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보기

비류, 백제 온조의 형, 미추홀에 나라를 세웠으나 자결하다. 비류, 백제 온조의 형 비류(沸流)는 우태의 장남 혹은 고구려의 시조 동명성왕의 차남으로, 백제 온조왕의 형이다. 온조와 함께 고구려의 남쪽 지방으로 내려가 비류는 해변에 살기를 원하였으나 10명의 신하가 간언하기를, “생각건대 이 하남의 땅은 북은 한수를 띠고, 동은 고악을 의지하였으며, 남은 옥택을 바라보고, 서로는 대해를 격하였으니, 그 천험지리가 얻기 어려운 지세라 여기에 도읍을 이루는 것이 좋겠습니다.”라고 하자, 비류는 듣지 않고 미추홀(지금의 인천)을 도읍으로 정해 나라를 세웠으나, 땅이 습하고 물이 짜서 백성들이 살지 못하여 동생이 세운 나라로 이주하자 자결하였다. 백제의 시조가 비류라는 시조 비류설에 따르면, 어머니 소서노(召西奴)는 졸본 사람으로 우태에게 시집와 비류와 온조 두 아들을 .. 더보기
인수대비, 소혜왕후, 성종의 어머니 인수대비, 소혜왕후, 성종의 어머니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그러나 1469년에 자신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왕위에 등극하고, 자신도 궁궐에 다시 들어가 곧 왕비로 진봉되었다가 1475.. 더보기
신수근, 연산군의 처남, 중종의 장인 신수근, 연산군의 처남, 중종의 장인 신수근(愼守勤, 1450년 ~ 150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다. 신승선과 중모현주의 아들로, 세종의 4남 임영대군의 외손이자 연산군의 처남이며, 중종의 장인이다. 따라서 왕실과는 이중 인척관계를 형성하였으며, 그 외에도 그의 부인은 권람의 여섯째 딸로 남이의 처제가 된다. 1506년 중종반정 때 도의상 반정에 참여하기를 거절했다가 살해되었다. 본관은 거창(居昌), 자는 근중(勤仲), 호는 소한당(所閒堂)이며, 시호는 신도(信度)이다. 신승선의 아들로 어머니 중모현주는 임영대군의 딸이자 세종대왕의 손녀딸이었다. 성종 때 음서를 통해 장령이 되어 조정에 입문하였고, 누이동생이 연산군의 비가 된 뒤로 우승지, 도승지, 이조 판서, 우찬성, 우의정, 좌의정의 요.. 더보기
단경왕후, 7일의 왕비, 반정세력에 의해 폐위되다. 단경왕후, 7일의 왕비, 반정세력에 의해 폐위되다. 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1487년~1557년 12월 27일(음력 12월 7일))는 조선 중종의 정비(正妃)이다. 시호는 공소순열단경왕후(恭昭順烈端敬王后)이다. 익창부원군 신도공 신수근(愼守勤)과 청원부부인 한씨(淸原府夫人 韓氏)의 딸로, 본관은 거창이다. 조선의 역대 왕비 중 제일 짧은 7일의 재위 기간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적의 딸로 연좌되어 폐출된 후 영조 때에 부모와 함께 복위되었다. 능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위치한 온릉이다. 1487년 2월 7일(음력 1월 14일)에 신수근(愼守勤)의 딸로 태어났다. 1499년(연산군 5년) 13살의 나이에 당시 진성대군에 봉해져 있던 중종과 결혼하여 부부인(府夫人)이 되었다. 1506년 중종반.. 더보기
장녹수, 연산군의 총애를 받다 중종반정 이후 참형을 당하다. 장녹수, 연산군의 총애를 받다 중종반정 이후 참형을 당하다. 숙용 장씨(淑容 張氏, 1472년? ~ 1506년)는 조선 연산군의 후궁이다. 소생으로는 연산군과의 사이에 딸 영수(寧壽)가 있다. 본명은 장녹수(張綠水)로 아버지는 충청도 문의 현령(文義縣令)을 지낸 장한필이고 어머니는 천민 출신의 첩이었다. 이 때문에 녹수는 성종의 종제인 제안대군의 노비로 살았다. 제안대군의 가노(家奴)와 결혼해 아들을 낳은 뒤 노래와 춤을 배워 기생이 되었다. 얼굴은 보통을 넘지 못했으나 매우 동안(童顔)이었고, 특히 노래에 타고난 재능이 있었다. 연산군은 이를 듣고 녹수를 입궐시켜 숙원(淑媛)에 봉하고 많은 재물을 집으로 보내주고 노비와 전답, 가옥을 내렸다. 또한 그녀의 청으로 장녹수의 주인이었던 제안대군의 장인 김수.. 더보기
온조왕, 남하하여 위례성에 자리잡다. 온조왕, 남하하여 위례성에 자리잡다. 온조왕(溫祚王, ? ~ 28년, 재위: 기원전 18년 ~ 28년 음력 2월)은 백제의 건국자이다. 아버지는 고구려의 동명성왕이다. 형으로는 유리명왕와 미추홀의 창업자 비류가 있다. 동명성왕의 부인 예씨 소생 유리명왕이 졸본으로 오자 어머니 소서노와 형 비류와 함께 남하하여 위례성에 자리잡고 백제를 건국하였다. 일본에서는 음태귀수왕(陰太貴首王)이라 부른다. 온조왕의 출생에 대해서 삼국사기의 백제본기에서는 여러 내용을 전하고 있다. 초기 활동 고구려의 왕자였으나, 동명성왕의 적자 유리명왕이 부여에서 고구려로 와, 태자가 되자 형인 비류와 함께 한반도로 남하했다. 비류는 미추홀(彌鄒忽)에 자리를 잡았고, 온조왕은 하남위례성에 수도를 정하고 나라의 이름을 ‘십제(十濟)’라 .. 더보기
동명왕, 부여의 건국 시조 동명왕, 부여의 건국 시조 동명왕(東明王, 생몰년 미상)은 부여를 건국한 초대 왕(재위년 미상)이다. 고구려를 건국한 동명성왕, 백제의 시조로 언급되는 동명처럼, 부여 계통의 국가에서 공통되게 시조로 모시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북쪽의 고리국(=탁리국)에서 왔다는 문헌으로 추정해 보아 북부여, 동부여의 시조일 가능성이 있다. 《논형(論衡)》과 《위략》 등의 기록에 따르면, 동명은 북쪽의 탁리국(橐離國, 또는 고리국 櫜離國)에서 이주하여 부여를 건국한 인물이다. 탁리국 왕이 외출을 한 사이 시중을 드는 소녀가 하늘에서 내려온 기운을 받아 임신을 하였다. 왕은 소녀를 가둬두었다가 소녀가 남자 아이를 낳자 돼지우리, 마구간에 차례로 버렸으나, 돼지와 말이 아이를 품어주어 살아남았다. 왕이 아이를 신령스럽게 .. 더보기
제왕운기, 발해사를 한국사로 인식하다. 제왕운기, 발해사를 한국사로 인식하다. 《제왕운기》(帝王韻紀)는 고려 시대의 학자 이승휴(李承休)가 충렬왕 13년(1287년) 한국과 중국의 역사를 시로 쓴 역사책이다. 상·하 2권으로 출간되었으며, 단군부터 고려 충렬왕까지의 역사를 기술했다. 공민왕 9년(1360년)과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각각 다시 간행되었다. 오늘날 유포된 책은 이 3간본을 영인한 것이다.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내미로리 두타산 아래의 천은사(天恩寺)에서 저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성 《제왕운기》는 상·하 2권으로 되어 있는데, 상권은 중국의 반고(盤古)로부터 금나라까지의 역대 사적을 264구(句)의 ‘7언시’로 읊었고, 하권은 한국의 역사를 다시 1·2부로 나누어, 시로 읊고 주기(註記)를 붙였다. 제1부에는 지리기(..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