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삼국사기

안압지, 월지, 신라 왕궁의 별궁 터 안압지, 월지, 신라 왕궁의 별궁 터 경주 동궁과 월지(慶州 東宮과 月池)는 경주시에 위치한 신라 왕궁의 별궁 터 이다. 안압지는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룬 직후인 문무왕(文武王) 14년(674년)에 황룡사 서남쪽 372m 지점에 조성되었다. 큰 연못 가운데 3개의 섬을 배치하고 북쪽과 동쪽으로는 무산(巫山)을 나타내는 12개 봉우리로 구성된 산을 만들었는데 이것은 동양의 신선 사상을 상징한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섬과 봉우리에는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심고 진귀한 동물을 길렀다는 가장 대표적인 신라의 원지(苑池)이다. 왕궁에 딸린 연못으로 서쪽에 별궁인 임해전이 있으며, 동쪽과 북쪽은 굴곡이 심한 곡면을 이루고 있고, 연못 안에는 3개의 성(섬)이 있다. 별궁인 임해전과 여러 부속건물은 나라의 경사가 있.. 더보기
진평왕의 치세, 일화, 비형랑과 왕의 옥대 진평왕의 치세, 일화, 비형랑과 왕의 옥대 진평왕(眞平王, ? ~ 632년, 재위 579년 ~ 632년)은 신라의 제26대 왕이다. 성은 김(金), 휘는 백정(伯淨, 白淨, 白丁), 구당서에는 진평(眞平) 으로 기록되어있다. 진흥왕의 장손으로 아버지는 진흥왕의 장남인 동륜태자, 어머니는 갈문왕(葛文王) 김입종(金立宗)의 딸 만호부인(萬呼夫人)이고, 왕비는 복승갈문왕(福勝葛文王)의 딸 마야왕후(摩耶夫人)이다. 579년 숙부인 진지왕이 폐위되자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즉위 후 584년까지 조모인 사도태후 박씨가 섭정하였고 584년부터 친정 하였다. 초기 삶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비롯한 대부분의 역사서에는 출생연도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화랑세기에는 567년에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진평왕은 태어나면서부터.. 더보기
첨성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 선덕여왕때 건립되다. 첨성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 선덕여왕때 건립되다. 첨성대(瞻星臺)는 경주시 반월성 동북쪽에 위치한 신라 중기의 석조 건축물로, 선덕여왕때에 세워진, 현존하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알려져 있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31호로 지정되었다. 위치 및 구조 첨성대는 신라의 왕궁이 있었던 월성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362개의 화강암 벽돌을 사용하여 원통형으로 축조하였다. 높이는 9.17미터. 돌로 27층을 쌓았으며, 꼭대기에는 다시 우물 정(井) 모양의 2층의 천장돌이 있다. 13층에서 15층에 이르기까지 정남향의 네모난 문이 있고, 이 문의 아래로 12층이 있고 위로 13층이 있으므로 첨성대 위아래의 중간에 문이 위치한다. 내부에는 12단까지 흙이 채워져 있고 여기에 사용된 돌의.. 더보기
고이왕, 왕권 강화로 백제의 기반을 다져놓다. 고이왕, 왕권 강화로 백제의 기반을 다져놓다. 고이왕(古尒王, ? ~ 286년, 재위: 234년 ~ 286년)은 백제의 제8대 국왕이다. 구이왕(久爾王)·고모왕(古慕王)이라고도 한다. 성은 부여(扶餘) 일본의 사서 《신찬성씨록》, 《일본서기》등 에는 구이(久爾) 또는 구이(仇爾), 고모(古慕) 등의 이름으로 표기되어 있다. 고이왕은 즉위 후 국가체제의 정비와 왕권 강화에 주력하여 고대국가로서의 백제의 기반을 다져놓은 인물이었다. 백제의 실질적인 건국자로 보는데, 집권력의 강화를 위하여 좌장(左將)을 설치하여 내외 병마권을 관장하게 함으로써 족장들의 독자적인 군사력을 약화시켰다. 초고왕, 구수왕과의 가족관계 여부 연대차이로 이견이 존재한다. 생애 고이왕의 가계는 불확실한데 고이왕은 보통 《삼국사기》의 기록.. 더보기
무왕, 세력 균형과 중립 외교로 실리청책을 펼치다. 무왕, 세력 균형과 중립 외교로 실리청책을 펼치다. 무왕(武王, ? ~ 641년, 재위 : 600년 ~ 641년 음력 3월) 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다. 성은 부여(扶餘), 휘는 장(璋), 아명은 서동(薯童) 혹은 일기사덕(一耆篩德)이다. 법왕(法王)의 아들이라는 설과 위덕왕의 아들이라는 설도 존재한다. 재위 기간 신라에 적극적인 공세를 취하는 한편 동아시아의 양대 세력인 고구려와 수나라가 각축전을 벌일 때, 세력 균형과 중립외교를 통해 양쪽의 대결을 이용한 실리정책을 펼쳤다. 이와 더불어 왕권 강화와 왕권의 건재를 과시하려는 목적에서 대규모 역사(役事)를 단행하였다. 630년 사비궁(泗沘宮)을 중수하였으며 익산을 중시해 이 곳에 별도(別都)를 경영하고, 장차 천도(遷都)할 계획까지 세우고 있었다. 또.. 더보기
동성왕, 업적을 남겼지만, 말기에 이르러서는 점차 향락에 빠져 정치를 돌보지 않다. 동성왕, 업적을 남겼지만, 말기에 이르러서는 점차 향락에 빠져 정치를 돌보지 않다. 동성왕(東城王, 445년~501년, 재위 : 479년~501년)은 백제의 제24대 국왕이다. 성은 부여(扶餘), 이름은 모대(牟大)이다. 또 다른 이름은 마모(摩牟)·마제(麻帝)·말다(末多)·여대(餘大)여대(餘大)등이 있다. 제22대 왕인 문주왕(文周王)의 아우인 좌평(佐平) 곤지(昆支)의 둘째 아들로서 담력이 있고 활을 쏘는 솜씨가 뛰어났다. 삼근왕 때 일어난 해구(解仇)의 반란을 평정한 뒤 정권을 잡은 진씨(眞氏) 세력에 의해 옹립되어 삼근왕의 뒤를 이었다. 479년부터 501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479년부터 482년까지 진로(眞老)가 실권을 맡았고 482년부터 501년 붕어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생애 동성왕의 본명은.. 더보기
지증왕, 순장법을 금하고 농사를 장려하다. 지증왕, 순장법을 금하고 농사를 장려하다. 지증왕(智證王, 437년 ~ 514년, 재위: 500년 ~ 514년)은 신라의 제22대 왕이다. 내물왕의 증손이며 복호 갈문왕의 손자이자 습보 갈문왕(習寶)의 아들이다. 전임 소지 마립간과는 6촌 형제간이었다. 법흥왕의 아버지로 지증 마립간(智證麻立干)이라고도 한다. 502년 순장법을 금하고 농사를 장려하였으며, 소를 길러 땅을 갈게 하였다. 이듬해 국호를 신라로 정하고, 마립간 대신 중국식 군주의 칭호인 왕의 칭호를 사용하였다. 제도와 체제를 개편, 정비하여 504년 상복법을 제정하였으며, 505년 주, 군, 현을 정하고 각 주에 군주를 두었다. 509년 서울에 동시(東市)를 두었고, 512년 우산국(울릉도)을 정복하였다. 또한 한국의 고대 사회에서부터 전해지.. 더보기
보덕왕, 고안승, 고구려 부흥운동 때 왕으로 추대되다. 보덕왕, 고안승, 고구려 부흥운동 때 왕으로 추대되다. 보덕왕(報德王) 또는 보덕국왕(報德國王) 고안승(高安勝, ?~?, 재위: 670년 ~ ?) 또는 고안순(高安舜)은 고구려의 유민으로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이다. 670년 고구려의 장군 검모잠이 당나라에 항거하여 고구려 부흥운동을 시작했을 때, 왕으로 추대되었다. 일설에는 보장왕의 서자라는 설과 연정토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 676년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683년 문무왕의 누이와 결혼하고 신라의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다. 생애 초반 안승의 생년월일은 미상이며 출신과 성씨도 미상이다. 안승의 출신에 대해서, 《삼국사기》〈고구려본기〉와 《삼국유사》는 보장왕(寶臧王)의 아들이라 하고, 《삼국사기》〈신라본기〉는 연정토(淵淨土)의 아들이라 하였다. 삼국사기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