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레이버 데이, 5일 동안의 동거, 외롭지 않은 오랜 기다림 레이버 데이, 5일 동안의 동거, 외롭지 않은 오랜 기다림 레이버 데이는 노동절을 의미한다. 우울하고 지루한 삶을 보내는 아델과 그녀의 아들 앞에 느닷없이 나타난 탈옥수 프랭크. 그들에게 어쩔수 없는 5일 동안의 동거가 시작된다. 그 5일의 기간이 노동절 연휴다. 그들은 5일 동안 같이 지내며 하루 하루의 삶이 조금씩 변하는 것을 느끼고 그 속에서 작은 행복을 찾아간다. 하지만, 이별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선택의 기로에 선다. 만일, 나라면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 짧은 만남에서 은근하게 다가온 사랑임에도 서로를 그리워하며 오랜 시간을 기다릴 수 있는 그들의 사랑을 보며 싱그럽고 풍성한 과실을 한아름 안고 집으로 돌아가는 기분이었다. 더보기
어거스트 러쉬, 환상적인 음악과 이야기로 우리의 마음을 연주한다. 환상적인 음악과 이야기로 우리의 마음을 연주한다. 첼리스트 라일라와 기타리스트 루이스 사이에서 태어난 어거스트. 11년전의 운명적 사랑인 라일라를 잊지 못하는 루이스, 자신에게 아이가 있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된 라일라, 천재적인 음악적 재능을 갖고 자라난 어거스트. 동화속의 꿈을 따라가듯 음악을 믿고 뉴욕으로 향하는 이들의 긴 여정이 펼쳐진다. 어거스트의 미소가 사랑스럽다. 기타와 첼로, 락과 클래식의 조화를 감상할 수 있다. 어거스트가 들려주는 환상적인 음악과 이들의 우연이면서 필연적인 만남은 우리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연주한다. 더보기
정여립의 난, 기축옥사 역모인가? 조작인가? 사진 출처 : 디지틀 조선 정여립의 난, 기축옥사 역모인가? 조작인가? 기축옥사(己丑獄事)는 조선 선조 때의 옥사로 1589년 10월의 정여립이 모반을 꾸민다는 고변으로부터 시작되어 정여립과 함 께 3년여간 그와 연루된 많은 동인이 희생된 사건이다. 정여립의 옥사로도 부른다 . 정여립은 호남 지역에 대동계(大同契)를 조직하여 무술 연마를 하며, 1587년에는 왜구를 소탕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대동계의 조직은 더욱 확대되어 황해도까지 진출했다. 하지만 이들의 동정이 주목을 받게 되고, 마침내 역모를 꾸미고 있다는 당시 황해도 관찰사의 고변이 임금에게 전해지자 조 정은 파란을 일으켰다. 고변의 내용은 정여립의 대동계 인물들이 한강의 결빙기를 이용해 황해도와 전라도에서 동시에 봉기하여 입경하고 대장 신 립과 .. 더보기
불멸에 관하여, 죽음을 이기는 4가지의 길 불멸에 관하여, 죽음을 이기는 4가지의 길 저자는 골치아프고 도발적인 질문을 한다. “우리는 영생을 얻을 자격이 있는가?” “과학이 죽음을 이길 수 있는가?” “신은 죽은 자를 되살릴 수 있는가?” “나를 복제하면 나는 부활하는가?” “내 영혼은 천국에 갈 것인가?” “다음에도 인간으로 태어날 수 있는가?” “어떻게 영원한 명예를 얻는가?” “내 자식은 내 자신의 일부인가?" “정말로 영원히 죽고 싶지 않은가?” 브라이언 애플야드(Bryan Appleyard)는 이렇게 정리했다. “모든 사람들은 죽는다. 고로 나도 분명히 죽을 것이다. 하지만 죽음을 상상조차 할 수 없기에 불멸을 발명했고, 우리는 이러한 발명품을 문명이라 부른다.” 진보는 영생을 향한 욕망의 산물이다. 진보란 영생을 향한 우리의 욕망이 .. 더보기
백범일지, "네 소원이 무엇이냐?"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 백범일지, "네 소원이 무엇이냐?"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 《백범일지》(白凡逸志)는 독립운동가인 백범 김구가 쓴 자서전으로 상·하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권은 백범이 53세 되던 해인 1929년에 상하이 임시정부 청사에서 1년 정도 시간을 두고 지난 독립운동 사실을 회고하며 집 필하였고, 하권은 백범이 67세 되던 해인 1943년경 충칭 임시정부 청사에서 집필하였다고 하권 책머리의 서문에서 적고 있다. 상권은 만년필에 국한문 혼용이며, 하권은 모필(毛筆)로 역시 국한문을 혼용하여 적었다. 상권은 첫머리에 『여인신양아서(與仁信兩兒書)』란 제목으로 아들인 인(仁)과 신(信) 형제에게 보내는 편지가 실려 있는데, 백범의 친필이 아닌 듯하다. 다음 『백범일지상권(白凡逸志上卷)』이란 제목으로 「조선과 가정.. 더보기
조선책략, 황준헌 조선이 선택해야 할 전략을 제시하다. 조선책략, 황준헌 조선이 선택해야 할 전략을 제시하다. 《조선책략》(朝鮮策略)은 일본 주재 청나라 공사관의 참사관으로 있던 청국인 황준헌(黃遵憲, 황쭌센)이 1880년경에 저술한 외교문제를 다룬 외교 방략서이다. 원명은 《사의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이다. 이 책의 내용은 김홍집, 박영효 등이 공동으로 정리한 수신사일기 중 2권에 따로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배경 황준헌은 조선이 러시아를 경계하여야 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러시아가 서양 공략을 이미 할 수 없게 되자, 이에 번연히 계획을 바꾸어 그 동쪽의 땅을 마음대로 하고자 하였다. 십여년 이래로 화태주(사할린)를 일본에게서 얻고, 중국에게서 흑룡강 동쪽을 얻었으며, 또한 도문강 입구에 주둔하여 지켜서 높은 집에서 물병을 거꾸로 세워 놓.. 더보기
황산벌 전투, 계백 가족들을 죽이고 비장한 각오로 전투에 나서다. 황산벌 전투, 계백 가족들을 죽이고 비장한 각오로 전투에 나서다. 황산벌 전투는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황산벌(오늘날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서 백제군 과 신라군 사이에 일어났던 전투이다. 삼국사기 계백 열전, 삼국유사 태종무열왕조 등에 전투 내용이 나온다. 배경 백제가 신라를 자주 공격하자, 신라는 고구려의 힘을 빌리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당에 구원을 요청한다. 김춘추는 당으로 건너가 나,당 간의 동맹을 맺었다. 660년 김유신이 이끈 신라군 5만 명과 소정방이 이끄는 당군 13만, 합하여 18만의 군사가 백제로 쳐들어갔다. 당나라는 수로를 이용해 백제의 백강 쪽으로 쳐들어갔고, 신라군은 육로를 이용하여 백제의 탄현쪽으로 쳐들어갔다. 660년 나-당연합군이 백.. 더보기
창덕궁 낙선재, 단청을 하지 않고 사대부 주택형식을 갖추다. 창덕궁 낙선재, 단청을 하지 않고 사대부 주택형식을 갖추다. 낙선재는 창덕궁과 창경궁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맨 좌측에 낙선재가 크게 자리 잡고 그 우측으로 석복헌과 수강재가 연이어져 있으며, 이들 뒤편에는 화초·석물·꽃담 굴뚝 등으로 가꾸어진 아름다운 화계와 그 위의 꽃담 너머로는 상량정·한정당·취운정이 위치해 있다. 원래 왕의 연침공간 조성을 목적으로 낙선재가 지어지고 이듬해에 빈의 처소를 위하여 석복헌을 짓고 수강재를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궁궐 안에 사대부주택형식으로 지은 건물로는 낙선재와 연경당뿐이다. 낙선재는 헌종 13년(1847)에 왕이 왕비와 대왕대비를 위해 마련하여 조선 왕실의 권위를 확립하고 자신의 개혁의지를 실천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했다. 1884년 갑신정변 직후 고종의 집무소..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