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허삼수, 허문도, 허화평과 함께 삼허로 불리며 삼청교육 등을 주도하다. 허삼수, 허문도, 허화평과 함께 삼허로 불리며 삼청교육 등을 주도하다. 허삼수(許三守, 1936년 9월 18일 ~ )는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최규하 정부와 제5공화국 당시 전두환의 최측근 인사의 한 사람으로 허화평, 허문도와 함께 삼허(3許)로 불렸다.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군 생활 부산고등학교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61년 육군 소위로 임관, 1965년 육군 방첩부대로 전속되어 그 후 15년간 방첩, 정보, 대공수사 업무를 담당하였고, 육군대학교를 졸업하였다. 그뒤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에 진학하여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군생활 중 그는 허화평, 안현태 등 육사 17기 동기들 중 일부와 함께 하나회에 가담하였으며 하나회 내 육사 17기 멤버들의 리더였다. 육군 대령으로 재직 중 .. 더보기
허화평, 전두환의 최측근 중의 한사람으로 12.12 사태에에 참여 정권을 찬탈하다. 허화평, 전두환의 최측근 중의 한사람으로 12.12 사태에에 참여 정권을 찬탈하다. 허화평(許和平, 1937년 10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며 사회평론가 및 시민사회단체인이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된 뒤 19년간 군인으로 복무하였다. 장세동, 허삼수, 허문도 등과 함께 전두환의 최측근 중의 한사람으로 전두환·노태우 등과 함께 12·12 쿠데타에 참여, 정권을 찬탈하였다. 제5공화국 출범 직후 연좌제 폐지, 학생 두발 자율화, 불법과외 금지, 야간 통행금지령(통금령) 폐지를 기획, 성사시켰다. 1961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되었으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육군 준장으로 예편한 후 대통령 비서실 보좌관, 정무수석비서관 등을 지냈으며, 두발자율화와 .. 더보기
정승화, 김재규의 암살사건에 연루되어 이등병으로 예편되었다가 무죄판결을 받고 복권되다. 정승화, 김재규의 암살사건에 연루되어 이등병으로 예편되었다가 무죄판결을 받고 복권되다. 정승화(鄭昇和, 1929년 2월 27일 ~ 2002년 6월 12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다. 한국 전쟁 무렵 백골부대의 대대장으로 활동했고 제22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호(號)는 송산(松山), 벽옹(碧翁)이다. 12.12 쿠데타 이후 신군부 세력에 의해 김재규의 암살사건에 연루되어 보충역 이등병으로 예편되었다가 후에 문민정부에 와서 무죄판결을 받고 복권되었다. 그의 유해는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생애 초반 정승화는 1929년 2월 27일에 경상북도 김천에서 태어났다. 그의 19대조 정종소는 성균관 사성을 역임했으나 단종 복위 운동이 실패로 돌아가자 낙향하였다. 그 뒤 18대조 정이교 사헌부 장령과.. 더보기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2004년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다.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2004년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다. 김대중 내란음모사건(金大中內亂陰謀事件)은 1980년 신군부세력이 김대중을 비롯한 민주화 운동가 20여 명이 북한의 사주를 받아 내란음모를 계획하고, 광주 민주화 운동을 일으켰다는 혐의를 조작해, 군사재판에 회부한 사건이다. 2004년 김대중은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신군부의 정치인 체포 계획 신군부는 비상계엄 확대조치를 수단으로 초헌법적 비상기구인 국보위의 설치, 민주화일정등이 논의될 임시국회의 조기해산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집권시나리오인 `시국수습방안'을 기획했다. 5월 초 전두환은 보안사 대공처장 이학봉에게 지시, 당시 계엄해제및 신군부의 퇴진등을 요구하는 대학가의 민주화 시위를 제압하고 학생시위를 배후조종하는 정치인,재야인사,복.. 더보기
12.12 사태, 12.12 군사 반란, 전두환 소장 군부 권력을 장악해 정치적인 실세로 등장하다. 12.12 사태,12.12 군사 반란, 전두환 소장 군부 권력을 장악해 정치적인 실세로 등장하다. 12·12 군사 반란 또는 12·12사태는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최규하 대통령의 승인 없이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 정병주 특수전사령부 사령관, 장태완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등을 체포한 사건이다. 일본에서는 숙군 쿠데타라고도 한다. 당시 보안사령관이던 전두환 소장은 12.12 군사 반란으로 군부 권력을 장악하고 정치적인 실세로 등장했다. 이후 1980년 5월 전두환을 중심으로 하는 신군부는 5·17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사실상 장악했고, 5·17 쿠데타에 항거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강경 진압했다. 전두환은 8월 22일에 육군.. 더보기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무력부 정찰국의 폭탄 테러 사건이다.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무력부 정찰국의 폭탄 테러 사건이다.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은 1983년 10월 9일에 미얀마의 수도 양곤에 위치한 아웅 산 묘역에서 미리 설치된 폭탄이 터져 한국인 17명과 미얀마인 4명 등 21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당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무력부 정찰국의 폭탄 테러 사건이다. 대한민국의 서석준 부총리와 이범석 외무부 장관, 김동휘 상공부 장관 등 각료와 수행원 17명이 사망하고 기타 수행원들이 부상당하였다. 사건 직후 대한민국의 대통령 전두환은 공식 순방 일정을 취소하고 귀국했다. 경과 1983년 10월 8일에 대한민국의 대통령 전두환은 공식 수행원 22명, 비공식 수행원 등을 데리고 동남아 5개국의 공식 순방길을 출발했다. 미얀마는 .. 더보기
전두환,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전두환,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전두환에 대한 평가는 현재 극과 극이며 그의 평가는 대한민국의 극우주의와 진보주의 및 보수주의를 가르는 척도 중의 하나로 통용되기도 한다. 광주민주화운동 학살자, 군부 독재자라는 혹평에서부터 구국의 영웅이라는 평가가 존재한다. 전두환에 대한 시각이 보수주의 내부에서도 전혀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대다수 보수 세력은 신군부의 집권 과정 중 일어난 12·12 군사 반란, 5·17 쿠데타를 비롯한 불법적인 집권 과정,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유혈진압과 전두환 대통령이 세운 제5공화국 정권이 민주주의 및 인권 탄압에 대해서만큼은 매우 비판적이다 인물평 그는 타고난 유들유들함과 비위로 위관급 장교 시절부터 철저한 '정치군인'의 면모를 드러냈다는 평이 있다. 이후 청와대 경호실.. 더보기
임견미, 시샘이 많고 음흉했으며 당나라 간신 이임보에 견주다. 임견미, 시샘이 많고 음흉했으며 당나라 간신 이임보에 견주다. 임견미(林堅味, ? ~ 1388년 1월)는 고려 말의 무신이다. 공민왕 초 다루가치(達魯花赤)에 속하여 공을 세우고 중랑장에 등용되었다. 1361년(공민왕 10년) 홍건적 침입 때 나주도병마사(羅州道兵馬使)로서 왕을 호종(扈從)해 1등공신이 됐다. 고려말 빈번했던 외적의 침입 때마다 군의 총책임을 맡았으며 특히 1368년 원나라 수도가 명나라 군에 의해 포위되는 등 중국 왕조 교체기의 고려 안보가 한 치 앞을 볼 수 없던 시점에 안주 순무사를 맡았다. 이후 문하시중에 오르는 등 이인임과 권문세족의 편에서 권세를 누리다가 1388년 이성계에 의해 제거됐다. 생애 고려의 무신.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임언수(林彦修)의 아들이다. 부친 임언수가 군..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