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보기

우왕, 조선시대에 편찬 된 <고려사> 우왕을 신돈과 반야의 자식으로 규정하다. 우왕, 조선시대에 편찬 된 우왕을 신돈과 반야의 자식으로 규정하다. 우왕(禑王, 1365년 7월 25일 (음력 7월 7일) ~ 1389년 12월 31일 (음력 12월 14일))은 고려 제32대 국왕(재위: 1374년 ~ 1388년)이다. 우왕의 아명(兒名)은 모니노(牟尼奴)로, 공민왕의 서자(庶子)이자 외아들이다. 그의 생모는 훗날(우왕 즉위년) 순정왕후(順靜王后)로 추존된 궁인 한씨로 포고되었다. 1371년(공민왕 20년)에 7세의 나이로 비로소 입궐하여 태후전에서 지냈다. 1373년(공민왕 22년) '우(禑)'라는 이름(名號·諱)을 하사받았고, 강령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에 봉작되었다. 1374년(공민왕 23년)에 공민왕이 시해당하자, 10세의 나이로 훗날 이성계의 정적이 되는 이인임의 후원을 받고 등.. 더보기
요동정벌, 이성계 일파의 4불가론 요동정벌, 이성계 일파의 4불가론 요동 정벌(遼東 征伐)은 명나라가 철령 이북 지역에 철령위를 설치하려는 것에 반발하여 고려가 요동을 경략(經略)하기 위해 일으킨 전쟁이다. 그러나, 이는 위화도 회군으로 이어져 고려를 멸망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조선 건국 후 태조 이성계와 정도전 역시 요동 정벌을 계획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실행되지 못했다. 요동 문제 요동은 남만주(南滿州) 요하(遼河)의 동쪽 지방으로, 요동반도(랴오둥 반도)를 중심으로 한 이 일대는 한민족(韓民族)과 한족(漢族), 북방 민족 사이의 쟁탈 지역이 되어 왔다. 본래 고조선의 영역이었으나, 고조선이 기원전 290년경에 연나라 장수 진개와의 전쟁에 패해 서쪽 경계가 2천리 동쪽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조선의 판도에서 벗어났다. 전국시대 .. 더보기
함흥차사의 실제, 야사속의 함흥차사 함흥차사의 실제, 야사속의 함흥차사 함흥차사(咸興差使)는 조선 태종 이방원이 태조의 환궁을 권유하려고 함흥으로 보낸 차사를 일컫는 말이다. 그러나 차사가 돌아오지 않는다는 말이 세간에 퍼지면서, 한 번 간 사람이 돌아오지 않거나 소식이 없다는 뜻으로 바뀌었다. 이는 태종 이방원이 저지른 일(왕자의 난)과 그것을 오랫동안 용서하지 않았던 태조 이성계를 바라보던 백성들이 만들어낸 이야기일 뿐 사실과는 다르다. 민정중이 쓴 《노봉집》(老峯集)에 나오는 박순의 시장(諡狀), 선조 때 차천로(車天輅)가 지은 《오산설림》(五山說林) 등의 책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바탕을 두고 있다. 사건 경위 함흥차사를 보내고 태조가 답한 일을 한국사 학자 이덕일과 이회근의 연구를 바탕으로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1398년 태.. 더보기
김효원, 동인과 서인의 붕당 분열의 원인을 제공하다. 김효원, 동인과 서인의 붕당 분열의 원인을 제공하다. 김효원(金孝元, 1542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문신이다. 이황과 조식의 문인이다. 본관은 선산(善山, 일선)으로, 자는 인백(仁伯)이고 호는 성암(省庵)이다.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윤원형의 사위 이조민의 친구인 탓에 한때 윤원형가의 식객으로 있기도 했다. 그 뒤 훈구파가 몰락하고 사림파가 크게 진출할 때 소장파 관인의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심의겸의 반대를 무릅쓰고 이조정랑이 되었으나 다음해 심충겸이 이조전랑에 천거되자 외척임을 들어 적극 반대하여 사림을 자신을 중심으로 한 동인과 심의겸을 중심으로 한 서인으로 갈라지게 하였다. 노수신과 이이의 조정책으로 외직으로 전출된 후 10년 간 한직(閒職)을 전전했다... 더보기
최립, 선조 때 8대 명문장가로 꼽히며 외교문서의 대가이다. 최립, 선조 때 8대 명문장가로 꼽히며 외교문서의 대가이다. 최립(崔岦, 1539년 ~ 1612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 겸 문신이다. 자는 입지(立之), 호는 간이(簡易)·동고(東皐), 본관은 통천(通川). 율곡 이이 등과 함께 선조 때의 8대 명문장가로 꼽히며, 외교문서의 대가로, 명성은 중국에까지 알려졌다. 당색으로는 서인이며, 《동의보감》을 저술한 허준과 명필로 알려진 석봉 한호와는 절친한 사이였다. 우암 송시열의 아버지 수옹 송갑조는 그의 문인이었다. 율곡 이이의 문인이다. 유년기 1539년(중종34)개성에서 부친인 진사 최자양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그의 8대조는 조선초의 명장인 최운해이고, 5대조 최로는 명필로 알려졌고, 절충상호군으로 단종 충신단에 배향된 인물이다. 최립은 붓을 잡을 만한 .. 더보기
한석봉, 글 솜씨가 왕희지와 우열을 가리기가 어렵다고 비유하다. 한석봉, 글 솜씨가 왕희지와 우열을 가리기가 어렵다고 비유하다. 한호(韓濩, 1543년~1605년)는 조선의 문신·서예가이다. 본관은 삼화(三和), 자는 경홍(景洪), 호는 석봉(石峯)·청사(淸沙)이다. 후세에 서예의 명인이라 불렸으며, 명나라의 명필가 주지향(朱之香)은 한호를 가리켜 “왕희지(王羲之) 및 안진경(顔眞卿)과 우열을 가리기가 매우 어렵다”라고 비유할 정도로 글 솜씨가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생애 한호는 1543년에 개성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한언공이며, 정랑(正郞) 한관(韓寬)의 손자이다. 3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조부에게 글을 배웠으나 10세에 조부까지 여의었다. 이후 집안의 살림이 매우 가난하였다. 12세에 영계 신회남의 문하에 들어갔다. 1567년(명종 22) 25세 때 진사시(進士試).. 더보기
감은사지,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의 뜻을 받들어 완공하다. 감은사지,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의 뜻을 받들어 완공하다. 감은사지(感恩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에 있는 신라 시대의 절인 감은사의 터이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31호로 지정되어 있다. 역사 신라 문무왕은 삼국통일을 이룬 후 나라를 더욱 굳게 지키기 위해 이 절을 짓기 시작했으며 신라 31대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의 뜻을 받들어 즉위한 이듬해(682)에 완공하고 감은사(感恩寺)라고 불렀다. 발굴 1959년 발굴조사에 의하면 중문(中門)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로 기단석은 전혀 남아 있지 않고 초석이 놓인 자리만 확인되고, 금당(金堂)은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기단은 이중기단이다. 북쪽에는 기단석과 계단석이 남아 있다. 금당의 바닥은 방형대석을 이중으로 놓아 위쪽 대석 위에 장대석을 걸쳐놓았.. 더보기
도쿠가와 이에야스,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함께 향토삼영걸로 불리다. 도쿠가와 이에야스,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함께 향토삼영걸로 불리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일본어: 徳川家康 (とくがわ いえやす), 1543년 1월 31일 ~ 1616년 6월 1일)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센고쿠 다이묘이다.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함께 향토삼영걸로 불린다. 가계는 미카와의 고쿠진 마쓰다이라 씨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이후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을 지휘하였으며, 승전 이후 에도 막부를 개창하여 첫 쇼군(1603년 ~ 1605년)이 되었다. 1605년 3남 히데타다에게 쇼군 직을 물려준 다음에도 오고쇼의 자격으로 슨푸에 머무르며 정치에 참여하였다. 사후에는 닛코 동조궁에 묻혔으며, 도쇼다이곤겐(일본어: 東照大権現)이라는 시호를 얻..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