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장수왕, 거련, 남진정책을 추진하고 중국의 남북조와 등거리 외교를 하다. 장수왕, 거련, 남진정책을 추진하고 중국의 남북조와 등거리 외교를 하다. 장수왕(長壽王, 394년~491년, 재위: 412년? 음력 10월~491년 음력 12월)은 고구려의 제20대 군주이다. 광개토태왕의 태자로 휘는 거련(巨連, 巨璉)이며, 《위서(魏書)》에는 이름이 연(璉)으로 기록되어 있다. 일본의 신찬성씨록과 일본서기에는 부련왕(夫連王)이라 한다. 394년 출생하여 491년 사망할 때까지 98세까지 장수했기 때문에 장수왕이라는 시호가 붙었다.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어갔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정책을 추진하였고 중국의 남북조와 등거리 외교를 통해 안정을 구가한 국왕이다. 장수왕은 광개토태왕의 맏아들로 394년에 태어났으며, 모후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409년에 태자에 책봉되었고, 412년.. 더보기
미천왕, 을불, 신분을 숨기고 소금장수로 숨어 지내다. 미천왕, 을불, 신분을 숨기고 소금장수로 숨어 지내다. 미천왕(美川王, ? ~ 331년, 재위 : 300년 ~ 331년)은 고구려의 제15대 군주이다. 이름은 을불(乙弗) 또는 을불리(乙弗利), 우불(憂弗) 등이 전해진다. 서천왕의 손자이자 고추가(古鄒加) 돌고(咄固)의 아들이다. 호양왕(好壤王)이라고도 한다. 293년 아버지 돌고가 백부인 봉상왕에게 반역으로 몰려 죽임을 당하자 을불은 도망쳐 신분을 숨기고 고용살이와 소금장수 등을 하면서 숨어 지냈다. 사람들은 봉상왕보다 을불을 더 지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300년 국상 창조리(倉助利)가 봉상왕을 폐위할 마음을 품고 을불을 찾아 모셨으며 이후 봉상왕을 폐위한 뒤 왕으로 옹립되었다. 미천왕은 즉위 초부터 중국 군현 세력과 치열하게 대립하였다. 302년에는.. 더보기
유기견의 실태,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야생성을 보이게 된다. 유기견의 실태,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야생성을 보이게 된다. 유기동물(遺棄動物)은 주인의 실수, 혹은 의도적인 목적으로 인하여 버려진 이국적인 동물, 혹은 반려동물을 뜻한다. 유기동물들은 주로 주인의 죽음이나, 혹은 동물들이 너무 커지거나 질병에 걸린 경우 발생한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당시, 많은 유기동물들이 그들의 주인에 의한 재정적 문제로 버려지거나 방치되기도 하였다. 해외의 경우, 많은 유기동물들이 주인의 집이 압류당하여, 버려진 집에 구조되지 못한 채로 버려져 있기도 한다. 이 동물들은 음식과 물이 없어 죽는 경우가 많지만, 운이 좋은 경우 부동산 업자와 은행 사무관의 차압과정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동물 보호소에 직접 동물들을 유기하는 경우도 있다. 동물들은 많은 원인에 의하여 유기된다.. 더보기
경국대전, 조선시대 최고의 법전, 경국대전의 내용 경국대전, 조선시대 최고의 법전, 경국대전의 내용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이다. 조선 건국 초의 법전인 《경제육전(經濟六典)》의 원전(原典)과 속전(續典), 그리고 그 뒤의 법령을 종합하여 만든 통치의 기본이 되는 통일 법전이다. 세조는 즉위와 더불어 영원히 변치 않는 대법전을 편찬하려는 뜻을 품고, 육전상정소(六典詳定所)를 신설하여 육전상정관으로 하여금 편찬케 하고, 세조 스스로가 그 심의·수정을 보았다. 1460년(세조 6)에 먼저 재정·경제의 기본이 되는 호전(戶典)이 편찬되어 《경국대전》으로 명명, 판각을 만들고, 이듬해에 형전(刑典)의 완성을 보았으나 다시 개찬할 것을 명하였다. 1467년(세조 13)에 전편(全篇)의 편찬이 끝났으나 수정·보완을 거듭하다 그 반포·간행을 보지.. 더보기
노무현 서거 8주기,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 유서 노무현 서거 8주기,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 유서 2009년 5월 23일 11시 양산 부산대학교 병원 측은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의 직접 원인은 두부외상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공식 발표에 의하면 23일 8시 13분 경 인공호흡을 시행하며 양산부산대병원 응급센터로 이송됐다. "도착 당시 의식과 자발 호흡이 없었으며, 심전도 모니터 상 박동이 없었다"라고 백승완 원장은 밝혔다. 백 원장은 "두개골 골절 등이 관찰됐으며 두부의 외상이 직접 사망원인으로 판단되고 늑골골절, 척추골절 등 다발성 골절도 관찰됐다"라고 말했다. 경남지방경찰청장은 "노무현은 수행 중이던 경호원 이병춘을 인근 정토사로 심부름을 보낸 후 자리를 비운 사이에 투신한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호원은 자책감 때문에 노무현이 "담.. 더보기
노무현, 인권변호사 시절, 안기부 직원을 가르치다. 노무현, 인권변호사 시절, 안기부 직원을 가르치다. 노무현은 1946년 9월 1일에 경상남도 김해에서 아버지 노판석과 어머니 이순례 사이에서 3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위로 있는 형 2명 중 맏형 영현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고, 작은 형 건평은 현재까지 살아있다. 노건평은 1968년 세무직 9급 공무원이 되어 10년간 지방 세무서에서 근무하였다. 노무현은 광주 노씨 광주군파 31대 손으로 광주 노씨는 광주광역시 일곡동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가문이다. 1953년에 진영대창국민학교에 입학하였고 학업 성적은 우수했으나 가난으로 결석이 잦았다고 한다. 6학년 때 담임교사의 권유로 전교 학생회장을 맡았다. 1959년 3월에 진영중학교에 진학했다. 중학교 재학 당시 노무현은 입학금이 없어 중학교는 외.. 더보기
유리명왕, 주몽이 서거하자 왕위를 이어받다. 유리명왕, 주몽이 서거하자 왕위를 이어받다. 유리명왕(瑠璃明王, 기원전 38년 ~ 기원후 18년)은 고구려의 제2대 국왕(재위 : 기원전 19년 나이 20세 - 기원후 18년 나이 56세)으로 휘는 유리(榴璃 또는 類利) 또는 유류(孺留)이다. 동명성왕과 왕후 예씨의 맏아들이다. 기원후 3년에 졸본에서 수도를 위나암 국내성으로 옮겼고, 계비 치희를 그리워해서 지었다는 황조가가 지금도 전해지고 있다. 재위 33년인 서기 14년에 무휼을 태자로 삼았고, 2만 명의 군대와 오이와 마리장군을 보내 서쪽의 양맥(梁貊)을 치고, 또 현도군의 고구려현(高句麗縣 또는 高句驪縣)을 쳐서 복속시켰다.다른 이름은 여달(閭達), 여해(閭諧), 시여해(始閭諧)이며, 삼국지의 위서 고구려전에는 그의 이름을 원래 여달이었다가 아버.. 더보기
고구려왕위 계보 고구려왕위 계보 1 동명성왕 추모 東明聖王 鄒牟 기원전 37년 ~ 기원전 19년 2 유리명왕 유리 琉璃明王 類利 기원전 19년 ~ 기원후 18년 3 대무신왕 무휼 大武神王 武恤 18년 ~ 44년 4 민중왕 해색주 閔中王 解色朱 44년 ~ 48년 재사 再思 5 모본왕 해우 慕本王 解憂 48년 ~ 53년 6 태조대왕 궁 太祖大王 宮 53년 ~ 146년 7 차대왕 수성 次大王 遂成 146년 ~ 165년 8 신대왕 백고 新大王 伯固 165년 ~ 179년 9 고국천왕 남무 故國川王 男武 179년 ~ 197년 10 산상왕 연우 山上王 延優 197년 ~ 227년 11 동천왕 위궁 東川王 位宮 227년 ~ 248년 12 중천왕 연불 中川王 然弗 248년 ~ 270년 13 서천왕 약로 西川王 藥盧 270년 ~ 292년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