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유화부인, 고구려 동명성왕의 어머니, 압록강가에서 해모수를 만나다. 유화부인, 고구려 동명성왕의 어머니, 압록강가에서 해모수를 만나다. 유화부인(柳花夫人, ? ~ 기원전 24년 음력 8월)은 고구려 동명성왕의 어머니이다. 여동생들과 함께 압록강가에서 놀다가 북부여 왕 해모수의 꾐에 빠져서 그를 가까이 하자, 아버지 하백에 의해 태백산 우발수로 쫓겨나서 동부여(東夫餘)의 금와왕(金蛙王)을 따라 궁으로 들어갔다. 그 후 해모수와의 관계를 알게 된 금와가 방에 가뒀는데, 이때 알을 하나 낳았다. 왕이 그 알을 개와 돼지에게 주어도 먹지 않고 길에 버려도 소와 말이 피하고 들에 버려도 새와 짐승이 덮어주었다. 다시 유화(柳花)에게 돌려주어 따뜻한 곳에 두니 한 아이가 껍질을 깨고 나왔는데 이 아이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주몽(朱蒙) 동명성왕(東明聖王)이라고 한다. 전설에 의하.. 더보기
금와왕, 해부루의 아들, 태백산 남쪽에서 유화를 만나다. 금와왕, 해부루의 아들, 태백산 남쪽에서 유화를 만나다. 금와왕(金蛙王, 기원전 89년? ~기원전 24년 재위:기원전 60년경~기원전 24년경)은 부여의 왕으로 성은 해(解), 이름은 금와(金蛙)이다. 금와(金蛙)는 금빛이 나는 개구리라는 의미이다. 금와는 해부루의 아들이다. 부여왕 해부루는 늙도록 아들이 없어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 아들 낳기를 기원하였다. 하루는 그가 탄 말이 곤연(鯤淵)에 이르렀는데, 그 곳에 있던 큰 바위를 보고 말이 눈물을 흘리는 것을 보고, 바위를 굴려보게 하였더니, 금빛이 나는 개구리 모양의 어린아이가 있었다. 해부루가 기뻐하여 "이는 하늘이 내게 준 아이로다."라 말하며 아들로 삼으니, 이가 곧 금와이다. 해부루의 뒤를 이어 부여의 왕이 된 금와는 태백산 남쪽 우발수에서 한 .. 더보기
해모수, 천신의 아들 ,주몽의 아버지, 북부여를 세우다. 해모수, 천신의 아들 ,주몽의 아버지, 북부여를 세우다. 해모수왕(解慕漱王, 생몰년 미상)은 부여 및 고구려의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천신(天神) 또는 천신의 아들이다. 부여의 신화에서는 해부루왕의 아버지이며, 고구려의 신화에서는 주몽의 아버지이다. 고구려의 건국을 전하는 고대의 기록에는 전하지 않은 인물로, 고려 시대 이후에 채록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처음 등장한다. 그러나 삼국사기, 삼국유사 모두 뒤에 고구려 건국신화를 서술하면서 고주몽의 아버지라고 하여 두 설이 앞뒤가 맞지 않는다. 해부루왕의 아들이 금와왕이므로 고주몽은 해부루왕의 손자뻘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원래는 부여의 건국 신화였으나, 부여가 병합된 뒤에 고구려의 건국 신화에 결합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삼국유사》에 따르.. 더보기
동명성왕, 추모왕, 주몽 고구려를 건국하다. 동명성왕, 추모왕, 주몽 고구려를 건국하다. 동명성왕(東明聖王) 또는 추모왕(鄒牟王, 기원전 58년 ~ 기원전 19년 음력 9월)은 고구려의 개국 시조이다. 재위: 기원전 37년 ~ 기원전 19년)이다. 《국사》(國史) 고구려본기를 인용한 《삼국유사》 및 《삼국사기》에는 본래이 성은 해(解)였다가 건국후 고(高)로 고쳤다, 휘가 주몽(朱蒙)이라 하였다. 또한, 《삼국사기》 등에는 추모(鄒牟)·중모(中牟)·중해(衆解)·상해(象解)·도모(都牟)·도모(都慕)라는 이름도 전하고 있다. 부여의 건국자인 동명과 주몽은 별개 인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여의 금와왕 재위 시 금와왕의 아들 대소에 의해 핍박받던 주몽은 박해를 피해 남으로 내려와 고구려를 건국하였다. 탄생 설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및 《동명왕.. 더보기
소서노, 비류와 온조 두 아들과 남하하여 백제를 건국하다. 소서노, 비류와 온조 두 아들과 남하하여 백제를 건국하다. 소서노(召西奴, 기원전 66년 ~ 기원전 6년)는 비류를 시조로 하는 백제 건국 설화에서 나오는 비류와 온조의 어머니이자 고구려 동명성왕 추모왕의 두 번째 부인이다. 졸본부여 왕의 둘째 딸이라는 설과 졸본부여 사람인 연타발의 딸이라는 설, 비류국 왕인 송양의 딸이라는 설 등 다양한 설이 있다.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에 의하면 비류국 왕 송양의 딸은 추모왕의 아들인 유리왕의 부인이 되었으므로 소서노는 송양의 딸이 아니다. 설화 현재 정설로 받아 들여지는 설화는 다음과 같다. 《삼국사기》 고구려 건국 설화에 나오는 내용으로 '동명성왕이 졸본에 정착하여 졸본 부여왕(이름 미상)의 둘째 딸(이름 미상)과 결혼하여 두 아들을 낳았는데 비류와 온조다.' 라고.. 더보기
백제 건국 설화, 온조설화, 비류설화, 구태설화 백제 건국 설화, 온조설화, 비류설화, 구태설화 백제 건국 설화란, 삼국 시대의 고대 국가 백제의 건국에 관해 전해내려오는 설화를 말한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백제 건국 이야기는 모두 3가지로서, 그 중 2가지는 《삼국사기》에 전하며 나머지 한 가지는 《수서》와 《북사》에 전해진다. 《삼국사기》에 전하는 설화가 각각 온조 설화와 비류 설화이고, 《수서》에 전하는 설화는 구태설화로 불린다. 《삼국사기》의 저자들은 두 설화 중에 무엇이 옳은지 모르겠다고 밝힌 뒤 두 설화를 모두 언급했다. '백제 건국 설화'라고 할 때, 보통은 현재 가장 많이 알려지고 유력하게 인정받고 있는 온조 설화만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온조 설화 온조 설화는 백제의 시조가 온조라고 전하고 있으며, 현재 가장 많이 알려진 백제 건국 .. 더보기
서울로 7017 개장 첫날, "차량길"에서 "사람길"로 재탄생 서울로 7017 개장 첫날, "차량길"에서 "사람길"로 재탄생 더보기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2017 일정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2017 일정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