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백제

내물 마립간, 내물왕, 김 씨의 왕위 계승이 확립되다. 내물 마립간, 내물왕, 김 씨의 왕위 계승이 확립되다. 내물 마립간(奈勿 麻立干, 344년 ~ 402년, 재위: 356년 ~ 402년) 또는 내물 이사금(奈勿 泥師今)은 신라의 17대 임금으로, 내물왕(奈勿王)이라고도 한다. 성은 김 씨이고, 구도(仇道) 갈문왕의 자손으로, 아버지는 13대 미추 이사금의 동생인 각간 김말고(金末仇)요, 어머니는 유례 부인 김씨(休禮夫人 金氏)이며, 왕후는 보반부인이다. 보반부인이 미추 이사금의 딸이라는 기록이 있으나 신뢰하기 어렵다. 다른 이름은 나물(那勿), 나미(那密)이다.내물 이사금 재위 시 신라는 활발한 정복 활동으로 낙동강 동쪽의 지역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 지배세력이 강화되어 중앙집권 국가로서의 면모를 보이기 시작했다. 석씨 가문의 홀해 이사금에 이어 김 씨인 .. 더보기
침류왕, 마라난타 백제에 불교를 전파하다. 침류왕, 마라난타 백제에 불교를 전파하다. 침류왕(枕流王, ? ~385년 11월, 재위 384년 4월~385년 11월)은 백제의 제15대 국왕이다. 근구수왕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진고도(眞高道)의 딸 아이부인(阿爾夫人)이다. 초고 왕계의 왕통을 이었으나 재위 2년째인 385년 11월 붕어하여 그의 어린 아들 아신(阿莘) 대신에 그의 아우 휘(暉, 진사왕)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동진과 동맹을 맺어 고구려에 적대적 기본 외교 자세를 취하였으며, 384년 왕위에 오르자 7월에 동진에 조공하였다. 이해 음력 9월 동진(東晋)에서 호승(胡僧)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들어왔고 이를 계기로 백제에 불교가 처음 전파되었다. 삼국시대에 활약했던 승려들의 열전을 모아 놓은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 의하면, 소수림왕 때.. 더보기
소수림왕, 태학을 설립하고 율령을 반포하다. 소수림왕, 태학을 설립하고 율령을 반포하다. 소수림왕(小獸林王, ? ~ 384년, 재위 : 371년~384년)은 고구려 제17대 군주이다. 고국원왕(故國原王)의 맏아들로 355년(고국원왕 25)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이름은 구부(丘夫)이다. 소수림왕은 전진(前秦)으로부터 불교를 도입하고, 태학을 설립하였으며 율령을 반포하는 등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고구려 전성기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 소수림왕은 371년 고국원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백제 근초고왕과의 평양성 전투에서 부왕이 전사한 상황에서 왕위에 오른 소수림왕에게 국가의 체제 정비와 더불어, 넓은 영토와 백성들을 체계적으로 통치할 제도 정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소수림왕(小獸林王) 2년(37.. 더보기
고국원왕, 사유, 미천왕의 아들 고국원왕, 사유, 미천왕의 아들 고국원왕(故國原王, ? ~ 371년, 재위: 331년 ~ 371년)은 고구려의 제16대 국왕이다. 이름은 사유(斯由) 또는 쇠(釗)라고 하며 미천왕의 아들이다. 국강상왕(國罡上王)이라고도 한다. 369년 백제를 공략하려다가 패하였고 371년의 2차 백제 공략에서 전사하였다. 생애 314년에 왕태자에 책봉되었고, 331년 음력 2월에 미천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334년에 평양성을 증축하였고, 335년에는 신성(新城)을 쌓았으며, 342년에는 환도 성과 국내성을 증축하는 등 변경의 방비를 강화하였다. 또한 전연(前燕)을 견제하기 위해 336년, 343년에 걸쳐 동진(東晉)에 사신을 파견하기도 하였다. 전연과의 전쟁 오호십육국 시대 선비족(鮮卑族) 모용부(慕容部)의 수장 .. 더보기
근초고왕,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전사시키다. 근초고왕,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전사시키다. 근초고왕(近肖古王, ? ~375년, 11월 재위: 346년 9월~375년 11월)은 백제의 제13대 국왕이다. 이름은 중국의 《진서(晉書)》에 의하면 여구(餘句), 일본의 《고사기》에는 조고 왕(照古王), 《일본서기》에는 초고왕(肖古王) 등의 이름으로 전해지기도 한다. 《신찬 성씨록(新撰姓氏録)》에는 속고 왕(速古王)으로도 불린다. 근초고왕은 마한 54개 연맹체 중 하나였던 백제국이 차츰 국가로서의 면모를 갖출 무렵 비류왕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체격도 아주 크고 용감했기 때문에, 둘째 아들임에도 차기 왕으로 지목되어 346년 계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근초고왕은 남으로 전라도 지역까지 마한 54개 연맹체 전체를 통일하였고, 북으로.. 더보기
침류왕, 고구려에 적대적 외교 자세를 취하다. 침류왕, 고구려에 적대적 외교 자세를 취하다. 침류왕(枕流王, ? ~385년 11월, 재위 384년 4월~385년 11월)은 백제의 제15대 국왕이다. 근구수왕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진고도(眞高道)의 딸 아이부인(阿爾夫人)이다. 초고 왕계의 왕통을 이었으나 재위 2년째인 385년 11월 붕어하여 그의 어린 아들 아신(阿莘) 대신에 그의 아우 휘(暉, 진사왕)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동진과 동맹을 맺어 고구려에 적대적 기본 외교 자세를 취하였으며, 384년 왕위에 오르자 7월에 동진에 조공하였다. 이해 음력 9월 동진(東晋)에서 호승(胡僧)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들어왔고 이를 계기로 백제에 불교가 처음 전파되었다. 삼국시대에 활약했던 승려들의 열전을 모아 놓은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 의하면, 소수림왕.. 더보기
칠지도, 백제 왕세자가 왜 왕에게 하사한 칼 칠지도, 백제 왕세자가 왜 왕에게 하사한 칼 칠지도(七支刀)는 일본 나라 현 덴리 시 이소 노가미 신궁(石上神宮)에 보관 중인 길이 74.9cm의 양옆으로 모두 6개의 가지가 뻗은 철제 칼로 칼에는 표면(앞면)에 35자, 이면(뒷면)에 27자로 총 62자의 금상감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X-레이 촬영 결과 앞면에 十(십) 자가 숨겨져 있음이 발견되어 1자가 늘었다.) 명문(銘文)의 해석을 둘러싸고 한일 역사학계에서는 서로 해석을 달리하고 있다. 해석 문제는 광개토왕릉비와 더불어 임나일본부설의 실재 여부를 입증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기 때문이다. 이소 노가미 신궁에서 ‘욱 차모(六叉鉾)’라는 명칭으로 전해져 내려오다가 1873년 신궁의 궁사에 의해 명문이 발견되었고, ‘칠지도’로서 학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더보기
흑치상지, 백제의 장수로서 백제 부흥운동을 이끌다. 흑치상지, 백제의 장수로서 백제 부흥운동을 이끌다. 흑치상지(黑齒常之, 630년~ 689년)는 백제의 의자왕 때 달솔을 지낸 백제 · 당나라의 무장이다. 660년부터 663년까지 3년간 백제 부흥운동을 이끌었으나 부흥운동의 실패가 확실해지자 당나라에 항복하고 투항했다. 백제의 장수로서 1929년 중국 낙양(洛陽)에서 아들 준(俊)의 것과 함께 출토된 그의 묘지명에 따르면, 흑치상지는 원래 백제의 왕족으로서 흑치 지방에 봉해졌기 때문에 흑치씨가 되었다고 한다. 증조부의 이름은 문대(文大), 조부는 덕현(德顯), 아버지는 사차(沙次)이며, 흑치상지의 어릴 적 이름은 항원(恒元)이었다. 《신당서》및 《삼국사기》에 입전된 그의 열전에서는 의자왕 때 벼슬은 달솔로서 풍달군(風達郡)의 군장(郡將)을 겸하고 있 었다..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