간에 공존을 위한 타협이 진행되면서 통혼이 이루어졌다. 특히 집권 무신세력들과 기존의 문벌들 사이에서 적극적으로 통혼이 추진되었다. 이는 집권 무신세력들로서 문벌층의 권위를 끌어들이는 것이었고, 문벌층으로서도 집권세력과의 연결을 통해 자신들의 지위를 유지해나가는 길이었다. 이로써 지배층의 상층부는 집권 무신세력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문벌층이 .. 더보기
최충헌, 무인 정치자로, 생전에 왕을 능가하는 권력을 누리다.(1) 최충헌, 무인 정치자로, 생전에 왕을 능가하는 권력을 누리다. 최충헌(崔忠獻, 1149년~1219년 10월 29일 (음력 9월 20일))은 고려 시대의 무신이자 군인, 정치가이다. 최씨 정권의 첫 번째 독재자이다. 본관은 우봉(牛峰)이며 초명은 최난(崔鸞)이고 시호는 경성(景成)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1196년부터 1219년까지 고려 왕조의 실권을 맡았다. 이의민을 제거하고 집권한 다섯번째 무인 집권자였으며, 무신 세습 정권을 구축하였다. 이후 경쟁자 두경승과 동생 최충수, 조카 박진재를 모두 제거한 뒤 일인 집권체제를 구축했고, 집권기간 중 국왕인 명종과 신종, 희종을 폐위시켰다. 1209년 학자 이규보를 발탁, 무신정권으로 피폐해진 문운(文運)을 재흥시키려고 힘썼는데, 청교역(靑郊驛)의 관리들의 자..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