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양대군

단종, 노산군, 숙종 때 복위되어 단종으로 묘호가 정해지다. 단종, 노산군, 숙종 때 복위되어 단종으로 묘호가 정해지다. 단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고, 휘는 홍위(弘暐)이다. 1455년 숙부 세조의 정변으로 양위하였다가, 세조 측근들의 탄핵으로 강원도 영월군 청령포로 유배되었다가 사사 혹은 교살 되었다. 폐위되어 죽어서 시호를 받지 못한 채 노산군(魯山君)으로 불리다가 이후 중종 때에 복권 상소가 올려졌으나 거절당했고, 숙종 대에 가서야 성리학자들의 건의로 정종과 함께 복위되어, '예(禮)를 지키고 의(義)를 잡는다' 라는 뜻의 단종(端宗)으로 묘호가 정해졌으며, 정식 시호는 단종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 더보기
성삼문, 단종 복위 운동을 주관하다 김질의 밀고로 멸문 당하다. 성삼문, 단종 복위 운동을 주관하다 김질의 밀고로 멸문 당하다.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세종대왕을 도와 집현전에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였고, 단종 복위 운동을 추진하였다. 자는 근보(謹甫)·눌옹(訥翁), 호는 매죽헌(梅竹軒), 시호는 충문(忠文), 본관은 창녕이다. 성승(成勝)의 아들이며, 성달생의 손자이다. 생원으로 1438년 과거에 급제하여 집현전 학사의 한사람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했고, 1447년 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450년 어린 세손을 부탁한다는 세종의 유지를 받들다가 세조 찬위 이후 단종 복위 운동을 주관하였으나, 신숙주, 정인지 등이 세조의 편에 서고 김질 등이 밀고함으로써 실패하고 만다. 그는.. 더보기
김종서, 6진을 설치하여 조선의 국경선을 확정하다. 김종서 장군 묘 김종서, 6진을 설치하여 조선의 국경선을 확정하다. 김종서(金宗瑞, 1383년 ~ 1453년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 무장, 정치가이며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다. 자는 국경(國卿), 호는 절재(節齋), 본관은 순천(順天)으로 도총제(都摠制)를 지낸 김추(金錘)의 아들이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며 원적지는 전라도 순천이다. 1405년(태종 5년) 식년문과에 동진사 급제하여, 사간원우정언(司諫院右正言), 지평(持平)·집의(執義)·우부대언(右副代言) 등을 지냈다. 1433년 6진을 설치하여 두만강을 경계로 조선의 국경선을 확정하였다. 1435년 함길도 병마도절제사(咸吉道兵馬都節制使)를 겸직하면서 확장된 영토에 조선인을 정착시켰고 북방의 경계와 .. 더보기
세조, 다른 왕릉에 비해 간소한 광릉 세조, 다른 왕릉에 비해 간소한 광릉 능의 구성 광릉은 같은 산줄기에 좌우 언덕을 달리하여 왕과 왕비를 각각 따로 봉안하고 두 능의 중간 지점에 하나의 정자각을 세우는 형식인 동원이강(同原異岡)릉으로서, 이러한 형태의 능으로는 최초로 조영되었다. 좌측 능선의 봉분이 세조의 능이며 오른쪽의 봉분이 정희왕후의 능이다. 광릉은 다른 왕릉에 비해 간소하게 조영되었다. 세조는 “내가 죽으면 속히 썩어야 하니 석실과 석곽을 사용하지 말 것이며, 병풍석을 세우지 말라.”는 유언을 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세조의 유언에 따라 이전까지 석실로 되어 있던 능을 회격(灰隔)으로 바꾸어 부역 인원을 반으로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였다. 또한 봉분 주위에 둘렀던 병풍석을 없애면서 병풍석에 새겼던 십이지신상은 난간의 동자석주에 옮겨 .. 더보기
계유정난,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다. 계유정난,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다. 계유정난(癸酉靖難)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친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빼앗기 위하여 김종서와 황보인 등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한다. 배경 세종의 뒤를 이은 문종은 자신의 단명(短命)을 예견하고 영의정 황보인, 좌의정 남지, 우의정 김종서 등에게 자기가 죽은 뒤 어린 왕세자가 등극하였을 때, 잘 보필할 것을 부탁하였다. 문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단종이 즉위 당시 12세로 어렸기 때문에 세종과 문종의 유명을 받든 고명대신인 김종서가 조정의 인사권 및 정권과 병권을 쥐고 섭정을 하였다. 수렴청정을 통해 왕실의 중심점 역할을 해야 할 대비, 대왕대비 등의 부재 상황에서, 세종의 영특한 아들들.. 더보기
경회루, 흥청망청의 발원지 경회루, 흥청망청의 발원지 세종의 뒤를 이은 병약한 문종이 단명을 하자 수양대군은 1453년 10월 10일 불시에 김종서의 집을 습격하여 그와 그의 아들 둘을 죽였습니다. 이어 단종의 명이라고 속여 중신들을 모이게 한 후 궐문 안에서 입궐하는 중신들을 차례대로 죽였지요. 수양대군은 정변으로 반대파를 숙청하고 정권을 장악했습니다. 이 정변을 계유정난 이라고 합니다. 보통, 계유년에 일어난 란 이라는 뜻으로 잘못알고 있지요. '계유년의 어려움을 안정시켰다' 라는 뜻입니다. 세조 측의 입장에서 이름을 붙인 것 같습니다. 그 후 2년 뒤 단종은 상왕으로 물러나고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옥새를 넘기게 됩니다. 그 곳이 바로 경회루 입니다. 잠시, 그 날로 돌아가 생각해 볼까요? 어린 단종은 숙부인, 수양대군이 무서웠.. 더보기

반응형