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보기

고조선 8조법,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다. 고조선8조법,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다. 팔조지교(八條之敎)는 고조선 사회의 법률이다. 팔조법금(八條法禁)이라고도 하며, 고조선 사회가 가부장(家父長) 중심의 계급 사회로서, 사유재산을 중히 여겼으며, 응보주의(應報主義)에 따른 형법을 지녔던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고조선에는 일찍부터 사회의 안녕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종의 불문율인 8조(八條)의 법이 있어 각종 범죄를 처벌하였다. 《한서(漢書)》 지리지(地理志)에 그중 3조목이 전해지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사형에 처한다. 2. 남에게 상해(傷害)를 입힌 자는 곡물로써 배상한다. 3.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데려다 노비로 삼는다. 단, 자속(自贖)하려는 자는 1인당 50만 전을 내야 한다. 위의 3조 .. 더보기
준왕, 위만이 모반을 일으키자 남쪽으로 피신하다. 준왕, 고조선과 한의 왕 준왕(準王, ? ~ ?, 재위: 기원전 3세기 후반 ~ 기원전 194년 ~ 기원전 2세기)는 고조선과 한(韓)의 왕이다. 성(姓)은 한(韓)이며, 명(名)은 준(準)이다. 기원전 194년에 위만(衛滿)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남쪽으로 망명하였으며, 한(韓)을 세웠다고 한다. 이후의 행적에 관해서는 명확히 기록된 바가 없다. 생애 고조선의 왕인 부왕(否王)의 아들이다. 이덕무의 《앙엽기》(盎葉記), 이만운의 《기년아람》(紀年兒覽), 안정복의 《동사강목》(東史綱目)에 따르면 기자조선의 제41대 군주인 준왕(準王, ? ~ ?)은 기자조선의 제40대 군주인 종통왕(宗統王, 부왕(否王))의 아들이며 기원전 220년부터 기원전 195년까지 재위했다고 한다. 또한 그의 휘는 준(準)이었고 시호는.. 더보기
내물 마립간, 내물왕, 김 씨의 왕위 계승이 확립되다. 내물 마립간, 내물왕, 김 씨의 왕위 계승이 확립되다. 내물 마립간(奈勿 麻立干, 344년 ~ 402년, 재위: 356년 ~ 402년) 또는 내물 이사금(奈勿 泥師今)은 신라의 17대 임금으로, 내물왕(奈勿王)이라고도 한다. 성은 김 씨이고, 구도(仇道) 갈문왕의 자손으로, 아버지는 13대 미추 이사금의 동생인 각간 김말고(金末仇)요, 어머니는 유례 부인 김씨(休禮夫人 金氏)이며, 왕후는 보반부인이다. 보반부인이 미추 이사금의 딸이라는 기록이 있으나 신뢰하기 어렵다. 다른 이름은 나물(那勿), 나미(那密)이다.내물 이사금 재위 시 신라는 활발한 정복 활동으로 낙동강 동쪽의 지역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 지배세력이 강화되어 중앙집권 국가로서의 면모를 보이기 시작했다. 석씨 가문의 홀해 이사금에 이어 김 씨인 .. 더보기
사사오입 개헌, 헌법의 기본 정신에 위배되는 위헌 헌법개정 사사오입 개헌, 헌법의 기본 정신에 위배되는 위헌 헌법개정 사사오입 개헌(四捨五入改憲)은 대한민국의 제1공화국 시절의 집권 세력이었던 자유당이 사사오입(四捨五入, 반올림)을 내세워 당시 정족수 미달이었던 헌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대한민국 헌법 제3호가 제정된 사건이다. 1954년 5월 20일, 국회의원 선거에서 원내 다수를 차지한 자유당은 이승만의 종신 집권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초대 대통령에 한해 중임 제한을 없앤다"라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여 9월 8일 국회에 제2차 헌법 개정안을 제출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 27일, 국회 표결 결과 '재적의원 203명 중 2/3이 찬성해야 한다.'라는 원칙에 따른 가결 정족수(可決定足數) 136명에서 한 명이 모자란 찬성 135표, 반대 60표, 기권 7표라.. 더보기
6월항쟁, 군사적 독재정치의 종식을 고하는 계기가 되다. 6월항쟁, 군사적 독재정치의 종식을 고하는 계기가 되다. 6월 항쟁(六月抗爭)은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독재, 민주화 운동이다. 6월 민주 항쟁, 6.10 민주 항쟁, 6월 민주화 운동, 6월 민중항쟁 등으로 불린다. 4·13 호헌 조치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리고 이한열이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사건 등이 도화선이 되어 6월 10일 이후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였고, 이에 6월 29일 노태우의 수습안 발표로 대통령 직선제로의 개헌이 이루어졌다. 이후 1987년 12월 16일 새 헌법에 따른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 6월 항쟁은 대한민국의 민주화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 운동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신군부 쿠데타 전후 197.. 더보기
부마민주항쟁, 유신체제의 종말을 앞당긴 계기가 되다. 부마민주항쟁, 유신체제의 종말을 앞당긴 계기가 되다. 부마민주항쟁(釜馬民主抗爭) 또는 부마민중항쟁(釜馬民衆抗爭)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0일까지 대한민국의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마산시(현 창원시)에서 유신 체제에 대항한 항쟁을 말한다. 10월 16일에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유신철폐"의 구호와 함께 민주화 시위를 시작했다. 다음 날인 17일부터 시민 계층으로 확산된 것을 시작으로 해서, 18일과 19일에는 마산 지역으로 민주화 시위가 확산됐다. 당시 박정희 유신 정권은 10월 18일 0시를 기해 부산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66명을 군사 재판에 회부했으며, 10월 20일 정오 마산 및 창원 일원에 위수령을 선포하고 군을 출동시킨 후 민간인 59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했다. 배경 1978년 12월.. 더보기
김재규, 2004년 10·26사태에 대한 재평가 시도 김재규, 2004년 10·26사태에 대한 재평가 시도 김재규(金載圭, 1926년 3월 6일 ~ 1980년 5월 24일)는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무직공무원이었다. 대한민국 건설부 장관과 중앙 정보부장을 지냈다. 1980년 5월 24일, 내란 목적 살인 및 내란 미수죄로 서울구치소(지금의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에서 사형되었다. 김재규는 1926년 3월 6일에 경상북도 구미에서 아버지 김형철과 어머니 권이금 사이에서 3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박정희의 고향 후배이자 육사 2기 동기이기도 하다. 1954년 5사단 36연대장, 제101연대장, 1956년 준장 진급, 1957년에는 육군대학 부총장을 지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직후 반혁명 세력으로 몰려 일시 감금되었으나 박정희의 명령으로 석방된 이.. 더보기
침류왕, 마라난타 백제에 불교를 전파하다. 침류왕, 마라난타 백제에 불교를 전파하다. 침류왕(枕流王, ? ~385년 11월, 재위 384년 4월~385년 11월)은 백제의 제15대 국왕이다. 근구수왕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진고도(眞高道)의 딸 아이부인(阿爾夫人)이다. 초고 왕계의 왕통을 이었으나 재위 2년째인 385년 11월 붕어하여 그의 어린 아들 아신(阿莘) 대신에 그의 아우 휘(暉, 진사왕)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동진과 동맹을 맺어 고구려에 적대적 기본 외교 자세를 취하였으며, 384년 왕위에 오르자 7월에 동진에 조공하였다. 이해 음력 9월 동진(東晋)에서 호승(胡僧)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들어왔고 이를 계기로 백제에 불교가 처음 전파되었다. 삼국시대에 활약했던 승려들의 열전을 모아 놓은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 의하면, 소수림왕 때..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