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비담의 난, 선덕여왕대의 반란, 왕위찬탈을 위해 반란을 일으키다. 비담의 난, 선덕여왕대의 반란, 왕위찬탈을 위해 반란을 일으키다. 비담(毗曇, ? ~647년 음력 1월 17일) 은 신라 제 27대 선덕여왕 말기의 진골로 추정되는 귀족이며 성은 김(金), 상대등(上 大等)을 역임했고 반란을 일으킨 역신(逆臣)이다. 삼국사기 선덕여왕조, 김유신 열전에 등장한다. 생애 출생 연도, 부모 등 출생에 대한 사항 및 업적 등에 대해서는 남은 기록이 전혀 없다. 하지만 선덕여왕 재위 말기 화백회의의 수장좌이자 신라의 최고 벼슬인 상대등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 상대등 신라 제 27대 국왕인 선덕여왕(善德女王)의 재위 말기인 645년에 화백회의의 수장인 상대등이 되었다. 비담의 난 비담의 난(毗曇-亂)은, 645년 상대등에 오른 비담이 권력을 장악하여 647년 1월, "여주불능선리(.. 더보기
진흥왕, 활발한 정복 활동으로 삼국 간의 항쟁을 주도하다.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진흥왕, 활발한 정복 활동으로 삼국 간의 항쟁을 주도하다. 진흥왕(眞興王, 526년~576년, 재위: 540년~576년)은 신라의 제24대 임금이다. 성은 김(金)이고 이름은 삼맥종(彡麥宗) 또는 심맥부(深麥夫)이다. 불교 승려로서의 법명은 법운(法雲)이다. 법흥왕의 동생이며 지증왕의 아들인 입종 갈문왕(立宗 葛文王) 구진(仇珍)과 법흥왕의 딸 식도부인(息道夫人, 지소태후)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법흥왕은 진흥왕에게 큰아버지이자 외조부가 된다. 진흥왕은 국가 발전을 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고, 불교 교단을 정비하여 사상적 통합을 도모하였다. 이를 토대로 신라는 고구려의 지배 아래에 있던 한강 유역을 빼앗고 함경도 지역으로까지 진출하였으며, 남.. 더보기
관산성 전투, 백제 성왕 관산성에서 신라군 도도에게 죽다. 관산성 전투, 백제 성왕 관산성에서 신라군 도도에게 죽다. 관산성 전투는 554년 백제와 신라가 관산성(管山城,지금의 충북 옥천)에서 싸워 신라군이 백제군을 무찌르고 백제 성왕을 죽인 전투이다. 그 뒤 양국관계는 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적대관계가 계속되었다. 551년에 나제 동맹(433~553)을 맺고 있었던 백제와 신라는 고구려 남평양을 공격해 한강 유역을 빼앗았다. 그러나 신라의 진흥왕은 552년 고구려와 몰래 동맹을 맺고 553년 백제를 기습공격해 백제의 한강 유역까지 빼앗았다. 이에 성왕은 554년 태자 부여창(훗날 백제 위덕왕)에게 군사를 주어 신라를 치게 했다. 백제군은 태자 부여창이 지휘하는 백제의 주력군 말고도 가야에서 동원한 군사와 왜(倭)의 원병까지 거느리고 있었다. 《일본서기》긴메이키(.. 더보기
연개소문, 독립자주의 정신과 대외경쟁의 담략을 지니다. 연개소문, 독립자주의 정신과 대외경쟁의 담략을 지니다. 연개소문(淵蓋蘇文, 603년 ~ 666년?)은 고구려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이다. 일명 개금(蓋金)으로도 불린다. 중국의 《구당서(舊唐書)》, 《신당서(新唐書)》 및 《자치통감(資治通鑑)》 등의 사서와, 이를 토대로 재편집한 《삼국사기 (三國史記)》 열전에는 중국 당나라 고조(高祖)의 휘(諱) 이연(李淵)의 '연(淵)'자를 피하기 위해 천개소문(泉蓋蘇文)으로 기록하였다. 일본의 사서인 《일본서기》에는 이리가수미(伊梨柯須彌 이리카스미[*])라고도 표기되어 있어, 한국의 고대 인명의 유추에 단서가 된다. 생애 연개소문의 아들로서 고구려가 멸망할 때 당에 투항하여 당의 관직을 받은 연남생(淵男生)의 묘지명 『천남생묘지명(泉男生 墓誌銘)』에 보면, 남생의 .. 더보기
실크로드, 비단길, 범세계적인 그물 모양의 교통로 실크로드, 비단길, 범세계적인 그물 모양의 교통로 비단길 또는 실크 로드(Silk Road)는 육상, 또는 해상을 통한 근대 이전의 동서 교역로를 가리키는 말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동(東), 서(西)라 함은 중국과 유럽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비단길이라는 언어의 기원 자체가 중국의 비단이 로마 제국으로 흘러가는 것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단길은 역사를 통해서 더 다양한 교역품들을 전달하는 통로로 확대되었고, 더 나아가 문화가 유통되는 통로이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현대 중국역사학, 교류사, 그리고 중앙아시아사에서 비단길 연구가 가지는 입지는 크다. 비단길은 단순히 동서를 잇는 횡단축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남북의 여러 통로를 포함해 동서남북으로 사통팔달한 하나의 거대한 교.. 더보기
전한 무제, 유학을 국가의 학문으로 삼고 통제경제 정책을 하다. 전한의 7대 황제 전한 무제, 유학을 국가의 학문으로 삼고 통제경제 정책을 하다. 한 세종 효무황제 유철(漢 世宗 孝武皇帝 劉徹, 기원전 156년 ~ 기원전 87년)은 전한의 제7대 황제(재위 기원전 141년 ~ 기 원전 87년)이다. 아명은 체(彘)이며 자는 통(通)이다. 경제의 열번째 아들이며 효경황후 왕씨(孝景皇后 王氏)의 소생이다. 유학을 바탕으로 하여 국가를 다스렸으며 해외 원정을 펼쳐 흉노를 크게 무찌르고 남월, 위만조선 등을 멸망시켜 당시 한족 역사상 두번째로 넓은 영토를 만들어 전한의 전성기를 열었다.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한반도(韓半島)에 한사군 또는 한군현을 설치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중국 역사상 진 시황제·강희제 등과 더불어 중국의 가장 위대한 황제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생애 1.. 더보기
직지심체요절, 구텐베르크보다 78년 앞선 세계최고의 금속활자본 직지심체요절, 구텐베르크보다 78년 앞선 세계최고의 금속활자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이하 불조직지심체요절이라 함)은 백운화상이 75세였던 고려 공민왕 21년(1372)에 노안을 무릅쓰고 선도(禪徒)들에게 선도(禪道)와 선관(禪觀)의 안목을 자각(自覺)케 하고자 함은 물론, 선풍(禪風)을 전등(傳燈)하여 법맥(法脈)을 계승케 하고자 저술한 것으로서, 그 제자 석찬과 달담이 비구니 묘덕의 시주를 받아 청주 흥덕사에서 1377년 7월에 금속활자로 인쇄하였다. 「불조직지심체요절」은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등의 사전부(史傳部)의 여러 불서(佛書)를 섭렵하고 역대의 여러 불조사(諸佛祖師)의 게(偈), 송(頌), 찬(讚), 가(歌), 명(銘), 서(書), 법어(法語), 문답(問.. 더보기
강감찬, 귀주대첩, 흥화진에서 거란군을 격파한 고려시대의 명장 강감찬, 귀주대첩, 흥화진에서 거란군을 격파한 고려시대의 명장 강감찬(姜邯贊 또는 姜邯瓚, 948년 12월 22일(음력 11월 19일) ~ 1031년 9월 9일(음력 8월 20일))은 고려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다. 강이식의 후손으로, 어릴적 이름은 은천(殷川)이다. 금주(지금의 낙성대)에서 태어났으며, 묘는 충청북도 청주시 옥산면 국사리에 있다. 요나라의 3차 침입을 격퇴하였다.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은 검교태위 문하시랑에 이르렀고, 작위는 천수현개국자작(天水縣開國子爵)에 봉해졌다. 무관으로 알려졌으나 문과에 급제한 문관 출신 장군이었다. 문종 때에 수태사 겸 중서령(守太師兼中書令)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인헌(仁憲)이고,본관은 금주(衿州) 또는 진주이다. 요나라의 1차 침입 993년 요나라(거란)..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