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최치원, 당의 빈공과에 장원으로 급제하다. 최치원, 당의 빈공과에 장원으로 급제하다. 최치원(崔致遠, 857년 ~ ?)은 신라 말기의 문신, 유학자, 문장가이다. 자는 고운(孤雲), 해운(海雲), 해부(海夫)이며, 시호는 문창(文昌)이다.6두품 출신으로서 12세의 나이로 당에 유학하여 6년 만에 당의 빈공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으며,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절도사 고병의 막하에서 《토황소격문》을 지어 당 전역에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고, 승무랑 시어사로서 희종 황제로부터 자금어대를 하사받았다. 귀국하여 헌강왕으로부터 중용되어 왕실이 후원한 불교 사찰 및 선종 승려의 비문을 짓고 외교 문서의 작성도 맡았으며, 시무 10여 조를 올려 아찬 관등을 받았다. 그러나 진골 귀족들이 득세하며 지방에서 도적들이 발호하는 현실 앞에서 자신의 이상을 채 펼쳐보지도 못.. 더보기
의상, 왕족 출신의 고승, 화엄종의 시조이며 부석사를 창건하다. 의상, 왕족 출신의 고승, 화엄종의 시조이며 부석사를 창건하다. 의상(義湘, 625년 ~ 702년)은 고대 통일신라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고승이다. 또한, 통일신라시대 초기의 작가이자 철학자이기도 했다. 그는 중국 당나라에 유학하여 지엄(至嚴)으로부터 화엄종(華嚴宗)을 수학하고 법통을 받아 중국 화엄종의 제3 세조가 되었다. 또한, 한국 화엄종(華嚴宗)의 시조이며, 속성은 김(金: 혹은 박(朴)씨라고 함)이다. 시호는 해동화엄시조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이다. 20세에 출가하여 650년(진덕여왕 4년)에 사형(師兄)인 원효(元曉)와 함께 당나라에 가던 도중에 난을 당해 이루지 못하고, 경상북도 문경의 어느 동굴에서 유숙하게 되었다. 이때 해골에 괸 물을 마신 원효는 도의 길이 따로 있지 않다고 생각.. 더보기
원효, "마음이 나야 모든 사물과 법이 나는 것이요" 원효, "마음이 나야 모든 사물과 법이 나는 것이요"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인이다. 원효는 법명이고, 속성(俗姓)은 설(薛), 속명은 사(思), 서당(誓幢) 또는 신당(新幢)이며, 별명은 모(毛), 호는 화정(和淨)이다. 아버지는 내말 설담날이며, 태종무열왕의 둘째 사위이고 설총이 그의 아들이다. 별명은 소성거사(小姓居士)이며 이외에도 서곡사미(西谷沙彌), 백부논주(百部論主), 해동법사(海東法師), 해동종주(海東宗主)라 불렸다. 고려시대에는 원효보살, 원효성사(元曉聖師)라 존칭되고, 화쟁국사(和諍國師)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본명은 설사(薛思)이나, 보통 한국에서는 법명을 따라 원효대사로.. 더보기
일본 디플레이션의 진실, 경제는 인구로 움직인다. 일본 디플레이션의 진실, 경제는 인구로 움직인다. 은 일본의 경기 침체 원인과 그것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 책이다. 이 문제는 과연 일본만의 문제일까? 바로 우리에게 다가 올 문제다.저출산, 고령화, 청년 실업, 가계 부채 증가, 저성장 등으로 경제 위기에 직면한 한국의 문제다. 그런점에서 은 경기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 될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줄 뿐만 아니라 대비 할 수 있는 지침서다. 저자는 경제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은 경제 성장이 아니라 인구라고 말한다. 객관적이고 사실적 통계 자료를 통해 인구 감소 문제를 지적한다.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은 생산 인구 감소 추세를 둔화시키고 개인 소득 총액과 개인 소비 총액을 유지하고 증가시키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내수를 확대하기위해서는 여성 취업을 적극적.. 더보기
흑치상지, 백제의 장수로서 백제 부흥운동을 이끌다. 흑치상지, 백제의 장수로서 백제 부흥운동을 이끌다. 흑치상지(黑齒常之, 630년~ 689년)는 백제의 의자왕 때 달솔을 지낸 백제 · 당나라의 무장이다. 660년부터 663년까지 3년간 백제 부흥운동을 이끌었으나 부흥운동의 실패가 확실해지자 당나라에 항복하고 투항했다. 백제의 장수로서 1929년 중국 낙양(洛陽)에서 아들 준(俊)의 것과 함께 출토된 그의 묘지명에 따르면, 흑치상지는 원래 백제의 왕족으로서 흑치 지방에 봉해졌기 때문에 흑치씨가 되었다고 한다. 증조부의 이름은 문대(文大), 조부는 덕현(德顯), 아버지는 사차(沙次)이며, 흑치상지의 어릴 적 이름은 항원(恒元)이었다. 《신당서》및 《삼국사기》에 입전된 그의 열전에서는 의자왕 때 벼슬은 달솔로서 풍달군(風達郡)의 군장(郡將)을 겸하고 있 었다.. 더보기
코레일, 올해 1,070명 대규모 인력 채용 코레일, 올해 1,070명 대규모 인력 채용 상반기 600명, 하반기 470명, 청년실업난 해소에 기여 코레일이 올해 총 1,070명을 공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코레일은 상반기 600명과 하반기 470명으로 나눠서 채용할 계획이다. 상반기에는 정규직 채용을 위한 인턴사원 700명을 채용하고 이와는 별도로 경력직 40명도 공개 채용한다. ※ 하반기 모집공고 : 7월 예정 상반기 유형별 인턴사원 채용인원은 일반공채 636명과 보훈추천공채 64명이며, 7개 직렬별로 구분 모집한다. 직렬별 채용인원은 사무영업 169명, 물류영업 25명, 운전 187명, 차량 168명, 토목 113명, 건축 25명, 전기통신 13명이다. 코레일은 인턴사원 선발 후 약 3개월간의 실무수습을 거쳐 오는 6월말 80%에 해당되.. 더보기
덕종, 경릉, 왕세자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나다. 덕종, 경릉, 왕세자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나다. 능의 구성 경릉은 추존 덕종과 소혜왕후 한씨의 능이다. 추존이란 실제로 왕위에 오르지는 않았으나 세상을 떠난 후에 왕의 호칭을 내리는 것을 말한다. 덕종은 왕세자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나자 의경세자의 시호를 받았으나, 둘째 아들인 자산군이 왕위에 오르자 덕종으로 추존되었다. 경릉은 서오릉에서 가장 먼저 조성된 능으로,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성한 동원이강릉(同園異岡陵)의 형태이다. 원칙적으로는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 언덕(서쪽)이 왕, 오른쪽 언덕(동쪽)이 왕비의 능이지만, 경릉은 오른쪽 언덕(동쪽)에 덕종을 모셨고 왼쪽 언덕(서쪽)에 소혜왕후를 모셨다. 이는 덕종은 왕세자의 신분으로, 소혜왕후는 대왕대비의 신.. 더보기
산상왕, 고국천왕의 동생, 형의 아내 우왕후를 아내로 맞다. 산상왕, 고국천왕의 동생, 형의 아내 우왕후를 아내로 맞다. 산상왕(山上王, ?~227년, 재위 197년~227년)은 고구려의 제10대 군주이다. 신대왕의 아들이자 고국천왕의 동생으로 휘는 연우(延優) 또는 이이모(伊夷模)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다른 이름으로 위궁(位宮)이 기록되어 있으나 《삼국지(三國志)》 등의 중국 기록에 의하면 위궁 은 산상왕이 아닌 동천왕(東川王)의 이름이다. 고국천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고국천왕의 왕후 우씨의 지지를 받아 즉위하였다. 우 왕후는 산상왕의 아내가 되어 다시 왕후에 올랐다. 이것은 고구려의 형사취수 풍습이 남아있는 것이며, 우씨의 권력 유지를 위한 것이기도 했다. 산상왕의 형이었던 발기(發岐)는 자신이 왕위에 오르지 못한 것에 불만을 품고 군사를 동원하여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