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방

무신정권, 최씨 집권기의 군사기구와 행정기구 무신정권, 최씨 집권기의 군사기구와 행정기구 최씨정권이라고 흔히 불리며, 최씨 무신정권으로도 불린다. 집권은 60여년간 4대로 최충헌, 최우, 최항, 최의가 집권한 때이다. 군사기구 도방 처음 무신정변 이후에 무인들은 저마다 문객과 집안의 종을 무장시켜 사병화하였는데, 이는 경대승의 도방에 이르러 조직화되었다. 최충헌은 경대승을 모방하여 도방의 사병을 6교대로 나누어 교대로 그의 집을 지키게 하고 뒤에 이를 36번으로 확대했다. 그 결과 용맹스런 자는 모두 최씨의 사병이 되는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삼별초 최우는 전국의 도적이 급증하자 야별초를 조직하였고, 그 수가 많아지자 좌별초와 우별초로 분리되었고 그 후 원나라에 체포되었다가 달아난 군사와 남은 장정들을 모아서 신의군이 조직됐는데 이 조직 세 곳이 .. 더보기
최우, 항몽전쟁을 선언하고 대장경판 재조를 완성하다. 최우, 항몽전쟁을 선언하고 대장경판 재조를 완성하다. 최우(崔瑀, ? ~ 1249년 12월 10일 (음력 11월 5일))는 고려 중기의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다. 본관은 우봉(牛峰)이며, 후에 이(怡)로 개명하였다. 최충헌(崔忠獻)의 아들이다. 원종의 국구 김약선은 그의 맏사위이며, 충렬왕에게는 외외증조부가 된다. 정순왕후의 외할아버지이다.1219년부터 1249년까지 고려 왕조의 실권을 맡았다. 1225년(고종 12) 정방(政房)을 부활시켜 관료의 인사권을 탈취한다. 글과 서예에 능하였으며, 몽골의 침략의 조짐이 보이자 항몽 전쟁을 선언하였다. 팔만대장경의 간행에도 기여하였다. 나중에 이름을 이(怡)로 개명하였으나,고려사 반역 열전에 최우 라고 기록한 이후, 집권때까지의 본명인 최.. 더보기
공민왕, 반원자주화, 개혁정치, 성균관을 재건하다. 공민왕, 반원자주화, 개혁정치, 성균관을 재건하다.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다. 초명은 기(祺), 휘는 전(顓), 호는 이재(怡齋)와 익당(益堂), 우왕 2년에 조정에서 올린 시호는 인문의무용지명열경효대왕(仁文義武勇智明烈敬孝大王)이며, 같은 왕 11년에 명에서 받은 시호는 공민왕(恭愍王)이다. 충숙왕의 차남이며, 몽골식 이름은 바얀 테무르(伯顔 帖木兒, 몽골어:、Bayan Temür)이다. 즉위 초반에는 무신 정권의 세력 기반을 혁파하고 원나라의 지배에서 벗어나 자주국을 선언하였으며 승려 신돈을 등용하여 개혁정책을 펼쳤으나 노국대장공주의 사후 개혁의지를 상실하였..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