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원성왕

희강왕 신라의 제43대왕과 민애왕 신라의 제44대왕의 생애 희강왕 신라의 제43대왕과 민애왕 신라의 제44대왕의 생애 희강왕 희강왕(僖康王, ? ~ 838년, 재위: 836년 ~ 838년)은 신라의 제43대 왕이다. 성은 김씨이고 이름은 제륭(悌隆)이다. 아버지는 원성왕의 손자인 김헌정(金憲貞, 후에 익성대왕(翌成大王)으로 추봉)이고 어머니는 포도부인(包道夫人, 후에 순성태후(順成太后)로 추봉)이다. 즉위 전 원성왕의 증손으로 그의 둘째아들 혜충대왕에 추봉된 김예영의 손자이자 김헌정의 아들이다. 836년 흥덕왕(興德王)이 사망하자, 아찬 김우징(金祐徵)과 조카인 예징(禮徵), 김양(金陽)의 지지를 받는 숙부 김균정과 서로 왕위 계승을 놓고 시중 김명(金明), 아찬(阿飡) 이홍(利弘), 배훤백(裵萱伯)의 지지를 받는 제륭이 대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균정이 전사하고.. 더보기
흥덕왕, 귀족의 사치를 규탄하고 골품제도에 따라 신분의 구분을 엄히 하다. 흥덕왕, 귀족의 사치를 규탄하고 골품제도에 따라 신분의 구분을 엄히 하다. 흥덕왕(興德王, 777년 ~ 836년, 재위 : 826년 ~ 836년)은 신라의 제42대 왕이며, 초명은 수종(秀宗), 수승(秀升) 이고 즉위 후에 경휘(景徽)로 개명하였다. 아버지는 원성왕의 장남인 혜충태자(惠忠太子)이며, 어머니는 성목태후 김씨(聖穆太后 金氏)이다. 소성왕과 헌덕왕의 친동생이다. 왕비는 소성왕의 딸 장화부인(章和夫人, 정목왕후로 추존)이다. 헌덕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청해진(淸海鎭)과 당성진(唐城鎭)을 설치하여 해적의 침탈을 막고 안으로는 백성들의 사치를 법으로 규제하였다. 즉위 809년 동복 형 헌덕왕과 함께 정변을 일으켜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헌덕왕을 지지하여 이찬이 되었고, 819년 2월 또 다.. 더보기
헌덕왕, 당에 정기적으로 조공을 행하다. 헌덕왕, 당에 정기적으로 조공을 행하다. 헌덕왕(憲德王, ? ~ 826년, 재위: 809년 ~ 826년)은 신라의 제41대 왕이다. 성은 김씨(金氏)이고 이름은 언승(彦昇)이고, 신라 원성왕의 장남인 김인겸의 차남으로 소성왕의 동생이다. 즉위 전 원성왕 6년(790년)에 사자로서 당나라로 갔고, 귀국후에 대아찬이 되었다. 다음 791년 전 시중 제공(悌恭)의 반란 진압에 공적을 세었고, 794년에는 당시 시중 김숭빈(金崇斌)이 물러나고 언승이 시중에 발탁 되었다. 795년에는 이찬, 796년에는 병부령(兵部令)을 거치고, 800년에 애장왕이 즉위 하면서 그 섭정이 되었다. 게다가 801년에는 왕의 행차를 총괄하는 책임자가 되어, 그 다음에는 상대등이 되었다. 809년 7월 동생과 함께 애장왕을 죽이고, .. 더보기
소성왕 신라 39대왕과 애장왕 신라 40대왕 소성왕 신라 39대왕과 애장왕 신라 40대왕 소성왕 소성왕(昭聖王, ? ~ 800년, 재위: 798년 ~ 800년)은 신라의 제39대 왕이다. 성은 김씨(金氏)이고, 이름은 준옹(俊邕)이다. 소성왕(昭成王)이라고도 한다. 원성왕의 장손이다. 아버지는 원성왕의 장남인 인겸(仁謙, 惠忠太子)이며, 어머니는 성목태후(聖穆太后) 김씨이다. 생애 아버지가 태자로 죽었으므로 궁중에서 자라서 789년에 당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그 후 대아찬이 되고 시중 등을 거쳐 이듬해 병부령이 되었다. 795년 태자로 책봉되어 왕위에 올랐다. 당의 덕종으로부터 개부의동삼사 검교대위 신라왕에 책봉되었다. 재위 2년 만에 죽어 이후로 신라 왕위 쟁탈전의 원인이 되었다. 애장왕 애장왕(哀莊王, 788년 ~ 809년, 재위: 800년.. 더보기
원성왕, 독서삼품과를 설치하여 인재를 등용하다. 원성왕, 독서삼품과를 설치하여 인재를 등용하다. 원성왕(元聖王, 706년 ~ 798년 음력 12월 29일/양력 799년 2월 8일, 재위: 785년 2월 26일(음력 1월 13일) ~ 798년 음력 12월 29일)은 신라의 제38대 왕이다. 성은 김씨(金氏), 휘는 경신(敬信)이다. 삼국사기에는 원성왕은 선덕왕과 마찬가지로 내물왕의 10세손으로 되어 있다. 생애 김경신은 혜공왕 때 선대 경덕왕의 관제개혁을 원상 복귀시키는 일에 참여하였다. 선덕왕 1년(780년) 이찬(伊飡)으로 상대등(上大等) 김양상과 함께 김지정의 난을 평정하고 상대등에 올랐다. 선덕왕 김양상이 죽고 대신들의 추대로 왕위에 올라 당과 통교하였다. 원성왕 4년(788년) 독서삼품과를 설치하여 인재를 등용했고, 이어 벽골제(碧骨堤)를 증축.. 더보기
광종, 평가와 비판, 노비안검법으로 부당하게 노비가 된 양민들을 석방하다. 광종, 평가와 비판, 노비안검법으로 부당하게 노비가 된 양민들을 석방하다. 광종(光宗, 925년 ~ 975년 7월 4일 (음력 5월 23일)은 고려 제4대 국왕(재위: 949년 ~ 975년)이다. 휘는 소(昭), 자는 일화(日華), 묘호는 광종, 시호는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大王)이다. 태조의 넷째 아들, 신명순성왕후의 셋째 아들로서 요절한 왕태, 정종의 동생이다. 비는 대목왕후 황보씨(皇甫氏)로 태조와 신정왕후의 딸로 이복누이이며, 후궁인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는 배다른 형 혜종의 딸이다. 949년 3월 동복 형 정종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949년 광덕(光德), 960년 준풍(峻豊)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중국 후주로부..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